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대용,박권홍,서장덕 한국경영교육학회 2011 경영교육연구 Vol.26 No.2
A lot of studies on the commercial management have revealed that the role of a leader of a company. the chief executive officer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elements to achieve further growth and development going beyond the stage of survival. As was noticed by some studies asserting that sense of humor allows a recognitive benefit for the individuals to solve the problems encountered while they implement their duties and improve flexibility coping with certain situation (Lyttle. 2007). the humor management attracts attention as one of the managerial techniques to create the performances of a business management and make use of the ability of human resources. From such point of view this Study proceeded with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innovative leadership and humor by the leaders conducting a survey of 272 employees of a small and medium industries how they influence their employees in form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how they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innovative inclin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us. significant outcome and indication were obtained at the significant level of .001 as follows:First of all.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leader was disclosed to have positive (+) effect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condly.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leader's use of humor had a positive (+) effect on establish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is Study gained different outcomes from the precedent research (Lee Dong Sup. Choi Yong Deuk. 2010). Accordingly. a leader is required not to make the circumstances of the organization rigid by berating or inquiring any mistakes committed by its members but instead using humors for concern and investing the motivation for their sustainable growth is desirable to encourage the hope of the members and improve their challenging spirit and eventually it stipulates their positive engagement in their duties. The third issue i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novative inclinati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fourth issue is; investigating the alternative model to find out the most optimized one revealed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a leader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irectly not only through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uc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owever. did not have direct effect relationship significantly on the innovative inclination, which shows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lays a role of perfect parameter. This Study deserves its contribution to finding the parameter rol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hich was not disclosed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innovative inclination by the precedent research of Chung Dae Yong. Park Kwon Hong (2010). 기업이 생존하는 단계를 벗어나 성장 발전하기 위해서는 리더인 최고경영자의 역할 뿐만 아니라 경쟁사와 비교하여 우수한 인재를 선발하고 교육훈련을 통해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기업의 성장 역량을 확보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인식되어 왔다. 또한 유머는 개인들이 직무를 수행과정 중에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인지적 혜택을 주며, 특정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성을 증대시켜 준다는 연구결과(Lyttle, 2007)처럼, 최근 유머 경영은 기업경영에서 성과 창출과 인적자원의 능력 활용을 위한 경영기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소기업 근로자를 272명을 대상으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머사용이 부하 직원의 긍정심리자본 형성에 영향을 주고 나아가 혁신성향,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다음과 같이 유의수준 .001에서 유의한 의미 있는 결과와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리더의 변혁적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에서 리더의 유머사용이 긍정심리자본 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 선행연구(이동섭․최용득, 2010)와는 다른 결과를 얻었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은 혁신성향과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각각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최적모형을 찾기 위한 대안모형의 탐색결과,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직접적으로도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리더의 유머사용이 부하직원의 혁신성향,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이 혁신성향에 대한 직접적 영향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긍정심리자본이 완전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대용․박권홍(2010)의 기존 연구를 보완하는 결과로 기존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향 간에 밝혀지지 않았던 긍정심리자본의 매개역할을 발견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의 기여라고 볼 수 있겠다.
프랜차이즈 본부와 가맹점간의 LMX의 질이 재계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ㆍ일 실증비교 연구
정대용,김춘광,이세호 한국유통학회 2008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 No.-
대다수의 프랜차이즈 관련 연구들은 프랜차이즈 본부와 가맹점사업자간의 관계를 수직적 영향력을 주고받는 관계가 아닌 대등한 위치로 가정하여 수평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러 나 최근의 연구는 수직적 영향력을 전제로 하는 리더십 이론인 LMX(Leader-Member Exchange)이론을 도입하여 프랜차이즈 가맹본사와 가맹점간에 적용되는 리더심의 유효성을 증명하고자 하였다(정대용ㆍ이세호. 2008) 특히 리더십의 영향력 프로세스에서 LMX의 질을 중요한 변수로 판단하여 이를 도입하여 결과변수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음을 실증 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이러한 결과가 한국적인 상황에서만 적용되는 현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는 확인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에 LMX 이론을 적용하여 가맹본사의 수직적인 리더십 영향력이 실제로 가맹점의 성과에까지 영향을 주는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 같은 결과가 국내에만 국한된 결과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지리적ㆍ문화적으로 우리 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 일본의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을 대상으로 통일한 실중을 시도하였다. 실중분석 결과, 한국에서는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리더십 영향력이 가맹점의 성과에 중요 한 역할을 하는 반면, 일본에서는 가맹본부의 리더십 영향력이 가맹점의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중 대학생 창업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다중집단 경로분석
정대용,김춘광,양준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4 경영교육연구 Vol.29 No.3
Unlike social atmosphere surrounding the startup, college student prefers being hired by a firm to self-employment. Since startup takes place throughout intentional and planned behavioral process, this low level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young people reflects poor effectiveness of Government political efforts to encourage them for creating new busine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better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process by modeling entrepreneurial intention, person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nd environmental variable. Our aim was to review the startup activities of college students closely by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data abstracted from total 238 respondents by both Korean(n= 79) and Chinese students(n=159). Followings refer to summary of our findings. Self-efficacy of both countries showed giving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ignificantly. Self-efficacy has influenced positively on both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Also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has affected entrepreneurial intention positively. In addition, the result of multiple group path analysis for testing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self-efficac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as well as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has no statistic significanc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presented as following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elf-efficacy was identified as an critical anteced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so government policy need to move forward actively to foster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Again, as self-efficacy gives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we suggest that self-efficacy need to be promoted so as to lead them to participate in various startup programs provided by Government. Also, the finding of this study implies that the greater participation of startup program, the greater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students have. Finally, the highlight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 of both of personal psychological variable and the degree of entrepreneurial particip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simultaneously. Accordingly, the merit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how and what aspects government policy should focus on in terms of startup supportive program for young people.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generalization can be attained by considering all critical factors together such as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as well as by collecting much more samples for further study. 창업에 주목하는 국가적 분위기와는 별개로 대학생들은 여전히 창업보다는 취업을 선호한다. 대학생들의 창업의도가 낮다는 것은 그동안 대학생을 비롯한 청년창업을 장려해 온 정부의 정책이 효과적이지 못했다는 반증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창업 행위의 대표적 예측변수인 창업의도를 중심으로 개인 심리특성 변수와 환경, 정황을 함께 고려한 연구모형을 수립, 검증함으로써 창업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특히 정부가 주요 정책 대상으로 삼고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창업참여도 그리고 창업의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창업활동과 대학생을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에 한국과 중국의 자료를 함께 수집하여 비교함으로써 한‧중 대학생이 어떤 차이를 갖는지 확인하였다. 수립된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한국(n=79)과 중국(n=159)에서 수집된 총 238명의 응답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양국 데이터를 적용하여 각각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고, 다중집단 경로분석 통해 경로값의 통계적 차이까지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양국 공히 모든 가설이 채택되었다. 즉, 자기효능감은 창업의도와 창업참여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참여도는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중집단 경로분석에서는 자기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정에서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교육․훈련방안이 포함․강조되어야 함을 밝혔다. 특히 중국 대학생보다 한국 대학생들이 창업관련 활동과 창업의도에 자기효능감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으로 확인된 바, 저하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회복과 고취를 통해 각종 지원정책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주관적 규범이 창업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매개로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Linan and Chen(2009)’s EIM을 중심으로
정대용,김영수,김지혜 한국경영교육학회 2018 경영교육연구 Vol.3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empirical study is to understand what factors determin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Linan and C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Model(EIM) and focus on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entrepreneurship education. [Methodology] The study applied the Linan and C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Questionnaire (EIQ) based on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45 university studen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an be used in the reliability and variability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 The hypotheses are tes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s and sobel test. [Findings]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ositively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subjective norm does not directly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 Subjective norm positively affects personal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ersonal attitude has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behavior control. [Implications] Implications for educators and practitioners are as follows.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we used the Linan & Chen’s entrepreneurial intention model. Results demonstrated that subjective norm influence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e antecedents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results also confirmed that personal attitudes are the most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limitation and areas for future research. [연구목적] 기업가정신교육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합리적인 교육을통하여 기업가적 태도를 개발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과 Linan and Chen이 개발한 창업의도모델(EIM)를 기반으로 실증적 분석을 통해 개인의 창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기업가정신교육 계획을 설계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고, 창업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매개로 주관적 규범과 창업의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계획된 행동이론과 Linan and Chen의 창업의도설문지(EIQ)를 이용하여 대학생 245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표본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위한 확인적요인분석과 가설검정을 위한 구조방정식모형과 Sobel test 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분석 결과, 창업태도 및 지각된 행동통제는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미쳤지만 주관적 규범은 창업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은 창업태도 및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창업태도는 지각된 행동통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주관적 규범은 창업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를 매개로 하여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 실증적으로 검증된 Linan and Chen의 창업의도모델과 창업의도설문지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활용하여,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창업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를 통해서만 창업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기존 국내 창업의도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효과적인 기업가정신교육과 정책개발 관련하여 학문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ennis 競技에 있어서 得點을 爲한 技術 要因 分析
鄭大溶,李喆熙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83 碩士學位論文集 Vol.1 No.-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echnical factors involved in scoring the points which were scored in the junior tennis semifinals and the finals of the national tennis singles tournaments held in 1982. The scores of 52 boy and girl players have been check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coring rate by causing one's opponent to commit errors was much higher than by attacking from the net: with the boys, it was 3.6 times higher and with the girls, 3.8 times higher. 2. The scoring rate by attacking from the net showed that the passing shot and the volley were the highest scoring techniques in the case of the boys, winners and losers alike; whereas the volley was the highest scoring technique with the girl winners and the ground stroke with the girl losers. 3. The rate of scoring by causing one's opponent to commit an error showed that the service was the highest scoring technique with the boys, and with the girls it was the ground stroke. 4. When points by attacking from the net and points by causing the oponent to error were combined, the order of the rate of scoring in all the techniques was the service, the ground stroke, the service return, the approach shot, the volley, and the passing shot in the case of the boys, the ground stroke, the service return, the service, the approach shot, the double fault by the opponent, and the passing shot for the girls. 5. In serving, when the ball was served to the backhand side of the opponent, the scoring rate was highest both for the boys and for the girls. 6. In the case of the service return, A. The boys got the highest scores when using a flat drive and a slice ; while the girls made theirs when using a (top spin) drive. B. Also the girls, the scoring rate was the highest when the ball was service returned using a drive in a cross-court direction. 7. In the case of ground strokes, for both the boys and girls, the highest scores were obtained using a backhand slice in a cross-court direction. 8. In the use of the approach shot, A. With the boys, the scoring rate was the highest when the ball was stroked using a backhand slice in a straight direction, and they scored 2.6 times as high as the girls. B. With the girls, the scoring rate was the highest when the ball was stroked using a forehand drive in a cross-court direction, and they scored 2.7 times as high as the boys. 9. As for the passing shot, A. The scoring rate for the boys was the highest when the ball was stroked using a backhand drive in a cross-court direction, and they scored 2.9 times as high as the girls. B. For the girls, the scoring rate was the highest when the ball was stroked using a backhand slice in a straight direction, and they scored 2.3 times as high as the boys. 10. The boys and girls got almost the same rate of scores whether they stroke the ball in a straight direction or in a cross-court direction in using the volley.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초 연기력 심사기준 확립의 필요성
정대용 한국문화예술교육학회 2012 모드니 예술 Vol.7 No.-
기초연기의 평가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그리고 대학의 실기과목평가로, 더 나아가 연기관련 대 학입시, 각종 청소년연극제와 그에 포함된, 또는 독립적인 독백 콘테스트 등에서도 실시되고 있 다. 그러나 심사자의 전문적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연기력 평가는 객관적인 기준의 평가가 되기 어렵고 그에 따른 공정성 및 객관성에 대한 문제가 적지 않게 제기되어 왔다. 아무리 전문 적인 심사자들 일지라도 완전히 일치하는 심사결과를 얻는 경우는 흔치 않다. 즉, 화술이나 감 정표현, 호흡, 발성, 움직임 등 심사자 각자의 연기력 평가의 심사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평가대 상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어렵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