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주거용 건물 친환경 에너지 변환시스템의 최적화 연구

        정기택(Gitaek Jung),정유준(Yujun Jung),정준렬(Juneyeol Jung),이호성(Hoseong Lee)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1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 energy by applying a renewable energy system. Analysis of the residential building system was performed through the TRNSYS simulation tool. The annual primary energy consumption of the proposed model applied PVT (photo voltaic-Thermal system), PEMF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BESS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 etc. and the reference building system driven only by the boiler and heat pump was compar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l was driven without external power and that the primary energy consumption of the proposed model was 16.8% less than that of the reference model. However, the operation of the fuel cell without considering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causes a large power loss, and we plan to compensate for this through future research.

      • KCI등재
      • 의원급 의료기관 해외환자유치 홍보활동 및 유치성과 인식에 관한 연구 (p.316-334) : 강남구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정기택(Kee-Taig Jung),김민정(Minjeong Kim),조철호(Chul-Ho Cho) 대한경영학회 2011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1

        본 연구에서는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하였던 국내 의원급 의료기관들의 해외환자 유치홍보행태를 파악하고, 해외환자 유치성과에 대한 의료기관들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의원급 의료기관들의 의료관광 참여 활성화 촉구를 위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해외환자유치활동에 대한 성과 인식에서는 Government, Medical Tourism Operator, Intermediator, Accreditation 등 홍보활동 변수들이 각각 의원급 의료기관들의 해외환자 유치 성과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앙정부나 의료기관 자체 홍보활동의 경우 본 연구의 가정에서와 같이 해외환자유치성과에 정(+)의 영향을 나타내었으나, 지자체 유치활동을 통한 참여나 에이전시를 통한 홍보 및 수수료 지불, 국제 의료기관 인증 참여로 인한 홍보활동의 경우 부(-)의 영향을 나타내어 기각되었다. 이를 통해 조사대상 의원급 의료기관들의 경우 중앙정부를 통한 해외환자 유치 홍보참여나 의료기관의 자체적인 홍보활동이 실제 해외환자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진행과정에 작용했던 현실적인 방법론의 제약으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understand domestic clinics' promotion activities to attract foreign patients which somehow neglected from social issues even though it takes a significant part of Medical Industry in Korea. In the case of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elective procedures such as cosmetic surgery, aesthetic or medical check-up are in high-demand rather than necessary main surgery such as cardiac stenosis surgery, so the domestic clinics' take a big role in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However, domestic clinics' are struggling to enter the medical tourism market since the most of policies, supports, and processes related on medical tourism concentrate on large sized hospitals. Therefore, this research strive to identify the state of clinics' promotion activities which for attracting foreign patients and reveal the challenges for them. According to this research findings, domestic clinics recognize that the promotion activities participating the central government's promotion events or implementing their own promotion plans to lure foreign patients help performance outcome improvement rather than the other promotion activities, so this research result suggests that in order to activate the domestic medical tourism industry at the level of clinics the government needs to offer lots of opportunities by holding various promotion campaigns to let the clinics participate government's promotion events a lot. Also, there need to be established systematic support measures by local government which arouse clinics to make their own promotion plans and implement them intending to attract Asian or other countries' latent patients. Moreover, with recognizing a phenomenon where foreign patients are flocking cosmetic surgery or aesthetic service among clinics in Korea distinguished promotion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broadcast the other clinics' superiorities so that foreign patients can visit other parts of clinics.

      • KCI등재

        의료보험 정액제 도입에 따른 의료기관별 , 질병별 의료이용의 변화

        정기택 ( Gi Taig Jung ) 한국사회보장학회 1993 사회보장연구 Vol.9 No.1

        의료수요가 본인부담금과 역의 관계를 갖는다는 것은 과거의 여러 연구를 통해서 주지된 바이다. 전반적 수요 (aggregate demand)에 관한 이해에 덧부쳐 연구되어야 할 부분은 바로 소집단별 수요가 본인부담금과 어떤 관계를 가지는 가이다. 특히 의료기관별, 질병별 의료이용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 의료보험정책의 방향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위 두 집단의 의료이용과 본인부담금과의 관계를 1986년 정액제 도입전후의 의료이용을 비교함으로써 검증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사회보장학회지 제 8권에 계제되었던 전반적 수요에 관한 연구의 연속으로 작성되었다. 우리나라의 의료이용에 있어서 대표적인 특징은 대학병원은 일반의원에 비해 늘 초과수요를 가져왔다는 점이다. 종합병원에 대한 초과수요로 인해 환자들은 과중한 시간 비용을 부담하게되었고, 3차진료가 가장 효과적일 중증환자들이 진료의 시기와 기회를 잃게 되어 결과적으로 경제적, 건강상의 더 큰 손실을 초래하게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지난 1980년대에 여러 가지 정책을 실시했는데, 그 중 첫번째가 1986년 정액제도입이다. 1986년의 정액제 도입으로 의원에 비해 병원 및 종합병원에서의 본인부담금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의료기관별 의료이용분석의 주요 가설은 1986년 이후에 병원및 종합병원의 이용은 의원에 비해 더 큰 감소폭을 보일 것이다.이다. 이 가설은 환자의 수요탄력성이 의료기관의 종류에 상관없이 일정하다는 내재적 가정하에 성립되며, 따라서 실증분석은 가정과 예측을 동시에 검증하는 JOINT HYPOTHESIS TEST의 성격을 가진다. 실증분석의 방법론은 사회보장학회지 제 8권에 상세히 소개된 TWO-PART MODEL 중 FIRST PART에 해당하는 건당 방문회수, 건당 투약일수, 방문당 평균비용만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액제 도입후에 의원에서의 방문회수는 도입전보다 10%, 투약일수는 5%감소한 (YRDUMMY 계수) 반면, 병원 및 종합병원의 이용은 (YRDUMMY 계수와 MYR 계수의 합) 세 변수 모두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가설과 반대된 결과에 대해 두가지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다. 먼저, 병원 및 종합병원이 직면한 초과수요의 양이 공급량에 비해 너무 큰 경우에, 소비자들이 지불할 용의가 있는 가격은 실제 본인부담금에 비해 상당히 높을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본인부담금의 변화로 환자의 의료수요를 감소시키려면 본인부담금은 환자의 지불의도 가격 이상으로 증가하여야한다. 본인부담금의 증가가 충분치 못한 경우에는 환자의 의료수요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다. 두번째 해석은 JOINT HYPOTHESIS의 성격과 관계된다. 실증분석의 결과가 JOINT HYPOTHESIS를 지지 하지 못한 경우, 그 이유는 내재된 가정이 유효치 못한 것이든지 아니면 가설이 잘못된 것이든지의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관에 무관하게 수요탄력성이 같다고 가정한 점에 관해 반론을 제시함으로서 가설과 상반된 실증분석의 결과를 설명하였다. 환자들이 느끼고 있는 의료의 질 (perceived quality)이 의원과 병원에서 다른 경우, 두 기관에 대한 수요탄력성은 상이할 가능성이 크다. 이 경우에, 의료수요 변화에 영향을 주는 것은 실제가격이 아닌 질의 차이를 고려한 가격 (quality adjusted price)인 것이다. 추가적으로, 실증분석은 정액제 도입 이전 병원과 의원에서 의료이용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정액제 도입 이전, 병원 및 종합병원에서의 건당 방문회수는 의원에 비해 20-40% 낮은 반면 투약일수와 건당 평균비용은 의원에 비해 각각 35%, 40-66% 높았다. 수가 및 케이스믹스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하여도 이 결과는 병원에서는 의원에 비해 방문당 강도높은 서비스를 제공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는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의료의 질에 대한 인식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단서로 생각할 수 있다. 수요탄력성이 같다는 가정에 대한 또 다른 반론으로 환자가 가지는 정보의 불확실성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환자는 진료에 관해 충분한 정보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상당한 불확실성에 시달린다.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에 관해 제도학파(institutional theory)는 명성(reputation)과 지명도(prestige)가 불확실성하에서 의사결정의 지침이 된다고 주장한다. 의료의 경우에도 대학병원의 명성이 불확실성으로 인한 환자의 불안감을 줄여줌으로서 선호의 대상이 되고 정액제 도입에 따른 본인부담금의 증가는 심리적 안정감을 상쇄할 정도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질병별 의료이용의 변화에 관한 연구에서는 정액제 도입에 따른 급성과 만성환자들의 의료이용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주의 하여야할 점은 급성과 만성질병에 관한 정의이다. 본 연구의 초점은 정액제 도입이 환자들의 의료이용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에 있으므로 질병군의 정의도 그에 적합한 것이어야한다. 따라서, 환자가 질병에 관해 가지는 정보의 양과 치료의 연기 및 예측 가능성에 의거한 KEELER (1982)의 급만성 분류방법을 적용하였다. 이 방법에 따르면, 질병별 의료이용 변화의 주요 가설은 의료보험 정액제 도입후에 만성환자들의 의료이용이 급성환자에 비해 더 큰 폭으로 감소할 것이다로 요약할 수 있다. 만성환자가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는 환자들이 만성질환에 대해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고, 급성에 비해 치료를 연기하거나 포기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분석결과는 가설을 지지하며, 급성에 비해 만상환자에 건당 방문일수는 3%, 투약일수는 4%의 큰 감소폭을 보였다. 질병별 의료이용변화에 관한 분석에서는 그 의의를 연구결과에 두기보다는 질병별 의료이용분석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그에 적합한 계량방법론을 제시한 점에 두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질병별 이용연구에, 차트분석 및 진료의 적정성에 관한 전문의견을 보충 한다면 본인부담제가 전체 의료 중에 효과적 의료의 비중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라는 질문에 관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는 바. 이에 관한 각계 전문가의 공동연구의 필요성을 지적하고자 한다.

      • 수치 모델 기반 실외기실 R-32 누출 사고의 가연성에 대한 누출변수 상관분석

        정기택(Gitaek Jung),한욱민(Ukmin Han),홍장표(Jangpyo Hong),이윤아(Yoon-ah Lee),정준렬(Juneyeol Jung),전용주(Yongjoo Jun),이호성(Hoseong Lee) 대한설비공학회 2022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22 No.6

        Research on R-32 driven heat pumps to reduce high GWP refrigerant is attracting attention. R-32 has good thermal performance and system efficiency, bu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a mildly flammable refrigerant.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ssuming an outdoor unit leak accident of an R-32 driven air conditioner.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LFL was reached and the effect of the leakage variable in each ca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leakage variable.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 of leakage variables on the flammability of R-32 can be known.

      • KCI등재
      • KCI등재

        보건의료산업 글로벌화 정책의 성과 및 향후 과제

        정기택 ( Kee Taig Jung ),최훈화 ( Hun Hwa Choi ) 한국보건행정학회 2018 보건행정학회지 Vol.28 No.3

        In 1994 Korea government began to develop the healthcare industry, since then the government has tried to create opportunities to promote the industry through various political efforts and policies. The biggest achievement was attracting foreign patients from 2009 to 2016 with a cumulative 1.56 million and total revenue of 3 trillion won. But Korea still loses the opportunity to become a global leader in the health care industry due to regulations and various ideological disput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policy understanding and present a practical road map so that Korea’s healthcare industry become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lead the trend of global market in the future. It also suggests a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paradigm, the health economy as health and economic value are rotated through a shift in view of health care. At this point, 20 years after the beginning of the healthcare industry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related policies and discuss effective future direction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ies and limitations of the healthcare industry by each government division, and based on it, to propose political tasks for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