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실의 감염 실태와 감염예방 관리 실태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정남해,배원진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6 No.2

        목적 : 부산 지역 내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실의 감염성 질환 감염 실태와 감염예방 관리 실태에 관하여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6년 6월 한 달 동안 감염성 질환 감염 실태, 감염예방 관리 및 감염관리 인식도의 네 파트로 구성된 설문 지를 부산 지역 내 작업치료실 23 곳, 작업치료사 1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 34.8%의 의료기관에서 작업치료사들이 옴, 결핵, C-diffficile, MRSA, HFM 등의 감염성 질환을 경험하였다. 작 업치료사는 대부분의 감염예방 관리 항목에서 수행도가 높으나, ‘15초 이상 손 씻기’와 ‘장갑 착용 전·후에 손 씻기’, ‘치료 시 마스크 착용’과 ‘사용한 마스크 즉각 버리기’, ‘화장실 이용 시 시트 클리너 사용하기‘ 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다. 그 외 ‘피, 침, 고름 및 분비물로 오염된 세탁물을 일반 세탁물과 분리 세탁하기’항목에서 낮은 수행도를 보였 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치료사는 작업치료 임상에서 감염관리 교육은 중요하고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현재 감염교육은 대부분 근무처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감염예방 관리 수행 향상을 위해서는 치료사 개인의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도적인 뒷받침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차후,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감염관리 교육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infection for infectious diseases and infection control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This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the survey composed of the status of infection for infectious disease and the infection control and awareness of the infection control. The duration of survey was a month, June, 2016. 111 occupational therapists in 23 room of occupational therapy completed a survey. Results : 34.8% of occupational therapy room experienced the infectious diseases. This study showed the occupational therapists have high performance in almost items of infection control. But the occupational therapist showed the low performance in the items including ‘Washing hands over than 15 seconds’, ‘Washing hands before and after wearing gloves’, ‘Wearing mask during treatment’, ‘Throwing away mask after using’ and ‘Washing your uniform separate from other cloths’. Almost occupational therapists think infection control is important and the education for infection control is needed in occupational therapy. But most of the education is implemented in only medical institution. Conclusion : To improve performance in infection control, individual effort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are needed. This study will use as basic data for the education about infection control aimed at the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후보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동향 : 2003년부터 2014년까지의 연구를 중심으로

        정남해,장문영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5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3 No.1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analyze published research papers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field and trends. Methods : Types of studies, research trends, levels of evidence, participants, funding sources and research areas were analyzed and described by using 97 selected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14. Results : Every 5 years, the most frequent type of study was experimental research. The numbers of experimental studies and review studies have been increasing. The most frequent level of evidence was one group non-randomized study, followed by case reports. The highest percentage of participants were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the most common diagnoses wer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developmental delay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Most of the participants w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most frequent sample size was below 10. The percentage of research grant from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has been over 50% since 2008. The research areas focusing on the standardized assessments were mostly sensory modulation, interaction and development and the non-standardized assessments were behavior observation and clinical observation. Conclusion : Higher level of studies and comprehensive research methods will be needed.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with the high sensibility on sensory integration which developed in the domestic need to be developed. Thus,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vidence based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목적 : 본 연구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 분야와 동향을 분석하여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학회지가 발간된 2003년부터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2003년부터 2014년까지 학회지에 수록된 97개 연구의 형태 및 동향, 근거수준, 대상자, 연구비 지원 수혜 연구의 비율, 연구영역을 분석하였다. 결과 : 매 5년마다 연구 형태는 실험연구 비율이 가장 높았고, 실험연구와 고찰연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질적 수준을 살펴보면,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사례 연구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그 중 전반적 발달장애와 발달지연, 지적장애 순으로 많았다. 대상자의 연령은 초등학생, 유아 순으로 많았으며, 대상자 수는 10명 이하가 가장 많았다. 2008년 이후 수록된 전체 연구중 연구비 지원 수혜 대상 연구는 50%이었다. 표준화된 평가 중심으로 연구영역을 살펴보면, 감각조절, 상호작용, 발달 순으로 많았고, 비표준화된 평가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행동관찰과 임상관찰 순으로 많았다. 결론 : 높은 근거 수준의 연구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감각통합을 측정하는 민감도가 높은 체계적인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작업치료의 근거중심실행을 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이 대학생활 적응 및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 작업치료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남해,이춘엽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2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6 No.7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ality on adaptation to college and stress coping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From April to May 2022, data were collected using online questionnaires on IPIP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SACQ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and WCCL (Way of Coping Checklist) for 238 college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greeableness, extraversion, and conscientiousnes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daptation to college, but neuroticis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p<.05).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neuroticism, the less adaptable to college life, and the higher the extraversion and openness to experience, the better the adaptation to college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stress coping, neurotic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wishful thinking, and all other item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p<.01).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the more actively they cope with stress.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neurotic personalit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college life by passive coping with stress. It is necessary to manage college students with neurotic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programs for them should be prepared at the university level.

      • KCI등재

        척수손상 장애인의 지역사회 이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남해,장문영,김현지 대한작업치료학회 2015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3 No.4

        목적 :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지역사회 내에서 독립적인 휠체어 이동을 하고 있는 척수손상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동 경험과 대처 전략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독립적으로 지역사회 내에서 휠체어 이동을 하고 있는 5명의 척수손상 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하였고 면담 후 추가적인 내용 확인은 전화나 이메일을 이용하였다. 녹음된 내용은 전사한 후 여러번 읽으면서 분석하였다. 결과 : 면담 내용은 4개의 주제와 12개의 중심의미, 48개의 의미단위로 정리하였다. 지역사회 내 독립적인 이동 시 어려움에 관한 경험에는 물리적 환경, 개인적 맥락, 관련 서비스, 자연 환경에 의한 경험이 포함 되었고, 도움에 관한 경험에는 타인으로부터의 도움, 변화 및 대처전략에는 발전적 변화, 환경 선택 및 위축이 포함되었다. 사회에 대한 기대에는 물리적 환경, 국가 체계 및 서비스에 대한 기대가 포함되었다. 결론 : 척수손상 장애인의 지역사회 내 휠체어 이동의 안전과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물리적 환경을 개 선할 때에는 이용자 중심의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며,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정서적 지지와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작업치료사들의 조직적, 개인적 노력과 더불어 사회와 국가의 지지가 요구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experience and coping strategies on wheelchair mobility in the community for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Methods : Five people with spinal cord injury performing independent wheelchair mobility in the community were recruited.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ace to face interview.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according to Giorgi’s analysis method. Results : The content was organized into 4 theme, 12 main meaning and 48 meaning units. Experience on wheelchair mobility in the community involves physic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personal context, related service and natural contexts. Theme about change, and coping strategies involve developmental change, choice of environment and withdrawal. Expectation for society involve expectation about physical environment, national system and service. Conclusion : To improve safety and accessibility for cl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detailed approach to physical environment will be needed. To improve social environment, non-disabled people need to have conscious effort and emotional support for disabled people. Along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effort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social and national support are needed.

      • KCI등재

        학교기반 작업치료에 관한 체계적 고찰

        정남해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14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12 No.1

        목적 : 본 연구는 학교기반 작업치료 중재 및 평가에 관한 근거마련을 위하여 체계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 : 2000년 이후부터 2014년 6월까지 PubMed와 Ovid의 데이터베이스에서 school or children and occupational therapy의 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여 총 14개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본문을 통해 대상연구의 근거수준, 대상자, 평가도구, 중재영역 및 방법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자는 정상아동(64.3%)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자폐(14.4%)이었다. 연령은 6~8세(35.7%)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5~7세와 5~12세(14.4%)이었다. 중재영역은 글쓰기 및 소근육과 시운동 통합(68.8%)이 가장 많았고, 중재방법은 직접치료(71.4%)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 분석결과, Beery-Buktenica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14.9%)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1.1%)이었다.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 시운동 통합, 학습 기술, 참여 수준, 소근육 운동, 놀이, 행동적 문제에서 효과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학교기반 작업치료의 중재, 대상자, 평가도구 및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는 학교 기반 작업치료 임상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through a systematic review Methods : We systematically reviewed studies published in PubMed and Ovid from 2000 to June 2014 using keyword 'school' or 'children' and 'occupational therapy'. Fourteen studies were selected. The level of evidence, participants, assessment, intervention area, method and effects were analyzed by reviewing full text. Results : The most group and age of participants were normal child with fine motor difficulties and 6~8 years old in selected studies. The most target area of intervention was handwriting, fine motor and visuo-motor integration (68.8%) and the most method was direct treatment (71.4%). The top on the assessment was Beery-Buktenica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 (14.9%) and next was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11.1%). Effects of school based occupational therapy were founded in the visual motor integration, learning skill, level of participation, fine motor, play and behavioral problem. Conclusion : This systematic review provides evidence concerning the participants, intervention, assessment and effects of school based occupational therapy. It should be used for basic data for the research and practice of school-based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정남해,장문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3

        목적 : 부산 내 거주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알아보고, 운전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발병 전 운전경력이 있고 현재 외래로 병원 및 복지관에서 작업치료서비스를 받고 있는 뇌졸중환자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13문항, 대상자의 운전현황 7문항,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 1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기간은 2013년 12월∼2014년1월이었다. 결과 : 대상자의 50.0% 이상이 운동능력평가와 장애인 운전 교육 시행기관에 대하여 ‘전혀 모른다’고 응답하였 고, 현 운전자 그룹은 운전재활 지원정책에 대한 인식수준이 비운전자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 다. 운전재활에 대한 요구도 분석결과, 장애인을 위한 운전재활기관(89.5%), 운전 적합성에대한 인지 및 지각 평가(88.6%), 운전 적합성에 대한 평가와 장애인을 위한 자동차 개조(86.9%), 운전보조 장치 처방(86.8%)에 대 하여 ‘매우 필요하다’와 ‘필요하다’의 비율이 80.0%를 넘었다. 운전재활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는 비운전자가 현 운전자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대상자들이 운전재활전문가로서 가장 적합한 전문분야는 작업치료라고 응답하였다. 장애인을 위한 운전재활과 관련하여 개선되어야할 부분은 교육 및 훈련시설 확충이 가장 높았고, 평가 및 훈련 비용 지원, 홍보 순이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았으며 장애인 운전재활의 발전을 위하여 비용지원과 운 전지원센터 설치 등의 제도적 지지와 작업치료사의 역할 확대 및 강화, 운전재활에 대한 적극적 홍보 등 전문가 적 책임이 요구된다.

      • KCI등재

        치매 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기반 작업치료에 관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 체계적 고찰

        정남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systematically 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tudies about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 : Eight studies was searched by key words ‘Community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dementia’ in PubMed database in January 2019. The quality of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y Pedro scale, and the contents were summarized by PICO. Result : The interven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showed that the education and training on the use of assistive devices and simplification of daily life activities, multifaceted intervention, activity adjustment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In the evaluation, the tool of language ability, physical ability, cognition, ADL, quality of life, neuropsychiatric symptom and emotion for dementia elderly was used. The results tha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ll results were higher than those that were not. Conclusion :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be helpful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domestic protocols for community-bas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목적 :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작업치료의 효과를 알아본 무작위대조군 연구에 관한 체계 적 고찰이다. 연구방법 : 2019년 1월에 PubMed 데이터베이스에서 ‘Community AND occupational therapy AND dementia’ 검 색용어로 검색하여 총 8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문헌의 질은 Pedro scale로 분석하고, PICO로 정리하 고 연구 대상자, 중재, 대조군,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8편의 중재 내용을 분석하면 보조도구 사용에 대한 교육 및 훈련, ADL의 단순화에 대한 교육, 다 학문적 중재, 활동 맞춤, 인지재활이었다. 평가영역은 치매노인의 언어능력, 신체능력, 인지, ADL, 삶의 질, 신경정신학적 증상과 정서이었고, 그 중 ADL에 관한 평가가 가장 많았고, 평가도구 중에 는 IDDD를 가장 많이 실시하였다. 전체 결과값 중 유의한 향상을 보인 결과값이 그렇지 않은 결 과값보다 많았다. 결론 : 추후 치매 노인을 위한 국내 지역사회작업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뇌졸중 후 편마비 운전자의 운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남해,장문영,김경미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4

        목적 : 운전을 하고 있는 뇌졸중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경험을 통한 어려움 및 전략들을 알아보고자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운전자를 대상으로 운전 경험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현재 운전을 하고 있는 장애 4, 5등급의 뇌졸중 환자 5명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 해 가정을 방문하여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내용은 녹음 및 필사로 담아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3개의 주제와 12개의 중심의미 및 24개의 의미단위로 도출하였다. 대상자들은 자신의 운전능력에 대한 불안감, 주변인의 간섭 및 반대, 지각손상의 경험, 환경적 장애 등을 경험하였고, 직접 정보수집, 자 기 격려, 보조도구 설치 및 기어변경, 위험노출의 최소화와 적극적인 사회적 권리 추구 등의 대처 전략 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전을 통해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휴식 및 레져가 가능 해졌고 결과적으로 자기 만족이 향상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뿐만 아니라 가족 및 운전재활 전문가들이 운전 재개시 어려움을 예측하고 이에 대한 전 략 을 세우는 것이 효율적이고 안전할 것이다. 본 연구가 그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riving experience and adaptive strategy of drivers after a stroke using a phenomenological method. Methods : A phenomenological method was applied to this qualitative research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five drivers regarding their difficulties and strategies while driving after a stroke. Their disability ranking was 4 or 5. To gather information, the researcher had face-to-face conversations at each driver’s home. The interview content was recorded, transcribed, and analyzed. Results : Three themes, 12 main ideas, and 24 meaning units were presented. After their stroke, the drivers experienced anxiety in their driving capacity, interference and negative reactions from other people, perceptu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barriers, and they implemented coping strategies such as gathering first- hand information, self-encouragement, installation of assistive devices and gear transmissions, avoided exposure to dangers, and actively pursued their social rights. After their stroke, the drivers easily performed their roles, rested, and enjoyed leisure time through driving, consequently leading to an improvement in their self satisfaction. Conclusion : Predicting certain difficulties and applying planning strategies will be an efficient and safe method not only for stroke patients but also their families and driving rehabilitation specialists.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such research.

      • KCI등재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과 측정방법에 관한 체계적 고찰

        정남해,장문영 대한작업치료학회 2014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2 No.1

        목적 : 본 연구는 체계적 고찰을 통해 외상성 뇌손상 운전자의 운전능력 측정방법을 분 석하고, 운전능력을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4월∼5월까지 MEDLINE, Ovid, IOS press, OT seeker, Cochrane library, ScienceDirect 데이터베이스에서 ‘automobile driving (Mesh Term), drive, driver ’와 ‘brain injury (MeshTerm), head injury’의 키워드로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10개의 연 구를 선정하였다. 포함연구의 근거수준을 살펴보면 Ⅱ는 8개, Ⅲ은 1개, Ⅴ는 1개이었 다. Down & Black 기준에 따른 방법론적 질을 살펴보면, 완벽과 우수 연구는 0개, 보통 은 3개, 나쁨은 7개이었다. 혼합 연구를 Critical Appraisal SkillsProgram 질적 평가에 따 라 분석한 결과, 우수한 수준이었다. 결과 : 운전능력측정 요인을 분석한 결과, 운전시뮬레이터는 8개의 요소, 자가측정보고 는 7개의 요소, 실제도로평가는 6개의 요소로 분석되었다. 요소별 빈도는 보고된 교통 사고(13.3%)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운전능력에 관한 자기지각(10.0%)이었다. TBI 운전자의 운전능력을 분석한 결과, 보고되거나 보고되지 않은 교통사고 빈도가 일반 성 인이나 CVA 운전자보다 높았고, 위험에 대한 속도는 정형외과 질환을 가진 운전자나 일반 성인보다 느렸다. 또한 TBI 비운전자 및 일반 성인보다 스스로의 운전능력에 대해 높이 평가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가 TBI 환자의 운전능력 평가시 다양한 요소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고, TBI 환자의 운전 재개에 있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훈련 및 전략 관 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 method for measuring the driving ability of drivers sufferingfrom a traumatic brain injury. Methods : We systematically searched published studies in MEDLINE, Ovid, IOS press, OT seeker, Cochrane library,and the Science Direct database from April to May 2013. The keywords used in the search were ‘automobiledriving’, ‘drive’, ‘driver’, and ‘brain injury or head injury’. Grade II rated evidence was found from eight studies,and grade III and V rated evidence was found from one study each. The methodological levels of the quantitativestudies were fair (3) and poor (7), and the qualitative study was good (1). Results : The measurements for the driving ability were 8, 7, and 6 based on a driving simulation,self-administration, and a real road test, respectively. The reported traffic accident variable was used mostfrequently (13.3%), and the self- perception of the driving ability was the next frequently used. The results of thedriving ability showed that TBI drivers had a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accidents and as a lower response fordangerous situations than normal persons or other patients. TBI drivers rated high in ability to drive on their own. Conclusion : This study presented a variety of variables to use when occupational therapists assess the drivingability for persons with TBI, and proposed that active and consistent training and management for an adaptivestrategy are needed for the resumption of driving with drivers with TB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