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주(譯註) : 『신당서(新唐書)』 권 214, 「열전(列傳)」 139, "유오(劉悟)" 역주(譯註) -{부(附)} 『구당서(舊唐書)』 유오전(劉悟傳) 역주(譯註)-

        정병준 동국사학회 2007 동국사학 Vol.43 No.-

        兩唐書 유오전은 여러 가지 면에서 흥미로운 사실들을 전하고 있다. 그 중 몇 가지를 적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唐代`割據藩鎭`의 연원과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당조의 통치를 약화시킨 유력한 `할거번진`들이 가진 공통점 중 하나는 그들 모두 반란을 일으킨 安祿山의 부하였다는 점이다. 단, 여기에도 두 가지 계통이 존재한다. 하나는 안사의 난 말기에 唐朝에 투항하였다가 다시 당조를 이반하고 당말까지 당조의 통치를 거부하였던, 이른바 `河北三鎭`이 그들이다. 또 하나는 안사의 난 중에 안록산을 이반하여 당조의 일원으로서 반란군과 싸우다가 반란이 종결된 뒤 당조의 지배를 벗어난, 平盧 번진과 淮西 번진이다(鄭炳俊, 「李正己 一家 이후의 山東 藩鎭-順地化 過程」, 『대외문물교류연구』 3, 2004, p.122). 유오는 이정기 일가가 지배하던 평로 번진의 군장으로 복무하였다. 그가 평로 번진에 복무하게 되는 과정과 활동 내용을 통해 당시 할거번진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세력을 키우고 유지하였는가를 잘 알 수 있다. 한편, 양당서 유오전에는 유오의 숙부이면서 宣武節度使가 된 劉全諒이란 인물이 보이는데, 그 역시 요서 평로군 출신이다. 단, 절도사 유전량은 당조에 대해 불손한 태도를 취하지 않았다. 둘째는 高句麗 遺民史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산동의 평로 번진을 지배한 李正己 일가는 고구려 유민이다. 중국 학자 孫慧慶에 의하면 안사의 난 중인 肅宗 上元 2년(761), 이정기는 平盧節度使 侯希逸과 함께 평로의 병사 2만여 명을 거느리고 遼西지역에서 오늘날의 山東지역으로 남하하였다. 그때 그들이 거느린 총인원은 병사 가족들을 포함하여 모두 10만인 정도였을 것으로 추산된다. 그리고 그 10만 중 가장 많은 숫자를 점하는 것은 漢族이었지만, 그 다음으로 많은 숫자가 고구려 유민이었을 것이라고 한다(「唐代平盧節度使南遷之后 議」, 『北方文物』1992-4, p.74). 그렇다면 이정기와 평로군의 남하는 고구려 유민사에서 큰 획을 긋는 일대 사건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 뒤 이정기는 후희일을 몰아내고 스스로 평로군의 藩帥에 올라 3세대 4대에 걸쳐 약 54년 동안 산동지역을 사실상 독립적으로 지배하였다. 그 과정에서 고구려 유민들이 여러 가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유오는 이정기 일가가 멸망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는데, 이 역시 고구려 유민사의 일대사건이라 할 수 있다. 양당서 유오전에는 이정기 일가의 멸망과정이 상세히 적혀 있다. 셋째는 이정기 일가가 멸망한 후에도 마지막까지 살아남아 당조의 지배에 순응하지 않았던 평로 번진의 잔존 세력을 살펴볼 수 있다. 이정기 일가가 멸망한 후 평로 번진은 세 개의 번진으로 분할되어 모두 당조의 명을 받드는 지역으로 바뀌었다. 하지만 유오는 이정기 일가를 멸망시킨 공으로 昭義節度使에까지 오르자 그 역시 당조에 불손한 태도를 보였으며, 그 자손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그러한 유오 일가가 의지한 세력이 바로 이전의 평로군에서 데려간 병사들이었다는 점이다. 즉 『資治通鑑』권243, 敬宗 寶曆원년 7월조를 보면 "昭義節度使劉悟之去……州也, 以…..兵二千自隨爲親兵"(p.7844)라고 적혀 있는데, 이때 ……은 평로군을 가리킨다. 또 『新唐書』권193, 「列傳」118, `忠義下·賈直言`에는 유오의 아들인 소의절도사 劉從諫에 대해 기술하

      • KCI등재

        ⌈新唐書⌋ 권214, ?列傳? 139, ‘劉悟’ 譯註

        정병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07 동국사학 Vol.43 No.-

        兩唐書유오전은 여러 가지 면에서 흥미로운 사실들을 전하고 있다. 그 중 몇 가지를 적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唐代‘割據藩鎭’의 연원과 성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당 조의 통치를 약화시킨 유력한 ‘할거번진’들이 가진 공통점 중 하나는 그들 모두 반란을 일으킨 安祿山의 부하였다는 점이다. 단, 여기에도 두 가지 계통이 존재한다. 하나는 안사의 난 말기에 唐朝에 투항하였다가 다시 당 조를 이반하고 당말까지 당조의 통치를 거부하였던, 이른바 ‘河北三鎭’이 그들이다. 또 하나는 안사의 난 중에 안록산을 이반하여 당조의 일원으로 서 반란군과 싸우다가 반란이 종결된 뒤 당조의 지배를 벗어난, 平盧번진 과 淮西번진이다(鄭炳俊, ?李正己一家이후의 山東藩鎭-順地化過程?, 대외문물교류연구 3, 2004, p.122). 유오는 이정기 일가가 지배하던 평로 번진의 군장으로 복무하였다. 그가 평로 번진에 복무하게 되는 과정과 활 동 내용을 통해 당시 할거번진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세력을 키우고 유지하 였는가를 잘 알 수 있다. 한편, 양당서 유오전에는 유오의 숙부이면서 宣武 節度使가 된 劉全諒이란 인물이 보이는데, 그 역시 요서 평로군 출신이다. 단, 절도사 유전량은 당조에 대해 불손한 태도를 취하지 않았다.

      • KCI등재

        ⌈?新唐書⌋? 권7, 德宗本紀 역주

        정병준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2 동국사학 Vol.52 No.-

        당 후기와 오대는 ‘藩鎭時代’라고도 하는데, 이는 당시 번진들이 국가?사회 전반에 걸쳐 큰 세력을 떨쳤기 때문이다. 그리고 번진이 존속한 시기는 200년간의 ‘당송변혁기’와 꼭 일치하는데, 이는 번진이 장기간의 大변혁에 중요한 작용을 하였음을 나타낸다. 그 안에서도 德宗연간(779∼805)은 번진들의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였다. 앞선 代宗(재위; 762∼779)이 번진과의 충돌을 피하며 안주 정책을 펼쳤던 것과 달리 덕종은 즉위 초기부터 강경한 자세를 보였고 그러면서 긴장이 고조되다가 마침내 양자가 정면충돌하였다. 그 결과 유명한 ‘四王二帝’의 반란이 일어나는데, 덕종이 궁지에 몰려 마침내 四王에게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였다. 이에 4왕은 일단 반란의 태도를 거두고 당조와의 공존을 바란 듯 보이지만, 2제는 황제를 칭한 만큼 반란을 지속하다가 결국 멸망하였다. ?신당서? 덕종본기는 당시의 상황을 짧으면서도 명료하게 보여주는 사료이다. 관련 사서에서는 각 반란의 시점을 명확하기 기술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신당서? 본기는 그 시점들을 명확하게 설정하고 있다. 물론?신당서? 본기는 宋代의 명분론을 강하게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관점에 따라서는 다른 견해가 제시될 수도 있다. 그리고 ?신당서? 본기는 ?자치통감?이나 ?구당서? 본기보다 간략함에도 불구하고, 두 사서에 보이지 않는 기사도 적지 않다. ?신당서?를 관통하는 번진 인식은 方鎭表의 서언에 잘 드러난다. 즉 “당은 中世이후 功을 세우고 난을 수습할 때 비록 항상 번진에 의지하였지만, 나라가 망한 것도 이들에 의해서였으니 어찌 경계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에 방진표를 만든다”(권64, 1759쪽)라고 한다. 번진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지적하면서도 결국은 경계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송대에 주류를 형성하였을 뿐 아니라 그 후 중국인의 번진론에 큰 영향을 미쳐 번진을 ‘할거세력’으로 보는 전통적 인식의 기반이 되었다(정병준, ≪日知錄≫ ‘藩鎭’ 기사를 통해 본 唐末五代의 藩鎭像,?중국학보? 44, 2001 등 참조). 이 역주의 주된 관심사는 덕종이 번진 개혁에 나선 즉위 초기부터 2제의 난이 종결되는 정원 2년(786)까지에 있다. 이 기간에 덕종은 번진 정책 외에도 여러 가지 개혁을 시도하였는데, 가장 유명한 것은 양세법의 제정이다. 양세법도 번진개혁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은 여러 연구

      • KCI등재

        해방 직후 주한미군 공산주의자그룹과 현앨리스

        정병준 한국근현대사학회 2013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65 No.-

        Nine soldiers and civilian employees of USAFIK were expelled from South Korea in early 1946 because of their involvement with communist activities. The G-2 Intelligence and Counter Intelligence Corps (CIC) were afraid that the Information & Education Section (I & E Section) of G-3 became the secret base of communist operation. The core figure was James Klonsky who was famous for his communist activities before army conscription and worked as editor of the Korean Graphic magazine published by I & E Section. He contacted with Alice Hyun who worked for the Civil Communication Intelligence Group Korea (CCIG-K), G-2, XXIV Corps as War Department civilian. Alice Hyun was Assistant Chief of District Station I of CCIG-K. She hired many North Koreans and communists as interpreters to interfere the function of CCIG-K. CIC accused that Alice Hyun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establishment of connection between the South Korean Communist Party (SKCP) and the United States Branch of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NRP). CIC also determined that the Independence newspaper which was published by the Korean radicals in LA area was sneaked into South Korea and the secret information of USAFIK was leaked out through the Alice Hyun channel. Norman Frisch, the editor of the Corps Courier, I & E Section official newspaper, James West, the cartoonist of the Daily Worker, the famous left-wing newspaper who stayed two years in Russia, and David L. Olmstead, communist who graduated from Cornell University were also charged with communist activities involvement. They were all I & E Section members. And Peter Hyun, brother of Alice Hyun and official interpreter of USAFIK, Harold Zepelin, clerk of Bando Hotel, Edwin B. Brown, Field Artilleryman, and Carl C. Sunoo, Chief of Secretariat of Military Government of North Kyongsang Province were also under suspicion of connection with communist activities. Peter Hyun openly met with Park Hon Young, the leader of SKCP, and Lyuh Woon Hyung, famous left-wing leader. Carl C. Sunoo distributed the Independence newspaper within the offices of the Military Government of North Kyongsang Province. Park Hon Young met with Klonsky, Zepelin, Frisch, and Alice and wrote recommendation letters to U.S. Communist Party (USCP) for them. USAFIK appraised that the communist group in USAFIK which was leaded by Klonsky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mmunication ring and communist cell. Also they contacted with SKCP and left-wing organizations. They brought some communist publications from U.S. for the need of SKCP and collected informations on South Korean situations for publication in U.S. They tried to established international relation with SKCP and USCP. But there were little possibility that they tried to sabotage or treason to USAFIK. Nine soldiers and civilian employees of USAFIK were expelled from South Korea in early 1946 because of their involvement with communist activities. The G-2 Intelligence and Counter Intelligence Corps (CIC) were afraid that the Information & Education Section (I & E Section) of G-3 became the secret base of communist operation. The core figure was James Klonsky who was famous for his communist activities before army conscription and worked as editor of the Korean Graphic magazine published by I & E Section. He contacted with Alice Hyun who worked for the Civil Communication Intelligence Group Korea (CCIG-K), G-2, XXIV Corps as War Department civilian. Alice Hyun was Assistant Chief of District Station I of CCIG-K. She hired many North Koreans and communists as interpreters to interfere the function of CCIG-K. CIC accused that Alice Hyun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establishment of connection between the South Korean Communist Party (SKCP) and the United States Branch of National Revolutionary Party (NRP). CIC also determined that the Independence newspaper which was published by the Korean radicals in LA area was sneaked into South Korea and the secret information of USAFIK was leaked out through the Alice Hyun channel. Norman Frisch, the editor of the Corps Courier, I & E Section official newspaper, James West, the cartoonist of the Daily Worker, the famous left-wing newspaper who stayed two years in Russia, and David L. Olmstead, communist who graduated from Cornell University were also charged with communist activities involvement. They were all I & E Section members. And Peter Hyun, brother of Alice Hyun and official interpreter of USAFIK, Harold Zepelin, clerk of Bando Hotel, Edwin B. Brown, Field Artilleryman, and Carl C. Sunoo, Chief of Secretariat of Military Government of North Kyongsang Province were also under suspicion of connection with communist activities. Peter Hyun openly met with Park Hon Young, the leader of SKCP, and Lyuh Woon Hyung, famous left-wing leader. Carl C. Sunoo distributed the Independence newspaper within the offices of the Military Government of North Kyongsang Province. Park Hon Young met with Klonsky, Zepelin, Frisch, and Alice and wrote recommendation letters to U.S. Communist Party (USCP) for them. USAFIK appraised that the communist group in USAFIK which was leaded by Klonsky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mmunication ring and communist cell. Also they contacted with SKCP and left-wing organizations. They brought some communist publications from U.S. for the need of SKCP and collected informations on South Korean situations for publication in U.S. They tried to established international relation with SKCP and USCP. But there were little possibility that they tried to sabotage or treason to USAFI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당의 한반도 정책과 대응

        정병준(?炳俊)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5

        중국 왕조의 대외정책에서 가장 우선한 것은 북방 유목민이고 그 다음이 서역이며, 한반도를 포함한 동방은 그 다음이었다. 당조 역시 기본적으로 그러한 순서에 따랐지만, 서남방의 吐蕃을 방치하여 큰 후환을 남긴다. 당조가 토번을 방치한 가장 큰 이유는 한반도 공격을 위해서였다. 물론 당조가 토번이나 서역을 전혀 방치한 것은 아니었지만, 적극적이지 않았다. 이는 당시 당조가 서방보다 한반도를 우선한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그 결과로 당조의 서역 지배는 토번 등에 의해 위기를 맞고 한반도마저 방기하게 된다. 한반도에 대한 집착이 대외전략의 실패로 이어졌던 것이다. 당의 기미주부 제도는 한반도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 특히 663년 4월 당조가 신라를 雞林州都督府로 삼은 것은 기미주 제도의 일대 변화이다. 기미주는 원래 이민족들을 여러 단위로 세분하여 분할 지배하는 제도지만, 계림주에 이르면 하나의 국가가 하나의 기미주로 되어 사실상 冊立과 차이가 없게 된 것이다. 그 전에도 몇몇 지역에서 변형된 기미주가 출현하였지만, 계림주는 그 종결형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것은 뒤에 발해에도 적용되어 홀한주도독부가 설치되었다. 계림주와 홀한주라는 형식은 당과 신라 · 발해의 상호 이해관계를 충족시켜 화평관계를 유지하는 매개가 되었다. 즉 신라 · 발해의 입장에서는 형식적 기미주가 되는 대신에 일반의 책립관계보다 더욱 밀접한 관계를 맺어 교류상 이점을 얻을 수 있었고, 당의 입장에서는 두 나라를 기미주로 삼았다는 명분을 가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 특히 당의 입장에서 ‘기미주 관계’는 오랫동안 속박되었던 ‘군현회복론’에서 벗어나는 효과도 있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립을 향한 ‘반공포로’의 투쟁: 한국전쟁기 중립국행 포로 76인의 선택과 정체성

        정병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18 梨花史學硏究 Vol.0 No.56

        When the Korean War armistice was concluded, there were 76 Korean War POWs who refused to return to their motherland and went to the third party countries. They were crystalized as a symbol of “neutrality” which meant their brave refusal to be included in extreme cold war system as well as their intellectual character to overcome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76 POWs openly expressed their anti-communist leaning at least twice in POW camps. They were anti-North Korea and pro-South Korea but not belonged to the anti-communist lines of South Korea. In general, they had anti-communist position. There was influence of Christian faith to POWs. Some of them were raised in Christian families and the others were influenced in a Pusan POW church. They wanted to go to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the United States for studying and making a fortune. Also, 76 POWs had a fear of South Korea because they saw the extreme nature of Korean society in their POW life. And there were no family members and friends in South Korea for them to depend on. When arrived at India February 1954, they broke into two parties, i.e., one was willing to stay in India, the other hoped to go to South America. North Korea government argued that the 76 POWs were North Korean citizen and should be returned to their motherland. South Korea government argued that 76 POWs were anti-communist but abducted by Indian government to India, so they should be repatriated to South Korea. 50 POWs were sent to Brazil in February 4, 1956, 12 POWs were sent to Argentina in 1956-1957. The 62 POWs who arrived at South America, lived their own separated lives. When they arrived in Brazil and Argentina, the identity of ex-POWs group completely ended. Most of them were born and spent 20 years in North Korea, few months in NKPA, more than 3 years in a POW camp, stayed 2 years in India, and lived more than 60 years in foreign countries. They lost their own motherland and there was no home country for them to return. The life of 76 POWs, their argument of vague anti-communist, and Korea’s imaginary neutrality on their life will be remembered as a part of modern Korean diaspora.

      • 1959년 한국 장로교회 분열 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정병준 한국장로교신학회 2011 장로교회와 신학 Vol.8 No.-

        1959년의 한국의 주류 장로교회는 합동과 통합으로 분열되었다. 교단 분열의 주원인에 대해 합동 측은 WCC 신학에 대한 양자의 차이 때문이라고 주장한 반면, 통합 측은 분열의 근본 원 인이 교권 논쟁이라고 주장한다. 통합 측은 박형룡 박사가 공금 유용 문제로 신학교 교장직에 서 물러난 이후, 한국복음주의자협의회(NAE) 측이 교권을 다시 장악하기 위해 WCC 논쟁을 악용했다고 생각한다. 이 논문은 두 가지 분열 원인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어느 한 쪽만을 주장하기 어렵다는 점 을 밝히려는 것이다. 또한 두 원인을 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갈라진 두 교단의 심리적 치유 를 시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본다.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월남한 서북장로교 지도자들은 남한 장로교회 안에서 강력한 교권을 형성했다. 이들은 미국 장로교 선교사들의 후원을 받으며 신학 교육의 주도권을 장악했다. 그 중심 세력은 NAE 회원들이었다. 다른 한편 1950년대 미국 장로교회 해외 선교부는 세계 에큐 메니칼 운동에서 강력한 주도력을 행사했는데, 그 영향력 아래서 한국 장로교회 안에서도 WCC와 세계 에큐메니칼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교계 지도자들이 생겨났다. 양자는 갈 등하면서도 서로 타협하며 공존했다. 그러나 1959년 박형룡 박사가 정치적으로 실각한 이후 그 정치적, 신학적 갈등이 크게 드러나게 되었다. 필자는 세 가지 이유로 합동 측의 주장을 반 대한다. 첫째, 대다수 한국 장로교인들은 에큐메니칼 운동과 WCC가 무엇인지 모르고 있었다. 그들은 지도자들을 따라 분열했다. 대부분의 목사들 역시 신학보다는 교권, 지역, 인맥을 따라 분열했다. 오직 소수의 사람만이 WCC에 대해 알고 있었고, 특히 박형룡 박사조차도 WCC에 대해 부정확하게 알고 있었다. 둘째, 통합 측은 교단을 분열시킬 만큼 WCC를 중요하게 생각 하지 않았다. 그것은 통합 측이 중도파의 견해를 따라 WCC 탈퇴를 결의한 것에서도 잘 나타 난다. 셋째, WCC에 대한 박형룡 박사의 입장과 태도는 일관성이 없고 상황에 따라 변화했다. 그러나 통합 측의 주장도 합동 측을 설득하기에는 논리가 약하다. 합동의 입장에서 교단 분열 의 배경에는 분명 신학적 이유가 없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친WCC 지도자들은 교권을 독점하고 있는 NAE 세력에 대해 반감이 있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였다. 박형룡 박사의 재정적 실수는 친WCC에게 큰 기회로 작용했다. 반면, NAE 세 력은 교권 수호와 보수 신학 수호를 동일시하면서 WCC 이슈를 정치적으로 사용했다. 그 배경 에는 국제기독교협의회(ICCC)의 매킨타이어가 제공하는 신학과 자금이 있었다. 교단 분열 과 정에서 누가 비윤리적 행위를 많이 했느냐 하는 문제는 학문적으로 밝힐 필요는 있겠지만 양 교단의 대화와 화해를 위해서는 도움이 될 것 같아 보이지 않는다. 분명한 것은 1959년 장로교 분열은 신학 논쟁과 결합된 교권 투쟁에서 기인했다는 것이다. In 1959 the main-lin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PCK) split into Hapdong and Tonghap. For the main reason of the schism, the Hapdong argues that it was based on th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both on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WCC), while the Tonghap insists that it was because of the power hegemony. The Tonghap thinks that the National Association of Evangelicals in Korea (NAE) made bad use of the WCC issue to retake their hegemony in the denomination after their reader, Dr. Park Hyong- nyong had retreated from the presidency of the Presbyterian Theological Seminary because of his financial misuse. This paper is to articulate these two reasons above mentioned are entangled each other that it is not enough to emphasize only one of them. In addition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asons of the schism seems to be helpful to open a psychological healing process of the divided denominations. After the emancipation of the Korea and the Korea War, a great number of northwestern Presbyterian church members came to the South Korea and formed a strong power group in the PCK and also took the hegemony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under the auspices of the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aries. Their core was the NAE group.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1950s the Presbyterian Church (USA) had strong influence on the WCC and the world ecumenical movement. Under the influence, some influential PCK leaders were in favor of the WCC and the ecumenical movement. The NAE and the pro-WCC groups had coexisted in a sort of compromise, but in a conflict of interest, until Dr. Park's happening. However the political and theological conflicts between both groups were sharply revealed thereafter. I refute the Hapdong's argume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ly, almost all of the PCK members at that time didn't know about the WCC and were just divided by their church ministers. Most of the church minister were also divided according to their political networks and regional backgrounds rather than their theological understandings. Even Dr. Park's understanding on the WCC was incorrect. Secondly, for the Tonghap, the WCC theology was not such a crucial matter as to divide their denomination. It appeared when they made a decision to withdraw from the WCC for the purpose of reunion with the Hapdong in accordance with the centrist view. Thirdly, Dr. Park's opinion and attitude on the WCC had been changeable depending on conditions. I also think the Tonghap’s argument is not enough to persuade the Hapdong side. There was not without a theological reason for the leaders of the Haptong. The contemporary pro-WCC leaders antagonized the NAE group who had tried to make a monopoly of the power hegemony and vice versa. Dr. Park's financial mistake turned out to the Pro-WCC group's advantage. On the other hand, the NAE group didn’t hesitate to make bad use of the WCC issue, identifying their power struggle as a tool to uphold the conservative theology. There were also theological and financial supports of the Dr. Carl McIntyre of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Christian Churches behind the NAE group. It needs to see, in academic circles, who behaved ungentlemanly more than the other in the process of the schism. However it seems of no use for their reconciliation. The point is here to say the PCK schism of 1959 was mainly due to their power struggle combined with their theological conflict on the WCC.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