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임프란트 보철의 abutment 유무에 따른 유한 요소법적 응력분석

        정성조,이준규,정재헌 대한치과이식임플란트학회 1997 The Korean Academy of Implant Dentistry Vol.16 No.1

        The attraction to endosseous implants lies in the potential for improved function, improved esthetic, and more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in the superior prostheses, fixture, and supporting bone. Implant for single tooth replace is especially needed esthetics, and that was mainly established by use of various super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resses in implant prosthesis and fixture, and supporting bone according to with and without abutment between fixture and superstructure.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is study modeled 4.0X14 mm cylindrical type implant fixture with the external hexed type of 0.75mm, and two models are completed. Model A is without abutment, so implant superstructure is direct connected in fixture, and Model B is with abutment on the fixture. The vertical load of 200N and 30° lateral load of 100N was applied at the cusp tip of the prosthe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Under vertical and lateral loading, the amount of displacement was larger at the model B with abutment than at the model A without abutment. 2. Under vertical and lateral loading, less equivalent stress was represented at the model B with abutment than at the model A without abutment. 3. Under vertical and lateral loading, model B with abutment showed more stress in fastening screw than at the model A without abutment. 4. Under vertical and lateral loading, model B with abutment showed less stress distribution in fastening screw than at the model A without abutment. A 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case of using abutment between implant fixture and final prostheses, large displacement is occured and the stresses is concentrated at the fastening screw. The other hand, when the implant superstructure is direct connected to implantfixture without abutment, less displacement is occured and the streses is widely distributed to the supporting bone. That results means intermittent abutment acts stress blocker and when the use of abutment, fasening screw fracture more occured than supporting bone resorption.

      • KCI우수등재

        ‘청년 세대’ 담론의 비판적 재구성: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정성조 비판사회학회 2019 경제와 사회 Vol.- No.123

        Recently, the ‘Youth Generation’ discourse is gaining attention again in Korean society. The ‘Youth Generation’ discourse reflects the economic difficulties faced by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But the ‘Youth Generation’ discourse, which pays attention to the crisis, is not only mobilized in a certain way by the needs of established politicians but also a sign that social reproduction centered on ‘normal families’ is in crisis.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Youth Generation’ discourse is highlighted by the pattern of ‘Gender Conflict’ shows that the crises of the youth generation are not comprehensively underst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reconstruct the ‘Youth Generation’ discourse, focusing on gender and sexuality. This is to examine who is called the ‘Youth,’ what is the political effect of the ‘Youth Generation’ discourse, and what is the process of typing that exists behind the face of the youth. Unlike the ‘Youth Generation’ discourse, which mainly marginalizes the crisis faced by young women as a matter of their own, with the focus on distributional inequality and economic crisis, the collective resistance of young women crosses distribution and recognition and poses fundamental challenges to social reproduction and politics. Also, the phenomenon of the ‘20’s Men’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cover up and sustain the crisis of broken masculinity norms and social reproduction, as well as replace complex social inequalities with a kind of gendered generation game. Furthermore,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problem of the military, which is at the core of the gendered generation game and the gender inequality, and asks to reconstruct the ‘Youth Generation’ discourse focusing on the gender and sexuality. 최근 한국 사회에서 ‘청년 세대’ 담론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청년 세대’ 담론은 물 론 20~30대 청년 세대가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한다. 그러나 위기에 주목하는 ‘청년 세대’ 담론은 기성 정치권의 필요에 의해 특정한 방식으로 동원될 뿐만 아니라 정 상 가족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재생산이 위기에 봉착했다는 징후이기도 하다. 특히 ‘청 년 세대’ 담론이 ‘젠더 갈등’의 양상으로 부각되는 현실은 청년 세대의 위기가 통합적으 로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청 년 세대’ 담론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는 누가 ‘청년’으로 호명되고 있 으며, ‘청년 세대’ 담론의 정치적 효과는 무엇인지, 그리고 청년의 얼굴 이면에 존재하 는 타자화의 과정은 무엇인지 검토하는 작업이다. ‘청년 세대’ 담론이 주로 분배적 불평 등과 경제적 위기에 주목하면서 청년 여성이 처한 위기를 여성만의 문제로 주변화하는 것과 달리, 실제 청년 여성들의 집단적 저항은 분배와 인정을 가로지르며 사회적 재생 산과 정치에 근본적인 도전을 제기한다. 또, ‘20대 남성’ 현상은 복잡한 사회적 불평등 을 일종의 젠더화된 세대 게임으로 치환할 뿐만 아니라, 망가진 남성성 규범과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를 은폐하고 지속하려는 시도나 다름없다. 나아가 이 논문은 젠더화된 세대 게임과 젠더 불평등의 핵심이 되는 군대 문제에 주목하면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중심으로 ‘청년 세대’ 담론을 재구성할 것을 요청한다.

      • KCI등재

        보이지 않는 군인들: 한국 군대 내 동성애혐오와 성소수자 정체성

        정성조,이나영 한국문화사회학회 2018 문화와 사회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litary and homosexuality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sexual minority soldiers in the Korean military beyond the claim that homosexuality in the Korean military is a social and national “problem”. In recent years, the anti-homosexual discourses have been spreading that homosexuality in the military is causing the serious national crisis. However, substantive researches or sociological interests are insufficient. Meanwhile, homosexuality in the military has been defined as a perverse existence to be managed and punishment in the change of the ‘Sexual Harassment in Military Criminal Act’ or ‘the Military Discipline Instructions’ since the mid-the 2000s. However, unlike anti-homosexual discourse or legal discourse that calls homosexuality in the military as a “problem,” non-normative sexual identity in the military actually exists as a process rather than a fixed, essential attribute or category. In the military that is male-centered and heterosexual -oriented, sexual minorities are coping strategies for surviving by “passing” into heterosexuals and practicing being joined into the male bond, or by separately performing military service successfully. Some sexual minorities have been criticizing the military from the point of view of a man who is not a ‘heterosexual soldier’, that is, an ‘inside outsider’, by first being aware of and accepting his sexual identity in the military. These experiences reveal that self-representation carried out by sexual minority soldiers in the institutional and cultural conditions of the military is in the dilemma of self-contradiction and invisibility of homosexuality. However, this dilemma comes not from the strategic gender practice itself of the sexual minorities but from the institution itself, which reproduces homophobia and sexism and recognizes only heterosexuals as ‘men’. 최근 한국에서는 군대 내 동성애를 국가적 위기와 연결하는 반동성애 담론이 거세지고 있다. ‘군형법상 추행죄’나 ‘부대관리훈령’이 2000년대 중반 이후 정비되는 과정에서 군대 내 동성애(자)는 관리되어야 할 변태적 존재이자 처벌받아야 할 대상으로 규정되어 왔다. 본 연구는 그러한 배경 아래에서 군대 내 남성 동성애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군대와 동성애(자) 간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군대 내 동성애(자)를 ‘문제’로 호명하는 반동성애 담론 내지는 법 담론과는 달리 실제 군대 내 비규범적 성 정체성은 고정적이고 본질적인 속성이나 범주이기보다는 과정으로서 존재한다. 동성애(자)는 군대 내에서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거나 존재를 드러내지 않도록 강요당하며, 이들에 대한 차별대우는 공적/사적 영역 그리고 행위와 존재라는 허구적 구분을 통해 정당화된다. 폐쇄적이고 위계적 공간 속에서 성소수자는 이성애자로 ‘패싱’하여 남성 연대 속으로 편입되기를 시도하거나, 군인됨을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살아남는 전략을 택하기도 한다. 반면 어떤 이들은 군대에서 자신의 성 정체성을 비로소 자각하고 받아들임으로써, 남성이지만 ‘이성애자 군인’이 아닌 ‘내부의 외부인’의 관점으로 남성 중심적인 군대 문화를 비판하기도 한다. 이는 군대라는 제도적이고 문화적인 조건 속에서 성소수자 군인들이 수행하는 자기재현이 동성애의 비가시화와 커밍아웃에 따른 제도적 폭력 간 딜레마에 빠져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딜레마가 성소수자의 전략적 젠더실천 때문이 아니라, 성차별적이고 동성애혐오적인 군대라는 제도, 이성애-남성중심적 한국사회 자체에서 비롯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개방형, 은둔형, 억압형 벽장: 청년 성소수자의 커밍아웃 양상에 관한 잠재집단분석

        정성조,이희영 한국사회학회 2023 韓國社會學 Vol.57 No.4

        기존 성소수자 커밍아웃 요인 연구는 부모나 친구 등 특정 관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었기에 커밍아웃의 네트워크와 상황적인 복잡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청년 성소수자의 커밍아웃 양상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대상별 커밍아웃 여부와 상황별 정체성 관리 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잠재집단분석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커밍아웃은 일관적이고 일회적인 행위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관계 및 사회심리적 요인과 복합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 청년 성소수자 사회적 욕구 및 실태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집단분석 및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밍아웃 양상은 개방형 벽장(20.1%), 은둔형 벽장(60.1%), 억압형 벽장(19.8%) 유형의 세 가지 잠재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직장을 포함한 모든 사회적 관계에서 커밍아웃 수준이 높은 유형은 존재하지 않아 한국 사회에서 성소수자가 처한 벽장의 견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은둔형 벽장 유형은 상대적으로 커밍아웃 수준이 낮음에도 공공장소 등에서 정체성 관리에 대한 압박을 적게 느끼는 등 커밍아웃의 다층적인 성격을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이 유형에 속하는 이들은 상대적으로 커밍아웃을 집단적이고 정치적 문제가 아니라 개인적 문제로 이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셋째, 개방형 벽장 유형과 억압형 벽장 유형은 성소수자 정체성이나 커뮤니티가 중요하다는 인식 및 인지된 차별 경험의 수준이 비슷함에도 커밍아웃에 대해 상반된 인식과 실천을 보였다. 이는 성소수자 집단 내부에서도 커밍아웃과 관련해 더욱 배제된 정체성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성소수자 커뮤니티로의 참여가 주류 사회에서의 배제나 고립과 교환되는 벽장의 딜레마를 보여준다. Previous research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ming out (CO) for sexual and gender minorities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specific relationships, such as with parents or friends, neglecting the complex relational and situational aspects of CO.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this study categorizes the patterns of CO among young sexual and gender minorities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by examining eight CO relationships and nine situational identity disclosure variables. The findings suggest that CO is not merely an individual choice but intricately correlates with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Based on data from the “2021 Social Needs of LGBTQIA+ Young Adult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e LCA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re as follows: First, CO patterns consist of three latent classes: open closet (20.1%), discreet closet (60.1%), and repressive closet (19.8%). Across all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in the workplace, there were no high levels of disclosure, confirming the prevalence of the closet for LGBTQ people in South Korean society. Second, despite its low level of CO, the discreet closet type experiences less pressure to conceal its identity in public spac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CO from multifaceted perspectives. This group tends to perceive CO not as a collective or political issue but as a personal matter. Lastly, while the open and repressive closet types had similar perceptions of LGBTQ identity importance, community, and discrimination, they had conflicting perceptions and practices regarding coming out. This result suggests that even within the LGBTQ community, there may be marginalized identity groups more excluded when coming out, illustrating the closet's dilemma, where LGBTQ community participation trades off with exclusion from mainstream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