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環境法上의 協同의 原則

        鄭南哲 한국환경법학회 2003 環境法 硏究 Vol.25 No.1

        Das Kooperationsprinzip wird nach h. M. ein allgemeiner Rechts-grundsatz des Umweltrechts erfasst. Im Bereich des Umweltrechts werden konsensuale Instrumente verstiirkt. Denn die aktuellen Umwelt-probleme beziehen sich wesentlich auf komplexe Verwaltungsent-scheidungen. Der Kooperationsbegriff bezeichnet im Allgemeinen jedes Zusanrmenwirken zwischen Staat und Gesellschaft. Im Mittelpunkt dieses Begnffs stehen Mitverantwortung und Mitwirkung. Das Konzept Kooperation bedeutet ein Paradigmenwechsel im Staats-und Verwaltungsrecht. Zwar basiert staatliches Handeln traditionell auf einseitigen Verhaltensregelungen, aber kooperative bzw. konsensuale Instrumente werden immer wider betont. Das Kooperationsprinzip dient der Vollzugserleichterung durch Konsens. Dariiber hinaus kann die Moglichkeit der Kooperation zwischen Staat und Wtrtschaft Vollzugsdefizite im Umwelhht beheben. Das Kooperationsprinzip findet sich aber im Rechtsstaatsprinzip verfassungsrechtliche Grenzen. Dabei handelt es sich darum, in

      • KCI등재

        유럽연합(EU) 인공지능규범의 제정과 특징

        정남철 유럽헌법학회 2022 유럽헌법연구 Vol.- No.38

        On February 19, 2020, the European Commission published the White Paper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addition, on April 21, 2021, an Regulation on AI was proposed. The AI regulation propos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can be seen as the first norm on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even before such an AI regulation was proposed, the European Commission presented the EU’s future digital strategy and included such a policy in the White Paper on AI. The AI White Paper is the European Union’s future blueprint for AI.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hite paper emphasizes the ‘ecosystem of trust’. There are concerns about the uncertain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violation of fundamental rights or threats to democracy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cause, and the establishment of an ecosystem of trust is a response to this. The European Union is trying to solve this problem by building a trust ecosystem on the premise of the uncertain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such, the EU policy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ms to implement human-centered artificial intelligence. However, the AI white paper does not contain specific and binding regulatory measure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Regula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proposed by the European Commission on April 21, 2021 has practical meaning. In the AI Regulation, the important framework presented in the AI White Paper is largely maintained, and it can be seen that these contents form a central element of the AI Regulation. If the AI Regulation is enacted, it will be the first regulatory system with direct binding force on member states. The AI norms are the minimum safeguards for innovation and investment in AI. It is noteworthy that the regulatory system based on risk was established. In particular, the requirements and obligations for high-risk AI are impressive, and it is worth referring to establishing a regulatory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in Korea. These contents are a reflection of the risk-based AI regulatory policy presented in the previous White Paper on AI. Considering that these regulations are not limited to EU member states and can affect providers or users in third countries,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and trends in the enact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mmands and to prepare effective countermeasures. 지난 2020년 2월 19일 유럽집행위원회는 인공지능백서(White Paper on Artificial Intelligence)를 발표하였다. 또한 2021년 4월 21일에는 인공지능명령(Regulation on AI)을 제안하였다. 유럽집행위원회가 제안한 인공지능명령은 인공지능에 관한 최초의 규범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지능명령안이 제안되기 전에도 유럽집행위원회는 유럽연합의 미래 디지털전략을 제시하고 인공지능백서에서 그러한 정책을 포함하고 있다. 인공지능백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유럽연합의 미래 청사진이다. 특히 인공지능백서에서 ‘신뢰 생태계’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인공지능의 불확실성과 인공지능이 초래할 기본권 침해나 민주주의에 대한 위협 등을 우려하고 있으며, 신뢰 생태계의 구축은 이에 대한 대응이다. 유럽연합은 인공지능의 불확실성을 전제로 신뢰 생태계의 구축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처럼 유럽연합의 인공지능에 대한 정책은 인간중심적 인공지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인공지능백서에는 구체적이고 구속력이 있는 규제방안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2021. 4. 21. 유럽집행위원회가 제안한 ‘인공지능명령’은 실천적 의미가 있다. 인공지능명령안에는 인공지능백서에서 제시된 중요한 골격이 대체로 유지되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인공지능명령의 중심적 요소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공지능명령(안)이 제정되면, 회원국에 대해 직접 구속력을 가진 최초의 규율체계가 될 것이다. 인공지능규범은 인공지능에 대한 혁신과 투자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다. 리스크에 기초한 규제체계를 확립한 점이 주목된다. 특히 높은 리스크를 가진 인공지능에 대한 요건과 의무부과는 인상적인데, 인공지능에 대한 규제체계를 확립할 때 참고할 만한 사항이다. 이러한 내용은 종전의 인공지능백서에서 제시한 리스크 기반의 인공지능 규제정책이 그대로 투영된 것이다. 이러한 규제가 유럽연합 회원국에 국한되지 않고 제3국의 제공자나 사용자에게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공지능명령의 제정과정과 동향을 주목하고 이에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원전폐쇄와 재산권보호

        정남철 헌법재판소 2014 헌법논총 Vol.25 No.-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하여 독일 연방의회는 2011년 7월 31일 원자력법의 개정을 의결하였다. 원자력법 제13차 개정 법률은 원자력 에너지의 평화적 사용의 중지에 대한 경과기간을 단축시키고 있다. 여기에서 원전폐쇄에 관한 규정이 독일기본법에 합치하는지 여부가 문제가 되고 있다. 이미 독일에서는 2002년 7월 25일 원자력법의 개정(소위 핵에너지이용종지법)에 의해 연방정부와 에너지공급회사 사이의 합의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2010년 기민․기사당과 자민당의 연립정부는 에너지구상에 근거하여 17개 원자력발전소의 운영기간을 연장하였다. 그리고 환경친화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공급에 관한 연방정부의 에너지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2010년 12월 8일 제11차 원자력법 개정이 있었다. 그러나 연방정부의 갑작스런 에너지정책의 전환으로 인하여 원전사업자들은 원전폐쇄에 있어서 운영기간의 단축을 규율하고 있는 원자력법 제13차 개정 법률이 자신들의 기본권(기본법 제12조, 제14조 및 제3조 제1항)을 중대하게 침해하고 있다고 여기고 있다. 본고는 주로 원전폐쇄에 관한 규정이 기본법 제14조의 재산권조항을 위반하였는지 여부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현안과 관련하여 독일의 학설은 대립하고 있다. 위에서 언급한 헌법문제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연방헌법재판소의 수용개념이 매우 중요하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는 최근 재화조달과정이 공용수용의 전형적 표지가 아니라고 결정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원전의 단계적 가동중단에 관한 원자력법 제13차 개정 법률이 기본법 제14조 제3항의 공용수용에 해당한다는 견해와 원자력법의 규정이 수용이 아니라 재산권의 내용규정으로 판단되어야 한다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원전폐쇄에 관한 규정이 연방헌법재판소의 형식적 수용개념의 요건을 충족한다면, 이 규정은 보상규정의 흠결을 이유로 위헌․무효가 된다. 비록 재화조달과정이 없더라도 원전폐쇄규정은 재산권의 내용규정에 해당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재산권에 대한 의도된 구체적․개별적 침해행위가 없어 여기에 행정수용은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입법수용은 예외적으로, 그리고 매우 제한된 경우에 허용된다. 그러나 원자력법 제13차 개정 법률은 비례원칙, 평등원칙 및 신뢰보호원칙을 위반하고 있으므로, 여기에는 조정적 보상이 필요하다. Wegen der Nukleakatastrophe von Fukushima beschloß der deutsche Bundestag am 31. Juli 2011 ein Gesetz zur Änderung des Atomgesetzes. Das 13. Änderungsgesetz zum Atomgesetz hat Übergangsfristen für den Ausstieg aus der friedlichen Nutzung der Kernenergie erheblich verkürzt. Fraglich ist dabei, ob die Ausstiegregelungen mit dem deutschen Grundgesetz vereinbar sind. Die Vereinbarung zwischen der Bundesregierung und den Energieversorgungs- unternehmen über die friedliche Nutzung der Kernenergie ist zwar durch die Novellierung des Atomgesetzes vom 25. 7. 2002 umgesetzt worden, aber die damalige Bundesregierung (schwarz gelbe Koalitionsregierung) hat im Jahre 2010 auf der Grundlage des sog. Energiekonzeptes die Laufzeiten der 17 Kernkraftwerke verlängert. Und zur Verwirklichung dieses Energiekonzeptes für eine umweltschonende und zuverlässige Energieversorgung ist das 11. Gesetz zur Änderung des Atom- gesetzes vom 8.12.2010 erlassen worden. Wegen rasanter Energiewende der deutschen Bundesregierung fühlen sich die Kernkraftwerks- betreiber durch das 13. Änderungsgesetz zum Atomgesetz, das eine Verkürzung der Übergangsfristen beim Atomausstieg regelt, wesentlich in ihren Grundrechten (Art. 12, 14 GG und Art 3 Abs. 1 GG) verletzt. Der Schwerpunkt dieses Beitrages besteht vor allem darin, ob die Ausstiegsregelungen mit der Eigen- tumsgarantie des Art. 14 GG vereinbar sind. Diesbezüglich stellt sich die Frage, ob die Ausstiegregelungen Inhalts-und Schrankenbestimmungen oder Enteignungen sind. Das aktuelle Thema ist jüngst in der Literatur umstritten. Für die Beurteilung der oben erwähnten verfassungsrechtlichen Fragen ist der formelle Enteignungsbegriff des deutschen Bundesverfassungsgerichts maß- geblich. Das Bundesverfassungsgericht hat in jüngster Zeit entschieden, dass der Güterbeschaffungsvorgang kein typisches Merkmal der Enteignung ist. Vertreten ist zum einen die Auffassung, dass die im 13. Änderungsgesetz zum Atomgesetz betroffenen Regelungen über eine stufenweise Abschaltung der deutschen Kernkraftwerke Enteignungen im Sinne des Art. 14 Abs. 3 GG sind. Zum anderen ist vertreten, dass die gesetzliche Laufzeitbegrenzung nicht als Enteignung sondern als Inhaltsbestimmung einzustufen ist. Setzen die Ausstiegs- regelungen Anforderungen der formellen Enteignung des Bundesverfassungs- gerichts voraus, sind sie wegen des Fehlens einer Entschädigungsvorschrift verfassungswidrig und nichtig. Aus meiner Sicht können die gesetzlichen Ausstiegsregelungen als Inhalts- und Schrankenbestimmung des Eigentums erfasst werden, obwohl es am hoheitlichen Güterbeschaffungsvorgang fehlt. Da es keinen gezielten konkret-individuellen Zugriff auf das Eigentum gibt, ist Administrativenteignung dafür ungeeignet. Die Legalenteignung ist ausnahms- weise und nur in eng begrenzten Fällen zulässig. Die gesetzlichen Regelungen des 13. Änderungsgesetzes zum Atomgesetz sind aber ausgleichspflichtig, weil sie gegen den Grundsatz der Verhältnismäßigkeit wie auch gegen den Gleichheitssatz und gegen den Grundsatz des Vertrauensschutzes verstoßen.

      • KCI등재
      • KCI등재

        社會保障受給權의 財産權的 性格에 관한 憲法的 判斷

        정남철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9 행정판례연구 Vol.24 No.1

        It is a question whether the right to social security belongs to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in the Constitution. There are various types of pension claims, and it is difficult to uniquely judge their legal nature.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believes that the pension entitlement has both the nature of social security benefits rights and the property rights.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is demanding that the social security benefits rights have a considerable “own contribution” and “survival” in addition to “private usefulness” in order to receiv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in the Constitution. However, as social insurance or social security develops today, the strict requirements of “own contribution” and “survival” are not appropriate. Not only is the requirement of “survival” is not consistent with the situation of the times, but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require strict self-payment. Such is the right to receive social security, for example, for dependents, as well as for children who are not supported by parent because of their divorce. In determining the property rights of social security entitlements, these strict requirements of the case law should be amended. This theory was influenced by the case law of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but it does not fit today’s situation or circumstances. In the case law, 'private utility' and 'disposal right' are proposed as core concepts of property right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However, the notion of property right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includes not only private rights but also public rights. Flexibility is often limited in these public rights. It is not desirable to grasp the property rights of social security entitlement as a theory limited to private rights. The requirements for judging the property rights of social security entitlements in the future should be reconsidered, and the concept of property rights needs to be modified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rights. 사회보장수급권이 헌법상 재산권의 보호범위 내에 속하는지가 문제된다. 연금청구권의 종류는 다양하며, 그 법적 성격을 일의적으로 판단하기어렵다. 헌법재판소는 연금수급권이 사회보장수급권의 성격과 더불어 재산권의 성격을 동시에 가진다고 보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사회보장수급권이헌법상 재산권의 보호를 받기 위해서는 ‘사적 유용성’ 외에 수급자의 상당한 ‘자기급부(기여)’와 ‘생존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보험내지 사회보장이 발전하면서 ‘자기급부’와 ‘생존확보’의 요건을 엄격히 요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생존확보는 시대적 상황에 부합하지 않을 뿐만아니라, 엄격한 자기급부를 요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컨대 부양가족은 물론이고, 부모의 이혼으로 생계를 같이 하지 않은 자녀들이 요구하는 사회보장수급권이 그러하다. 사회보장수급권의 재산권적 성격을 판단함에 있어서 판례의 이러한 요건은 수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론은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판례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나 오늘날 시대적 상황이나 여건에 맞지 않다. 또한 판례에서는 헌법에 의해 보호되는 재산권의 핵심개념으로 ‘사적 유용성’과 ‘처분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헌법에 의해 보호되는 재산권의 개념에는 사법상 권리뿐만 아니라 공법상의권리도 포함된다. 이러한 공법적 권리에는 융통성이 제한되는 경우가 적지않다. 사법상의 권리에 치중된 이론으로 사회보장수급권의 재산권적 성격을파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향후 사회보장수급권의 재산권적 성격을판단하는 요건은 재고되어야 하며, 재산권의 개념도 공법적 권리의 특성을감안하여 수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전교조 법외노조통보처분 취소소송의 법적 쟁점과 문제점

        정남철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20 행정판례연구 Vol.25 No.2

        The ruling judged that the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is case, which stipulated notification of non-law labor union, violated the rule of law. The core of this case lies not in the Enforcement Decree clause, but in the provisions of the Trade Union Act in this case. Under the Trade Union Act, the scope of 'non-worker' is up to the lawmaker to decide. The provisions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is case are procedural regulations related to the judgment of non-law unions. Also, the administration's request for rectification and notification of illegal labor unions are only part of such procedures. The plaintiff may file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against such a correction order.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law should be contested through the process of filing an unconstitutional law trial. The majority of the opinions of the ruling viewed the notification of non-law union to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as a formative administrative action, but it is difficult to see such notification as governmental authority. Acknowledging the administrative disposition of such notifications is also inevitable for the relief of rights, but it is not reasonable in light of the structure or system of the text or statute. Even if the labor union law directly stipulates the notification of the non-lawful union by the cancellation ruling in the future, fundamental problem-solving will still remain. By recognizing the formation of administrative measures in notification of non-lawful unions, the establishment of labor unions can be restricted in the manner of notification. Therefore, it is not reasonable to judge the notification of non-law union in this case as a formative administrative act. The report on the establishment of a labor union is viewed as a report requiring acceptance. However, this approach is not suitable for the nature of the report system,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establishment of trade unions can be operated on a permit system rather than a report system. It is also more confusing to prescribe this type of report system in law. In addition to this report system, it is also an important issue to ensure the rule of law.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grounds for rejection of the report after receiving the certificate of establishment under the Labor Union Ac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procedural regulations on the judgment of non-law unions in accordance with the nature of the report system. 대상판결에서는 법외노조 통보를 규정한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이 법률유보원칙에 위배된다고 판단하였다. 이 사건의 핵심은 시행령 조항이 아니라이 사건 법률 조항에 있다. 노동조합법상 ‘근로자가 아닌 자’의 범위는 입법자가 결정할 사항이다. 이 사건 시행령 조항은 법외노조 판단과 관련된 절차적규정이다. 또한 행정청의 시정요구와 법외노조 통보는 그러한 절차의 일환일뿐이다. 원고는 이러한 시정명령에 대해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법률의위헌성에 대해서는 위헌법률심판제청의 절차를 통해 다투어야 한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전교조 법외노조 통보에 대해 형성적 행정행위로 보고 있지만, 이러한 통보를 고권적 작용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통보의 처분성을인정하는 것이 권리구제를 위해 불가피한 점도 있지만, 문언이나 법령의 구조나 체계에 비추어 보더라도 타당하지 않다. 향후 취소판결에 의해 해당 법외노조 통보에 관한 내용을 노동조합법에 직접 규정하더라도 근본적인 문제해결은 여전히 남게 된다. 법외노조 통보에 형성적 행정처분을 인정함으로써통보라는 방식으로 노동조합의 설립을 제한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사건 법외노조 통보를 형성적 행정행위로 판단한 것은 타당하지 않다. 노동조합 설립신고에 대해서는 수리를 요하는 신고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접근은 신고제도의 본질에 적합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노동조합 설립을신고제가 아닌 허가제로 운영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형식의 신고제도를명문으로 인정하는 것은 더 큰 혼란을 초래하는 점도 있다. 이러한 신고제와더불어 행정의 법률적합성 원칙을 보장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이다. 향후 노동조합법에 설립신고증을 교부받은 후 신고서의 반려에 관한 근거 규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법외노조 판단에 관한 절차적 규정을 신고제의 본질에 맞게 정비할 필요가 있다.

      • KCI우수등재

        利益衝突의 問題解決手段으로서 計劃法上의 最適化命令 : 獨逸의 建築, 計劃 및 環境法에 있어서의 論議를 중심으로

        鄭南哲 한국공법학회 2003 공법연구 Vol.31 No.5

        Die Abwa¨gungsaufgabe ist insb. im Bereich des Bau- und Planungsrechts von praktischer bedeutung, da unterschiedliche o¨ffentliche und private Belange miteinander kollidieren. Es kommt dabei darauf an, ob die belange des Um-weltschutzes oder andere o¨ffentliche Interessen (z.B. Planrechtfertigung) ho¨herrangig einzustufen wa¨ren. Das Optimierungsgebot spielt dabei als ein Mittel der Problembewa¨ltigung eine wesentliche Rolle. Als beispiel des Optimierungs-gebots stellt sich die Vorschrift des §50 BImSchG dar. Das Gebot kann die Umweltbelange in besonderem Maße beru¨cksichtigen. Gleichwohl heißt es nicht dass den Umweltbelangen wie z.B. dem Immissionsschutz stets ein ,,absoluter,, bzw, ,,strikter,, Vorrang zukommt, sondern es ist darauf hinzuweisen, dass sie nur zu einer gerechten Abwa¨gung verpflichtet sind. Diese Frage ha¨ngt im Wesentlichen von den jeweiligen Umsta¨nden des Einzelffalles ab, denn die kolli-dierenden Belange sind prinzipiell abstrakt gleichrangig. Bei planerisher Abwa¨gung zieht das Optimierungsgebot der planerischen Gestaltungsfreiheit Schranken. Dennoch ist das Optimierungsgebot in erster Linie vom Begriff der sog. ,,gesetzlichen Planungsleitsa¨tze,, zu unterscheiden. Das Bundesverwaltungsgericht hat in neuerer Zeit den begriff aufgegeben und ihn mit demjenigen der ,,zwingenden materiellen Rechtssa¨tze, ersetzt. Die sog. Planungsleitsa¨tze werden als strikte Regelungen erfasst, die durch planerische Abwa¨gung nicht u¨berwunden werden ko¨nnen. Das Optimierungsgebot wird hingegen vom Bundesverwaltungsgericht verstanden als solches, das ,,eine mo¨glichst weitgehende Beachtung bestimmter belange,, erfordert. Die Abwa¨gung ist nicht zuletzt im Bau-, Planungs- und Umweltrecht wesentlich, da unterschiedliche belange durch das Optimierungsgebot sachgerecht abzuwa¨gen und in optimaler Weise zuzuordnen sind.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