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코칭 학습을 활용한 자기소개서 지도방식 연구

        정덕현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5 리터러시 연구 Vol.- No.11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writing has become these days. Therefore, aimed at college students writing guidance for writing programs are being made. This importance is highlighted in the yard there are several stories about writing a map is being researc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riting clinics aimed at college students to visit correction and proceed to map, and then verify whether any effect hypothesis is to see through. To this e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set up as follows. Writing clinic research subjects participating in a progra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ath box, self-efficacy, writing self-evaluation will be the difference in the still. The object of this study since November 2014, 2015 until January visited Hannam University writing clinic chosen by the stude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factors affecting the measurement tools forwriting, motivation, consists of a total of 19 questions. Data processing technology, statistics and SPSS WIN t-verification analysis using 17.0. When you see the results like this one STAR based on the cover letter direct correction collegiate self-evaluation has been a considerable help to improve appreciably. 글쓰기의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요즘이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지도를 위한 글쓰기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중요성이 강조되는 마당에 글쓰기 지도에 대한 여러 사례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쓰기 클리닉을 방문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던 코칭학습의 실제 예시를 소개하고, 코칭 전후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검증해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H대학교 글쓰기 클리닉을 방문한 학생들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로는 쓰기동기 영향 요인 검사지 총 19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와 SPSS WIN17.0을 이용한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글쓰기 클리닉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코칭학습 전과 후를 비교하였을 때 쓰기 태도 면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STAR에 기반을 둔 자기소개서 코칭학습은 학습자들의 쓰기 태도를 변화시키는데 상당한 도움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그릿과 학업적 탄력성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글쓰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정덕현,박송이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 of Grit and Academic Resilience on AcademicSelf-regulation: Mediating Effects of Writing EfficacyDukhyun Jeong & Songyi Park Abstract: This study verifi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it, academic elastici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in college students,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writing 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cademic elasticity, and academic self-regulation.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a survey of 183 university students at H university, and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2.0 and AMOS 2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contents of this paper, college students’ grit and academic elastic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riting efficacy, and grit and academic elastic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self-regulation. In addition, writing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self-regulation. Reflecting the research results,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enhancing 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self-regul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lead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 methods to improve learners’ self-regulation. Key Words: Grit, Academic Resilience, Academic Self-regulation, Writing Efficacy, Mediating Effects 그릿과 학업적 탄력성이 학업적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글쓰기 효능감의 매개효과정 덕 현*ㆍ박 송 이** 연구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들의 그릿, 학업적 탄력성과 학업적 자기조절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그릿, 학업적 탄력성과 학업적 자기조절 간의 그 관계에서 글쓰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연구 방법은 H대학 대학생 18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그 자료를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분석 결과, 대학생의 그릿과 학업적 탄력성은 글쓰기 효능감과, 그릿과 학업적 탄력성은 학업적 자기조절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그릿, 학업적 탄력성과 학업적 자기조절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효능감은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학업적 자기조절 향상을 위해 관련 변인을 제고하는 데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습자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한 교수법 개발과 적용으로 이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그릿, 학업적 탄력성, 학업적 자기조절, 글쓰기 효능감,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9월 30일, 수정일: 2022년 10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대학 강의전담교수(First Author, Professor, HanNam Univ., Email: sun1496@hanmail.net)** 교신저자, 한남대학교 탈메이지교양대학 강의전담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HanNam Univ., Email: emptyyou@naver.com)

      • KCI등재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영향 관계 연구: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 매개효과 중심으로

        정덕현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growth mindsets. To be more specific about this purpose, it is as follows. First, it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writing schema,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it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o a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learners who took writing courses at H University, and 186 of them were analyzed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analysis was sequentially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structural model verification, path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and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growth mindset and writing schema, growth mindset and grit, writing schema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gri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the writing schema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se results show that university-level support and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college students' writing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writing schemas and grits as well as growth mindsets. 이 논문은 2022년 09월 20일까지 투고 완료되어 2022년 09월 23일부터 2022년 10월 16일까지 심사위원이 심사하고 2022년 10월 17일 심사위원 및 편집위원 회의에서 게재 결정된 논문임. 본 논문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이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좀 더 구체적으로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 글쓰기 스키마, 그릿, 자기주도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H대학교에서 글쓰기 과목을 수강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중 결측치를 제외한 186명의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분석, Pearson 상관관계 분석, 측정모형 분석, 구조모형 검증, 경로분석, 매개효과 분석 등을 순차적으로 하였으며, 분석은 SPSS 23.0와 AMOS 23.0을 활용하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마인드셋과 글쓰기 스키마, 성장마인드셋과 그릿, 글쓰기 스키마와 자기주도학습능력, 그릿과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성장마인드셋과 자기주도 학습능력 간의 관계에서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의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글쓰기 자기주도학습능력 제고를 위해서는 성장마인드셋 뿐만 아니라, 글쓰기 스키마와 그릿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를 고양하기 위한 대학교 차원의 지원과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