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람 지문의 생김새

        정민석(CHUNG Mm Suk),이제만(LEE Je Man),손현준(SOHN Hyun Joon),백두진(PAIK Doo-Jm),박성식(PARK Seong-Si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10 No.2

        지문은 개인을 식멸하는 데 이용될 뿐만 아니라 민족의 제정인류학적 특성을 밝히고 유전병을 진단하는 례에도 이용된다. 지문은 많은 민족을 대상으로 조사된 바 있는데 한국사람을 대상으로 조사원 것은 대상자의 수가 충분하지 않거나 분석 방법이 다양하지 앉아서 한국사람의 표준치로 이용하기에 어려운 점이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람 3216 명 ( 남자 2095 명, 여자 1121 명)의 지문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표준치를 구하고, 이를 외국사람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사람의 체질인류학적 특성을 밝히고 한국사람의 유전병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경파는 다음과 같았다 1. 지운의 유형 중에서 자쪽고리형 (50 4%)이 가장 많았 , 그 다음은 소용돌이형 (42 9%), 노쪽고려형 (3 8%), 활형 (2 9%) 의 순이었다. 지문 유형의 빈도를 외국사람과 비교한 경과 한국사람은 백인과 흑인에 비하여 고리형이 적고 소용돌이형이 많은 동양인의 특성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거 한국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과에 비하여 백인과 흑인 쪽에 가까운 경향이 있었다. 2. 소용돌이형은 남자와 오른손에 않고 활형은 여자와 왼손에 많은 것으로 보아 지운 유형은 손가락의 힘과 관계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노쪽고리형은 집게손가락에 많고 자쪽고 리형은 새끼손가락에 많은 것으로 보아 고리형은 손가락에서 물건이 많이 닿는 쪽으로 열리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지문의 세부 유형 중에서는 단순하게 생긴 것이 않았다 활형에서는 노쪽피부능선과 자쪽피부능선의 수가 같은 단순활형이 많았고, 고리형에서는 동심원 또는 나선이 없는 자쪽고려형이 많았으며, 소용돌이형에서는 고리가 없는 옹성원소용돌이형이 많았다. 4. 피부능선수는 엄지손가락 (16 9 개 )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반지손가락 (13 9 개) 가운데손가락 (11 9 개), 집게손가락 (11 3 개), 새끼손가락 (11 2 개 )의 순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많았다. 황명에는 피부능선수가 없고 소용돌이형에는 피부능선수가 많은데, 피부능선수를 결정하는 것은 지문 유영뿐만 아니라 손가락 크기 운동 습관 등 다른 요인도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