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커널 기반 데이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서비스 거부 공격 탐지 방법에 관한 연구

        정만현(Man-hyun Chung),조재익(Jae-ik Cho),채수영(Soo-young Chae),문종섭(Jong-sub Moon) 한국정보보호학회 2009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19 No.1

        현재 커널 기반 데이터인 시스템 호출을 이용하는 호스트 기반 침입 탐지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시스템 호출을 이용한 침입 탐지 연구는 시퀀스 기반과 빈도 기반으로 시스템 호출을 전 처리 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실시간 침입 탐지 시스템에 적용할 때 시스템에서 수집 되는 시스템 호출 데이터의 종류와 수집 데이터가 많아 전처리에 어려움이 많다. 그러나 비교적 시퀀스 기반 방법보다 전처리 시간이 작은 빈도 기반의 주로 방법이 사용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에도 시스템 공격 중 비중을 많이 차지하고 있는 서비스 거부 공격을 탐지 하기위해 빈도 기반의 방법에 사용하는 전체 시스템 호출을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여 주성분이 되는 시스템 호출들을 추출하여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베이지안 분류기를 통하여 탐지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Currently much research is being done on host based intrusion detection using system calls which is a portion of kernel based data. Sequence based and frequency based preprocessing methods are mostly used in research for intrusion detection using system calls. Due to the large amount of data and system call types, it requires a significant amount of preprocessing ti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real-time intrusion detection systems. Despite this disadvantage, the frequency based method which require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preprocessing time is usually used.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method for detecting denial of service attacks using the frequency based metho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will be used to select the principle system calls and a bayesian network will be composed and the bayesian classifier will be used for the classification.

      • KCI등재

        BHO 이용한 웹 컨텐츠 변조 탐지 방법

        모정훈 ( Jeong Hoon Mo ),정만현 ( Man Hyun Chung ),조재익 ( Jae Ik Cho ),문종섭 ( Jong Sub Moon ) 한국항행학회 2011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5 No.4

        최근 인터넷 서비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웹 서비스는 사용자의 컴퓨팅 환경에 많은 변화를 주었다. 시사, 경제, 게임/오락은 물론, 개인 금융까지도 웹 페이지를 통해 처리 된다. 이 때, 웹 페이지는 텍스트 형태의 코드를 전송받아 DOM 정보로 가공되어 웹 브라우저에 의해 사용자에게 보여 진다. 하지만, 이 정보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접근이 가능하고 악의적인 목적으로 변조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보안 매커니즘을 우회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나 인증서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웹페이지 변조 행위를 탐지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 중 대표적인 MicroSoft 사의 MS Internet Explorer의 Add-On 프로그램인 BHO를 이용하여 웹 컨텐츠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는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Recently, with improvement of internet service technology, web service has been affecting the environment for computing user. Not only current events, economics, game, entertainment, but also personal financial system is processed by web pages through internet. When data transmission is implemented on the internet, webpage acquire text form code and transform them to DOM information, and then shows processed display to user by web browser. However, those information are not only easily accessed by diversified route, but also easily deformed by intentional purpose.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acquire logon information of users and certification information by detouring security mechanism.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opose the method to verify integrity of web contents by using BHO which is one of the Add-On program based on MS Internet Explorer platform which is one of major web browser program designed by MicroSoft to detect any action of webpage deformation.

      • KCI등재

        엔트로피 값 변화 분석을 이용한 실행 압축 해제 방법 연구

        이영훈(Young-hoon Lee),정만현(Man-Hyun Chung),정현철(Hyun-Cheol Jeong),손태식(Tae-shik Shon),문종섭(Jong-sub Moon) 한국정보보호학회 201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2 No.2

        악성코드의 탐지 및 분석 회피 기술 중 실행 압축 기술은 악성코드의 용량을 줄이고 분석가가 코드를 분석할 때 혼란을 주도록 코드를 변형하고 있다. 따라서 악성코드의 확산이 용이해지고 분석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려 신속한 대응이 어렵게 만들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실행 압축된 악성코드에 대응하기 위하여 실행 압축 해제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행 압축 프로그램은 실행되면 실행 압축을 해제하게 된다. 실행 압축 해제 때 압축되어 있던 데이터가 해제 되면서 실행 압축 파일의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추가되어 데이터의 변화가 생기게 된다. 이때 이러한 변화 때문에 실행 압축 파일의 엔트로피 값이 변화하게 된다. 실행 압축 해제가 끝나게 되면 이러한 데이터 변화가 끝나고 실제적인 프로그램이 수행되므로 엔트로피 값이 변화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실행 압축 해제되는 시점을 찾게 되면 실행 압축 알고리즘에 상관없이 실행 압축을 해제 할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행 압축 파일의 압축 해제 때의 엔트로피 값 변화량을 보고 실행 압축 해제가 끝나는 시점을 판단하여 실행 압축을 해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Packing techniques, one of malicious code detection and analysis avoidance techniques, change code to reduce size and make analysts confused. Therefore, malwares have more time to spread out and it takes longer time to analyze them. Thus, these kind of unpack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to deal with packed malicious code lately. Packed programs are unpacked during execution. When it is unpacked, the data inside of the packed program are changed. Because of these changes, the entropy value of packed program is changed. After unpacking, there will be no data changes; thus, the entropy value is not changed anymore. Therefore, packed programs could be unpacked finding the unpacking point using this characteristic regardless of packing algorithms. This paper suggests the generic unpacking mechanism using the method estimating the unpacking point through the variation of entropy values.

      • KCI등재

        API call의 단계별 복합분석을 통한 악성코드 탐지

        강태우(Tae-woo Kang),조재익(Jae-ik Cho),정만현(Man-hyun Chung),문종섭(Jong-sub Moon) 한국정보보호학회 2007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17 No.6

        최근 인터넷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정보화 저변 확대라는 긍정적 측면과 함께, 이를 이용한 악의적인 행위들이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어 사회 전 영역에 걸쳐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악의적인 용도를 위해 제작되는 악성코드의 폐해가 날이 갈수록 급증하고 있고, 또한 개인정보 유출, 해킹, 피싱 등의 응용범죄의 기본수단이 되어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들을 효과적이고 단계적으로 분석, 탐지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하여 기술한다. 본 연구는 악성코드의 은닉도와 악의적 기능 시그너처를 추출함으로서 기존의 악성코드들 뿐 아니라 새로운 악성코드와 변종들에 대해서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We have come a long way in the information age.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such technologies as the internet, we have discovered new ways to convey information on a broader scope. However, negative aspects exist as is with anything else. These may include invasion of privacy over the web, or identity theft over the internet. What is more alarming is that malwares so called 'maliciouscodes' are rapidly spreading. Its intent is very destructive which can result in hacking, phishing and as aforementioned, one of the most disturbing problems on the net, invasion of privacy. This thesis describes the technology of how you can effectively analyze and detect these kind of malicious codes. We propose sequencial hybrid analysis for API calls that are hooked inside user-mode and kernel-level of Windows. This research explains how we can cope with malicious code more efficiently by abstracting malicious function signature and hiding attribu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