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寄主植物의 N.P.K. 및 Sugar의 含量이 흰불나방에 미치는 生物學的 影響

        鄭圭會,崔承允 한국응용곤충학회 196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

        본시험은 5개 기주식물(뽕나무버즘나무미류나무네군도나무 및 사과나무)의 NitrogenPhosphorusPotassium 및 Sugar함량이 흰불나방의(Hyphantria cunea DRURY) 유충기간용기간용체중자아의 포난수 및 에 대한 감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연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 기주식물엽의 NitrogenPhosphorusPotassiuln 및 Sugar함양은 기주의 종류와 화기(1화기와 2화기)에 따라 각각 상이한 차가 있었다(표 1). (2) 1, 2화기 유충기간과 용기간은 비교적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짧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긴 경향이었으며, 1화기보다 2화기에서 더 짧아졌다. 이들은 기주의 N함량과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으나(1화기 유충기간은 제외),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P·K 및 Sugar에 비하여 크게 관여한 것 같았다. (3) 용체중과 포난수에 있어서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주의 종류, 자웅의 성 및 화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표 3). 용체중은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역시 가장 높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낮았으며, 자아당 평균 포란수에 있어서도 용체중의 경향과 비슷하였다. 용체중이나 포난수의 경우나 영양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크게 관여한 것은 N의 함량으로 생각되었다. (4) 에 대한 천불나방유충의 내약력은 기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가 있었으며, 그 감응도는 네군도나무미류나무버즘나무사과나무뽕나무 순으로 강하였다(표 6). 역시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는 없었으나 N·P 및 Sugar보다 K의 함량이 많은 기주 일수록 에 대한 유충의 내약력이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sugar contents in the loaves of five different host plants on tile larval period, pupal period, pupal period, number of eggs in the ovary, and the tolerance of fall webworm larvae (Hyphantria cunea DRURY) to gamma-BHC.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sugar in tile leaves tested were varied with the species of the host plants and sampling time. 2. The larval and pupal periods were also varied with the host plants and generation of the fall webworm. The shortest larval and pupal periods were found in the mulberry and the longest ones in the apple tree, and their periods were shortened much more in the second generation. Except the relation between the larval period and tile nitrogen content in the first generation, significant correlation could not be found between their periods and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surgar contents. The nitrogen contents among the other chemical factors, however, might be much more influenced on their developing period. 3. The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in the ovary were also varied with the host plants. sex, and generation. In both generations, the greatest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per female were found in the mulberry and the least ones in the apple tree.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uld be found between the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per female and the chemical factors analyzed. However, only the nitrogen content seemed to be highly related to the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4. The tolerance of the fall webworm larval to gamma-BHC was highly varied with the host plants. The host order o( the larval tolerance level to gamma-BHC was box-elder, popla, platanus, apple tree, and mulberr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arval tolerance to the BHC and the chemical factors analyzed. However, the larvae fed on the host plant with higher pottassium content were shown a tendency to be higher tolerant.

      • 기주식물의 N.P.K. 및 Sugar의 함량이 흰불나방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

        정규회,최승윤,Chung K. H.,Choi S. Y. 한국응용곤충학회 1968 한국식물보호학회지 Vol.5 No.-

        본시험은 5개 기주식물(뽕나무$\cdot$버즘나무$\cdot$미류나무$\cdot$네군도나무 및 사과나무)의 Nitrogen$\cdot$Phosphorus$\cdot$Potassium 및 Sugar함량이 흰불나방의(Hyphantria cunea DRURY) 유충기간$\cdot$용기간$\cdot$용체중$\cdot$자아의 포난수 및 $\gamma-BHC$에 대한 감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연구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그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 기주식물엽의 Nitrogen$\cdot$Phosphorus$\cdot$Potassiuln 및 Sugar함양은 기주의 종류와 화기(1화기와 2화기)에 따라 각각 상이한 차가 있었다(표 1). (2) 1, 2화기 유충기간과 용기간은 비교적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짧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긴 경향이었으며, 1화기보다 2화기에서 더 짧아졌다. 이들은 기주의 N함량과 유의성은 인정할 수 없었으나(1화기 유충기간은 제외),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P·K 및 Sugar에 비하여 크게 관여한 것 같았다. (3) 용체중과 포난수에 있어서도 (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주의 종류, 자웅의 성 및 화기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표 3). 용체중은 N의 함량이 많은 뽕나무에서 역시 가장 높았고 그렇지 않은 사과나무에서 가장 낮았으며, 자아당 평균 포란수에 있어서도 용체중의 경향과 비슷하였다. 용체중이나 포난수의 경우나 영양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 없었으나 크게 관여한 것은 N의 함량으로 생각되었다. (4) $\gamma-BHC$에 대한 천불나방유충의 내약력은 기주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가 있었으며, 그 감응도는 네군도나무$\cdot$미류나무$\cdot$버즘나무$\cdot$사과나무$\cdot$뽕나무 순으로 강하였다(표 6). 역시 유의한 상관을 인정할 수는 없었으나 N·P 및 Sugar보다 K의 함량이 많은 기주 일수록 $\gamma-BHC$에 대한 유충의 내약력이 강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sugar contents in the loaves of five different host plants on tile larval period, pupal period, pupal period, number of eggs in the ovary, and the tolerance of fall webworm larvae (Hyphantria cunea DRURY) to gamma-BHC.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contents of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sugar in tile leaves tested were varied with the species of the host plants and sampling time. 2. The larval and pupal periods were also varied with the host plants and generation of the fall webworm. The shortest larval and pupal periods were found in the mulberry and the longest ones in the apple tree, and their periods were shortened much more in the second generation. Except the relation between the larval period and tile nitrogen content in the first generation, significant correlation could not be found between their periods and nitrogen, phosphorus, potassium and surgar contents. The nitrogen contents among the other chemical factors, however, might be much more influenced on their developing period. 3. The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in the ovary were also varied with the host plants. sex, and generation. In both generations, the greatest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per female were found in the mulberry and the least ones in the apple tree. No significant correlation could be found between the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per female and the chemical factors analyzed. However, only the nitrogen content seemed to be highly related to the pupal weight and number of eggs. 4. The tolerance of the fall webworm larval to gamma-BHC was highly varied with the host plants. The host order o( the larval tolerance level to gamma-BHC was box-elder, popla, platanus, apple tree, and mulberr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arval tolerance to the BHC and the chemical factors analyzed. However, the larvae fed on the host plant with higher pottassium content were shown a tendency to be higher toler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