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조 왕건 친제<SUB>親製</SUB>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의 조성배경

        정성권(丁晟權) 한국국학진흥원 2016 국학연구 Vol.0 No.31

        원주 흥법사지에는 진공대사 충담의 탑비가 있다. 진공대사는 921년 태조 왕건으로부터 왕사에 임명되었으며 흥법사에서 주석하다 940년 입적하였다. 입적 직후 승탑과 탑비가 조성되었다. 탑비는 941년 건립되었고 태조 왕건이 직접 비문을 작성하였다. 태조 왕건시기 비문이 작성되거나 건립된 탑비는 모두 11개이다. 이 중 유독 흥법사지 진공대사 탑비만 태조 왕건이 친제하였다. 기존의 학설은 그 이유를 진공대사 충담이 심희의 제자였다는 점에서 찾고 있다. 즉 심희로 대표되는 신라 불교의 정통성이 고려로 계승되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태조 왕건이 충담비의 비문을 직접 작성했다는 것이다. 이 글은 기존의 학설 이외에 진공대사 탑비가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등장을 신라의 유민들에게 알리고자 건립된 기념물의 성격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한 근거로 진공대사 탑비 비문과 비슷한 시기(940)에 작성된 「개태사화엄법회소」 와 동시기에 건립된 개태사 석조삼존불입상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탑비가 위치한 흥법사가 강원도나 경상도쪽의 구 신라 유민들이 개경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되는 병목과 같은 교통의 요지였음을 밝혔다. The Stele of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s located in Heungbeopsa temple site in Wonju city. It was erected in 941. Kign Taejo, the First King of Goryeo Dynasty reconstructed the Zen Buddhist Heungbeopsa temple for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t was his wish to educate the people in the way of Zen, and along whith the neighboring Geodonsa Temple in Wonju and Godalsa Temple in Yeoju Heungbeopsa temple played a signigicant role during the early part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Jingongdaesa returned from studying in China and became the royal monk to King Taejo. It is said that when Jingongdaesa entered Nirvana in 940, King Taejo wrote the epitaph himself. The epitaph is an abstract from writings of King Taejong from the Taeng dynasty of China and carved onto the monument in the character style of Wang Huiji. The original monument was damaged, and the body of it including the stone coffin containing the ashes of Saint Jingongdaesa was moved to the National Museum in Seoul. The construction style is indicative of the ambitious spirit of the people at the beginning of the Goryeo Dynasty period. To explain that why King Taejo wrote the epitaph by himself, this article study about the stone Buddha triad image at Gaetaesa that was built in 940. The Gaetaesa stone Buddha was made in the site that the Later pakje’s King surrender to Kign Taejo. In other words, the stone Buddha triad image was built in the historical and symbolic site that Wnag Geon finally achived the unification of the Later Three Kingdoms. In the same reason King Tajon built The Stele of the Buddhist Saint Jingongdaesa in Heungbeopsa temple. Because Heungbeopsa temple is a major transportation point, It was a perfect place to propagate of new country-Goryeo Dynasty-newly built.

      • KCI등재

        倭館 開市 때 제공된 日本料理 기록의 비교(1705년, 1864년)

        정성일(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2 No.-

        이 글은 왜관의 일본인들이 작성한 매일기(每日記)를 바탕으로 개시(開市) 때 조선인에게 제공된 일본 요리를 분석한 것이다. ㉠ 왜관의 개시요리 기록은 1705년부터 체계적으로 정리되기 시작하여 19세기 중엽까지 그것이 이어졌다. ㉡ 조선 역관과 도중(都中)에게는 밥 이외에 국 한 가지와 반찬 세 가지 즉 1즙 3채가(初市는 2즙 5채), 그리고 그들의 종자[수행원]에게는 1즙 1채가 기본이었다. ㉢ 개시요리는 계절마다 쓰이는 재료가 달랐지만, 무처럼 철에 관계없이 연중 고르게 사용되는 재료도 있었다. ㉣ 고정 메뉴인 밥과 국 이외에, 반찬으로는 조림이 가장 많이 제공되었고 그 다음이 무침이었으며, 생선회도 가끔씩 나왔다. 왜관의 일본인들이 조선측 관계자에게 김치를 반찬으로 내놓는 일도 드물게나마 있었다. ㉤ 통신사 일행에게 제공된 향응요리에 비하면 왜관 개시요리의 종류와 내용이 간소하였지만, 개시요리는 왜관 거주 일본인의 일상적인 식생활 문화가 반영된 것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clarified some facts through the analysis on the foods of Japanese style supplied for private trade[Gaeshi in K.] between Joseon and Japan, using the daily records by the trade authority of Tsushima domain, Ichidaikan in Japanese. First, the Japanese foods supplied during the time of trades was to be recorded from 1705 to the middle of 19th century at the Japan House, directed by Tsushima domain. Second, rice, soup and three kinds of side dish were supplied to Korean translators[Hundo and Byeolcha in K.] and merchants[Dojung in K.], and one soup and two kinds of side dish added for them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irst trade in the every year. But only one soup and one side dish were supplied, in addition to rice, to their encourages each time of trade. Third, the foods supplied during the time of trades were differed by seasons. But there were some vegetables used as usual as white radish. Fourth, adding to rice and soup, the foods boiled were most common, and the next was the foods seasoned. Gimisui[Gimchi in K.] was supplied for Korean translators and merchants infrequently. Fifth, the Japanese foods supplied during the time of trades were more simple than the foods for Korean Diplomatic Envoys to Japan. But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Japanese food cultures of daily life at the Japan House was reflected in the foods for the trades.

      • KCI등재

        1860년대 對日貿易과 公木 · 公作米

        정성일(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2016 한일관계사연구 Vol.54 No.-

        조선 정부는 공무역(公貿易)에서 일본이 가져온 물품에 대하여 15세기 초부터 면포 즉 공목(公木)으로 결제해 주기 시작했다. 17세기 중엽~19세기 중엽에는 공목의 일부를 쌀로 바꾸어 지급했는데 그것을 공작미(公作米)라 불렀다. 왜관을 통해 대마도로 건너간 조선의 공목과 공작미는 일본 대마도 경제의 기초를 이루었다. 이 글에서는 1860년대 공목과 공작미 문제를 분석하였다. 1862년에는 조선의 공무역 담당자가 실제로는 미지급된 공목과 공작미가 남아 있었는데도, 그들이 마치 왜관에 완납을 한 것으로 중앙정부에 보고한 적이 있었다. 그들의 상대편인 왜관의 일본 측 공무역 담당자들은 공목과 공작미를 완납 받기 위하여 온갖 노력을 다했다. 1864년에는 왜관의 일본인들이 왜관으로 들어간 조선 역관을 왜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그런가 하면 그들이 왜관 밖에 있던 조선 역관의 근무지인 임소(任所)까지 찾아와서 그곳에서 철야를 하다가 다시 왜관으로 돌아가는 일도 있었다. 이것은 공목과 공작미 지급이 근대 이전의 대일무역 뿐만 아니라 대일외교에서도 중요한 문제였음을 의미한다. The Joseon Korea government paid cotton cloth (gongmok) in the official trade with Japanese traders for their exports from Japan in the fifteenth century. Later, from the mid-seventeenth century to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Joseon government converted some of the cotton cloth into rice (gong jakmi). The cotton cloth and rice transported to Tsushima from Joseon became the foundation of Tsushima’s economy. The problems relating to cotton cloth and rice are analyzed in this paper. Korean trade officials reported untruthfully that they had paid in full to Japan, though, in fact, there was cotton cloth and rice that had not been paid to the Japan House (Waegwan) in 1862. However, Japanese trade officials (daikan) made greater efforts to receive the full payment of cotton cloth and rice from the Joseon government. For example, Japanese trade officials prevented Korean trade officials from leaving the Japan House in 1864. In addition, Japanese trade officials visited and stayed all night in the office (imso) of the Korean interpreters of Japanese language (hundo and byeolcha), and returned to the Japan House the next day. This is evidence that the payments of cotton cloth and rice could be an economic or a diplomatic problem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pre-modern period.

      • KCI등재
      • KCI등재

        조사시찰단의 보고로 본 1880년 조선의 수출입 통계

        정성일(鄭成一)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8 No.-

        이 글은 1880년 조선의 수출입 통계에 관한 것이다. 첫째, 분석 자료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한 사람으로 일본을 다녀온 이헌영(李헌永)의 보고 자료이다. 다른 하나는 일본 대장성(大藏省)이 발간한 일본의 조선무역 자료이다. 둘째, 분석 대상은 1880년 한 해 동안 조선과 일본 사이에서 이루어졌던 무역 실적이다. 이 분석을 통해서 조선의 해관(海關) 설치와 각국에 대한 개항이 본격화되기 전인 1880년 조선의 수출입 실상을 파악할 수 있게 한 점이 이 논문의 특징이다. This paper verifies the statistics of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80. First, the materials for analysis are two. One is the set of reports by Lee Heon-Yeong who visited Japan as a member of Korean Embassy to Japan in 1881. The other materials are the foreign trade reports publish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in 1881. Second, the subject of analysis is the performance of trade between the two nations for one year. It may be suggested that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80 were grasped through analyses of the trade materials reported by Lee Heong-Yeong and the Japanese Ministry of Finance in 1881.

      • KCI등재

        중추신경계 내 SIRT1의 역할

        정성,최선혜,신경호 대한정신약물학회 2013 대한정신약물학회지 Vol.24 No.2

        Silent mating type information regulation 2 homolog 1 (SIRT1) is a nicotinamide adenosine dinucleotide (NAD+)-dependent class III histone deacetylase and is distributed in central nervous system and peripheral tissue. SIRT1 interacts with various transcription factors and cofactors by histone deacetylation and is involved in the modulation of food intake, energy metabolism, circadian rhythms, learning and memory, neurogenesis and neuroprotection. Increased or decreased SIRT1 activity or levels by pharmacological treatment or in genetic animal models have demonstrated its function and role in Central Nervous System and peripheral tissue. Recent study suggests that dysregulation of SIRT1 may be involved in anxiety or depression, bu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involvement of SIRT1 in anxiety or depression. Therefore, through unraveling the functional role of SIRT1 in food intake, energy metabolism, learning and memory as well as neuropsychiatric disease, studies on SIRT1 can shed light on the new drug development in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metabolic disorder and neuropsychiatric disorder. 포유류에서 SIRT1은 NAD+ 농도에 의존하는 탈아세틸화효소로서 중추신경계 및 말초 조직에 분포되어 있다. SIRT1은 히스톤 뿐 아니라 다양한 전사 인자 및 보조인자(cofactor)들을 탈아세틸화 시킴으로 조절하여 각 생체기관에 다양한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중추신경계에 존재하는 SIRT1은 식이와 에너지 대사조절, 하루주기리듬, 학습과 기억, 신경발생, 신경보호효과 등에 관여하고 있다. 반면 SIRT1의 기능 이상시 불안이나 우울증과 같은 신경정신질환의 발병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식이나 에너지 대사조절, 학습과 기억 및 신경정신질환에서의 SIRT1의 역할 규명을 통하여 다양한 중추신경계 질환에 대한 신약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맞춤형 수출시장 진출 실증사례 분석 연구

        정성도 ( Sung Do Jung ) 한국식품유통학회 2024 한국식품유통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0

        우리나라 농업은 내수 시장의 한계와 이상기후로 인한 여건 악화로 인해 지속 가능성에 위협을 받고 있다. 농업 기반을 유지하기 위한 생존전략으로 해외시장 진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메가 FTA 체결에 따른 농산물 시장 개방 등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따라 정부에서도 이를 국정과제로 설정해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기존 FTA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은 수준의 시장개방이 예상되는 CPTPP(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를 기회로 삼아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대응 전략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비교우위지수(MCA)와 국제무역센터(ITC)의 수출잠재력 분석 결과를 교차분석하여 수출유망시장과 수출유망품목을 선정했다. 수출유망시장으로는 베트남,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을, 수출유망품목으로는 딸기, 포도, 복숭아, 단감 등을 선정했다. 선정된 수출유망시장과 품목 중 베트남에는 단감, 싱가포르에는 복숭아를 수출 실증하였다. 베트남 시장에는 단감 프리미엄 전략과 공급체계 구축을 통해 중국산과 차별화된 시장에 진입하는 것이 필요하며, 싱가포르 시장에서는 ‘라이브커머스’ 등 한국산 홍보를 통해 프리미엄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여 후속 수출을 유발하는 것이 중요한 전략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병행하여 실질적인 수출 전략을 도출해낸 데 있다. 이 결과는 후속 수출 실증 연구에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농식품 수출지원 정책의 수립과 실행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