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인관계 형용사척도(KIAS-40) 타당화 연구

        정남운 한국상담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입각하여 구성된 형용사척도(정남운, 2004)가 이론에서 제시된 대로 원형구조를 가지는지 알아보고, 형용사척도가 원형모델의 두 차원(친애와 통제)을 잘 반영하는지를 다른 척도들과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알아봄으로써 척도의 타당도를 확인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두 집단의 대학생 피험자들(n=503)에게 대인관계 형용사척도와 NEO 인성검사의 외향성, 친화성 척도, 그리고 대인관계 문제척도를 실시하였다. 주성분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대인관계 원형모델의 두 차원에 해당하는 2개의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하위척도들의 요인부하량을 이용하여 평면상에 척도들을 배열한 결과 적절한 원형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형용사 척도의 각 하위척도들과 외향성 척도의 하위척도들 및 친화성 척도의 하위척도들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내용상 유사한 척도들 사이에 상관이 높음을 볼 수 있었으며, 대인관계 문제척도의 문항과 형용사 척도 간의 관계에서도 의미상 일치하는 방향으로 상관이 높게 나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것은 형용사 척도가 친애와 통제의 두 차원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대인관계 척도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연구의 의의와 한계,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 (KIAS-40). Two samples of university undergraduates (n1=229, n2= 274, total= 503) were used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eight 5-item scale scores were intercorrelated and subjected to a serie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es in which two interpersonal factors (Affiliation and Control) were extracted. Post hoc chi-square tests developed by Fisher(1983) were used to evaluate the circumplex structure of the KIAS-40 in two different samples. These tests suggested a high degree of convergence between the empirical locations of the KIAS-40 scales and the locations predicted by circumplex theory. Correlational and factor analyses of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Domains of NEO-PI-R and KIAS-40 showed that the interpersonal circumplex occupied the two-dimensional plane defined by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The IIP-C items also confirmed the KIAS-40 had good concurrent valid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따른 한국판 대인관계 문제척도의 구성

        정남운 서울대학교 심리과학연구소 2001 心理科學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문제척도(IIP; Horowitz, Rosenberg, Baer, Ureno, & Villasenor, 1988)를 번안하여 553명의 대학생에게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대인관계 원형 모델의 두 차원, 즉 친애와 통제 차원에 해당되는 2개의 요인을 발견하였으며, 각 문항이 이들 요인에 대해 갖는 요인부하량과 공통분의 크기를 검토하여 각각 8문하량으로 이루어진 8분원 하위척도( octant scales)를 구성하였다. 이렇게 새로 구성된 대인관계 문제 원형척도(IIP-C)에서는 각 하위척도별 문항의 내용이 비교적 동질적이면서 대인관계 원형 모델의 이론적 두 차원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64문항으로 이루어진 한국판 IIP-C의 전체 신뢰도(α)는 .95였으며, 하위척도별로 .76~.89의 신뢰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본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 그리고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 set of circumplex Scales for Korean Version of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IIP; Horowitz, Rosenberg, Bare, Ureno, & Villasenor, 1988). A sample of university undergraduates(n=553) was used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ipsatized item scores were intercorrelated and subjected to a factor analysis in which two familiar interpersonal factors (that is, Affiliation and Control) were extracted. The factor loadings, communalities, and thematic content were used to select the best items for eight 8-item circumplex scales(IIP-C). Factor analyses of the scores for these eight scales resulted in a clear two-factor solution, accounting for 65% of the variance. A post hoc chi-square test developed by Fisher(1983) was used to evaluate the circumplex structure of the IIP-C in this sample. This test suggested a high degree of convergence between the empirical locations of the IIP-C scales and the locations predicted by circumplex theor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nd psychotherapy practice.

      • KCI등재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따른 한국판 대인관계 형용사척도의 구성

        정남운 한국상담심리학회 2004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6 No.1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construct a set of circumplex scales for Korean version of the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KIAS-40). A sample of university undergraduates(n=468) was used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The item scores were intercorrelated and subjected to a factor analysis in which two familiar interpersonal factors (that is, Affiliation and Control) were extracted. The factor loadings, communalities, and thematic contents were used to select the best items for eight 5-item circumplex scales. Factor analyses of the scores for these eight scales resulted in a clear two-factor solution, accounting for 60% of the variance. A post hoc chi-square test developed by Fisher(1983) was used to evaluate the circumplex structure of the KIAS-40 in this sample. This test suggested a high degree of convergence between the empirical locations of the KIAS-40 scales and the locations predicted by circumplex theor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nd psychotherapy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 원형모델에 입각하여 대인관계형용사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468명의 대학생에게 대인관계 형용사 목록을 주고 각 형용사가 자신을 잘 묘사하는 정도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대인관계 원형 모델의 두 차원, 즉 친애와 통제 차원에 해당되는 2개의 요인을 확인하였으며, 각 문항이 이들 요인에 대해 갖는 요인부하량과 공통분의 크기, 하위척도의 내적합치도, 문항의 의미 등을 검토하여 각 5문항씩의 8분원 하위척도(octant scales)를 가진 총 40문항의 대인관계 형용사 척도(KIAS-40)를 제작하였다. 이렇게 새로 구성된 척도는 8분원 하위척도별로 .79~.90의 비교적 양호한 신뢰도(α)를 보였으며 대인관계 평면상에서 이론적 각도에 잘 부합되는 원형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와 함께 본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 그리고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내면화된 수치심의 임상적 타당성: 자기통제력, 공격성 및 중독가능성과의 상관을 중심으로

        정남운,유은영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for empirical evidence between internalized shame with self-control, aggression, and addiction potential. Als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clinical group and normal group.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00 AA participants and 380 Non-AA participants. For measuring each variable, internalizes shame scale(ISS), self-control rating scale(SCRS), 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BDH), addiction potential scale(APS) were used. The survey result was analyzed with Pearson Correlation, Partial correlation and t-test. The results shows: Frist, the internalized shame and the aggression, the addiction potential shows a positive correlation but the self-control shows negative correlation. Second, after control self-control, internalized shame positively correlate to addiction potential and aggression. Third, clinical group recorded a higher level in internalized shame, aggression and addiction potential than normal group; a lower level in self-control. Based on the finding, the implications of understandings, the intervention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여러 가지 임상 병리적 정신장애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되어지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실증적으로는 자기 통제력, 공격성, 중독가능성과 어떤 상관을 보이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보고에서 임상적인 문제를 호소하는 AA참가자 100명을 임상집단으로, 임상적 문제를 호소하지 않는 직장인 380명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 자기통제력(SCRS), 공격성 척도(BDHI), 중독가능성 척도(APS)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공격성 및 중독가능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자기 통제력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각 집단 별로 자기통제력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내면화된 수치심은 공격성과 중독가능성에 대해 유의미한 상관을 보인다. 셋째, 임상집단의 내면화된 수치심의 평균 점수는 비임상집단의 평균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기 통제력, 공격성, 중독가능성에 대해 실증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임을 연구하였고,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자기보고식 심리화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박세미,정남운 한국상담심리학회 201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lf-rating Scale of Mentalization(SRMQ). The surveys were administerd either online or on paper with 1079 individuals over the age of 18 living in the Seoul and Gyeonggi-do areas. A pool of 25 items was developed and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extraction of four related factors: reflection of the self and other, deficit of affection awareness, absolute certainty about other’s mind, concrete thinking. The model fit was examin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correlation, group differences, regression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for validation. The following additional instruments were used: Self-Rated Mentalization Questionnaire(SRMQ), Encounter in Close Relationship Scale-Revised(ECR-R),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Borderline Features Subscale(PAI-BOR), Symptom Check list(SCL-47),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Mentalization Questionnaire(MZQ). The results provided adequate validation of the SRMQ.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심리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 직장에 있거나 같은 지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대학생,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심리화 척도를 개발하고, 관련 변인들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문헌 연구와 예비 연구를 바탕으로 만든 예비 문항들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25개의 문항이 개발되었으며, 4개의 하위요인이 나타났다. 자기보고식 심리화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요인 구조와 모형 적합도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은 자기 및 타인에 대한 성찰, 타인의 마음에 대한 절대적 확신, 정서 자각 실패, 경직된 사고 요인으로 명명됐다. 또한 수렴, 공존 타당도 분석을 위하여 애착, 정신 병리, 경계선 성격특성, 부정 정서 등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및 집단 간 차이 분석, 군집 분석, 회귀 분석 등을 실시하고 척도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