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포은 후손의 경남 동부지역 이거 양상 연구

        정경희(Jung Kyung-hee) 포은학회 2014 포은학연구 Vol.13 No.-

        This study is on the migration of Poeun(圃隱)'s descendants from western Gyeongsangnam-do(慶尙南道) to the eastern Gyeongsangnam-do during the late 17th and 18th centuries in Joseu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Seolgok(雪谷) Jung Bo(鄭保), the grandson of Poeun Jung Mongju(鄭夢周), was forced to exile to Danseong(丹城) located in western Gyeongsangnam-do because of having criticized the usurpation of King Sejo(世祖). After that Poeun's descendants started to settle down in the localities of western Gyeongsangnam-do such as Hapcheon(陜川), Jinju (晉州) and Danseong(丹城). In the 16th century Poeun started to be venerated and his descendants came to be powerful and prominent. From the 17th century, the branch of Sir Limheon(林軒公系) founded by Limheon(林軒) Jung Sephil(鄭世弼) became leading nobility power in western Gyeongsangnam-do. Generally they tended to belong to military nobility such as Bukin(北人) Party and Nammyung(南冥) School. In the late 17th century Seoin(西人) and Noron(老論) Parties grasped political power, therefore, Bukin Party started to be divided and stagnated gradually. This affected to Poeun's descendants in the western Gyeongsangnam-do. Their status in military nobility was weakened and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discourses fell under the influence of Noron Party. In general stagnation of Poeun's descendants in western Gyeongsangnam-do, some of them migrated to eastern Gyeongsangnam-do. The branch of Sir Limheon migrated to Yangsan(梁山) and Haman(咸安), and the branches of Sir Sean(世安公系) and Sir Seryun(世倫公系), to Ulju(蔚州) and Gimhae(金海). Jung Doman(鄭道萬)'s family of the branch of Sir Limheon in Yangsan was central force of Poeun's descendants of the eastern Gyeongsangnam-do. They had produced a leader for national independenc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has been editing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忠烈) of Yangsan in modern times. We can see that the tradition of unswerving loyalty inherited from Poeun to Seolgok and Limheon continues in modern times. 본고는 15세기 이래 경남 서부 합천ㆍ진주ㆍ단성 등지에 정착한 포은 후손들이 17세기 후반~18세기를 지나면서 인근의 경남 동부 양산ㆍ함안ㆍ울주ㆍ김해 등지로 이주해 간 양상에 대한 연구이다. 포은 정몽주의 손자인 설곡 정보가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다 경상도 단성지역에 유배된 이후 그 셋째 아들 정윤관이 이곳에 정착하면서 포은 후손들의 경상도 지역 세거가 시작되었다. 16~17세기 포은이 사림세력의 절대적 추앙을 받으면서 포은 후손들이 재기하게 되는데, 경상도 지역에서 는 정윤관의 손자이자 병마절도사를 지낸 임헌 정세필을 계파조로 하는 '임헌공계'를 중심으로 합천ㆍ단성ㆍ진주 등 경남 서부지역의 유력 사족세력으로 자리잡았다. 이들은 대체로 남명학파 북인계이자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17세기 후반 이래 서인-노론의 집권으로 경상도 지역의 북인계 세력은 침체 국면에 놓이게 된다. 당시 임헌공계의 경우 정세필의 증손인 합천의 '정욱계' 및 단성ㆍ진주의 '정훤계' 양대 계열이 중심이 되고 있었는데 무반 가문으로서의 면모가 현저히 감손되었고 학문이나 당색 면에 노론화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인근 경남 동부지역으로 옮겨가는 세력이 생겨났으니 임헌공계 중 함안ㆍ양산, 세륜공계 중 울주, 세안공계 중 울주ㆍ김해 등지로 옮겨간 경우가 그러하다. 특히 경남 동부 포은 후손의 중심세력인 양산 지역 임헌공계 정도만 계열에서는 일제시기 독립운동가를 배출하며 현대에는 일제시기 양산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전통, 또 고대 이래 양산지역에 면면히 내려온 충렬의 전통을 집대성하는 흥미로운 면모가 나타났다. 포은-설곡-임헌으로 이어지는 충렬의 가풍이 시대와 지역의 격간을 넘어 이어지고 있었던 것으로 바라보게 된다.

      • KCI등재

        여말 학계와 『天符經』

        정경희 ( Kyung Hee Jung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09 선도문화 Vol.6 No.-

        『천부경』을 역사적으로 추적하게 될 때 일차적으로 고성 이씨 가문을 만나게 된다. 고성 이씨 가문의 선도 가학의 원류는 여말의 관인학자 이암으로 『태백진훈』, 『단군세기』와 같은 선도서를 편찬하였다. 유교국가 조선의 개국 이후 벽이단론이 더욱 치성해가는 와중에도 이암의 현손 이맥은 『태백일사』라는 귀중한 선도사서를 편찬하였다. 조선후기 성리학적 기준이 강화되면서 선가 고성 이씨 가문은 평북 삭주 지역으로 옮겨가고 가학은 자취를 감추는데, 구한말 성리학이 시의성을 상실한 시점에 이르러 다시 모습을 드러내었다. 1890년대말 고성 이씨 이기 및 이기의 문인 계연수는 家藏의 선도서를 위시하여 여러 선도서들을 수집·간행·주석하기 시작하였는데, 1909년 단군교 중흥 이후에는 `단학회`(해방이후 `단단학회`로 개칭)로 결집되었다. 일제시기 단학회는 선도의 실천운동에 주력하던 대종교보다는 단군교와 결탁하여 학문·종교활동에 치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해방 이후 1970년대말·1980년대초 많은 선도수련단체들이 등장, 한국선도의 본령인 수련법을 중심으로 선도가 부활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이면에 고성 이씨 단단학회의 역할도 적지 않았다. 이처럼 근대 이후 고성 이씨 가문에서는 여러 선도서들을 전승하였지만 이중에서도 『천부경』은 특별히 중시되었다. 1890년대말 이기·계연수 계통에서 『천부경』주석서가 나오기 시작한 이래 일제시기에는 단학회와 연결된 단군교, 대종교 할 것없이 『천부경』주석서를 널리 배출하였다. 고성 이씨 가학의 원류인 이암의 선도는 일차적으로 고성 이씨 가문으로 계승되었지만 한편으로 이암의 학맥을 통해 당대의 학자들에게로도 계승되었다. 이암의 선도는 문인 이색으로 이어지는데, 이색의 글에는 선도적 역사인식이 강하게 배어나며 『천부경』도 주해하였다. 이암-이색의 선도는 이색의 문도를 통해 전파되어갔다. 이색과 학문적, 정치적 입장을 함께한 `두문동학사` 계열 중에서 이암-이색의 선도에 영향을 받은 인물로 범세동, 민안부가 있다. 범세동은 선도사서 『북부여기』를 편찬하고 『천부경』을 주해하였다. 민안부 가문에서도 『천부경』이 전승되고 있었는데, 특히 이는 古本, 그것도 갑골문 형태라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 갑골문 『천부경』의 존재를 통하여 신시배달국시기 녹도문 형태의 『천부경』이 등장한 이래 단군조선 말에 이르러서는 갑골문 형태의 『천부경』도 병용되었으며, 이러한 형태의 『천부경』이 여말에 이르기까지 남아 모사되고 있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보게 된다. When we give chase to 『Chunbu-kyung』(天符經)』, first we get to encounter Kosung(固城) Lee`s family. The origin of Kosung Lee`s family studies was Lee-am(李암), a scholar of late Koryo dynasty. He had compiled a Korean Sundo history book like 『Taebaek-jinhoon(太白眞訓)』, 『Dangun-segi(檀君世紀)』. Although all teaching that does not conform to Confucianism was attacked since the founding of Confucianism state Chosun, Lee-am`s descendants of the fourth generation, Lee-mak(李陌) had compiled one of the most important Korean Sundo history book 『Taebaek-ilsa太白逸史』. As the confucian criterion had been strengthened in late Chosun dynasty, Kosung Lee`s family had to move to Pyungbook(平北) Sakju(朔州) region, and their studies had disappeared. When Confucianism had missed the role as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close of Chosun dynasty, their studies could revive again. In the end of 1890`s, Lee-gi(李沂), the member of Kosung Lee`s family and his follower Gye-yoonsoo(桂延壽) started to publish and write notes on Sundo history ooks stored in Kosung Lee`s family. They gathered to organize `Danhakwhe(丹學會)`. Since modern times Kosung Lee`s family contributed to the revival of Korean Sundo greatly. Like this Kosung Lee`s family since modern times, handed down many sundo books, among these books 『Chunbu-kyung』 was accounted very importantly. Lee-am`s sundo was propagated to Kosung Lee`s family first. On the other side it was propagated to scholars of the day through Lee-am`s school. Lee-am`s sundo was propagated to his follower Lee-sack(李穡). Lee-am and Lee-sack`s sundo was propagated to Dumoon-dong(杜門洞) scholars, i.e. Bum-saedong(范世東), Min-anbu(閔安富). Bum-saedong had compiled one of Korean Sundo history book 『Bookboo-yuegi北夫餘記』 and had written notes on 『Chunbu-kyung』. Min-anbu had handed down 『Chunbu-kyung』. Min-anbu`s 『Chunbu-kyung』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is the only old book, more over the type of Gabgol-moon(胛骨文,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With the exsistance of Min-anbu`s 『Chunbu-kyung』, we can know that the Nokdo-moon(鹿圖文, the letter shape of deer`s footprint)-typed 『Chunbu-kyung』 had appeard in the age of Sinsi-Baedal(神市倍達) and the Gabgolmoon-typed 『Chunbu-kyung』 had used jointly with it in the end of Dangun-chosun(檀君朝鮮). The Gabgolmoon-typed 『Chunbu-kyung』 had handed down to the age of Koryo dynasty.

      • KCI등재

        AAC 서비스에 대한 보조공학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정경희(Jung, Kyung Hee),허다경(Heo, Da kyung),송병섭(Song, Byung Seop)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8 재활복지 Vol.22 No.1

        본 연구는 AAC 서비스에 대한 보조공학사들의 인식 및 요구를 살펴보고 AAC 서비스의 확대 및 효율적 제공을 위한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전국에 있는 보조기구센터 10곳에 소속된 전문가를 중심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총 69명의 보조공학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AC 사용 및 교육의 경험이 있는 보조공학사들이 더 많았으며, 교육 경로는 ‘학교정규 수업을 통해’가 가장 높았다. 둘째, AAC에 대한 보조공학사들의 이해 및 관심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AAC 사용경험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AAC 사용자 및 제공자를 위한 AAC 정보제공 및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며, 미래에는 AAC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은 물론 공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AAC 기기들이 주를 이룰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AAC 서비스가 센터 현장의 AAC 사용자 및 제공자들을 위한 보다 효율적 지원방향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demands from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s on the service and propose practical methods for AAC service. This study selected subjects who are experts working in 10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and survey was conducted among 69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many assistive technology professionals learned AAC through school cours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sence of using AAC experience regarding their general awareness of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s on AAC. Third, many responders said that it is significant to provide AAC information and extend supports for AAC users and providers. They added that demands of AAC will grow in the future and engineering-based ACC instruments will take up the most market. This study will enable AAC service to offer basic data to establish more efficient supportive direction for AAC users and providers of the assistive technology center.

      • KCI등재

        담화유형에 따른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문법형태소 사용 특성

        정경희(Kyung Hee Jung),배소영(So Young Pae) 한국언어치료학회 2010 言語治療硏究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of school-age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normal children matched for age and language level in discourse of conversation and non conversation. We studied 45 children including 15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impairment at the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15 norm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 and 15 normal children with a corresponding receptive vocabulary score. In the testing process, we collected particpants' speech samples in the discourse of conversation and non conversation including conversation between tester and participants, story telling, explaining, and persuad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situation of conversation and non conversatio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corresponding speech level have meaningful differences. Discourse of non conversation shows higher errors in using grammar morphemes than discourse of conversation. In discourse of conversation and non conversation, the use of grammatical morphemes of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s lower than that of younger children with corresponding language level. This research provides consideration of various discourse to children when the ability of grammatical morpheme use from lower grade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is evaluated.

      • 창업기업 선정평가지표의 판별 유효성

        정경희(Kyung-Hee Jung),성창수(Chang-Soo Sung)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 Conferences Vol.2018 No.2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의 창업지원사업에서 활용되고 있는 창업기업 선정평가지표의 타당성 을 검증하고자 창업기업 선정평가지표의 판별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창업기업을 집중 발굴·육성하는 창업선도대학육성사업에 지난 3년간 지원한 창업기업 973개의 평가점수와 선정여부 결과를 수집하여,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정여부에 있어 창업기업 특성변인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둘째, 선정평가항목에 의한 선정여부의 영향은 2015년 성별(남), 창업자의 보유역량, 2016년 창업(기창업), 글로벌 진출 실적 및 잠재력, 2017년 창업(기창업)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3년간 전체 선정의 정확도 분석결과, 매년 정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으며, 비 선정의 정확도보다 선정에 대한 정확도가 더욱 낮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현재 창업기업 선정평가지표 및 구성문항은 실제 선정여부를 판단하는데 있어 모호성 및 부적합한 구성항목을 규명하고 매년 창업환경 변화에 따른 지표의 변경은 선정의 정확도를 더욱 낮게 하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정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우수 창업기업 선별기능에 대한 선정평가지표의 중요성과 개선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curacy of the assessment items for selecting start-ups used in the project to support start-ups and verified their validity in determining whether they are appropriate assessment items based on selection criteria. The results of 973 start-ups that applied for the project fostering startup leading universities were collected an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using SPSS 18.0.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start-ups were identified in terms of selection. Second, the impact of selection by assessment items was gender in 2015, capability of the founder, business establishment in 2016, performance and potential in the global market, and business startup in 2017. Third, the overall selection accuracy analysis for the last three year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of the selection is lower each year and that the accuracy of the selection is lower than the accuracy of the non-selection. This means that the current assessment items for selecting start-ups are inaccurate for selection, and that changes in the items due to changes in the start-up environment each year have led to lower accuracy of selection.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raised the importance of assessment item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of assessment items for the screening functions of good start-ups to enhance efficiency of the policies for startup support.

      • KCI등재후보

        흑수백산지구 소남산문화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요서지구 소하서문화∼흥륭와문화로의 전파

        정경희(Jung, Kyung Hee)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2 유라시아문화 Vol.7 No.-

        본고는 근래 동북아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선진적 중기 신석기문화로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흑수백산지구 오소리강 하류의 소남산문화(B.C.7200년∼B.C.6600년경)의 표지인 ‘적석단총-옥석기문화’가 요서지구 최초의 신석기문화인 소하서문화∼흥륭와 문화로 전파되는 구체적인 과정을 살핀 연구이다. 요서지역 최초의 신석기문화인 소하서문화의 토착 묘제는 거지묘 또는 거실묘 형식의 토광묘로 흑수백산지구의 적석단총문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의기류 방면에서는 일부 소남산 옥석기문화의 영향이 나타났으나 소재나 기종 등 여러 면에서 그 영향력 정도가 미미하였다. 소하서문화는 당대 최고의 선진문화권이던 소남산문화권의 외곽지역으로부터 소남산 옥석기문화를 흡수, 소남산문화권의 ‘간접적’ 영향하에 놓여 있었다. 소하서문화기를 지나 흥륭와문화기가 되자 소남산문화권의 외곽지역이 아닌 중심지역 소남산사회에서 ‘직접적’으로 적석단총-옥석기문화가 전파되는 변화가 생겨났다. 곧 요서지구의 최북단인 서랍목륜하 일대 백음장한사회로 소남산 적석단총문화인 ‘환호를 두른 구릉성 적석단총’이 전수되어 ‘돌담을 두른 구릉성 적석단총’ 형태로 나타났고 옥석기문화 방면에서도 소남산 옥석기의 주요 기종들이 전수, 소남산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본격적인 영향을 받게 되었다.(흥륭와문화 백음장한유형) 백음장한유형은 요서사회내 소남산문화를 전파하는 문화적 전진기지가 되어 사해유형을 위시하여 요서사회 전역으로 소남산 적석단총-옥석기문화를 확산시켜가는 역할을 하였다. 백음장한유형이 소남산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직접적인 영향하에 놓여 있었던 반면 사해유형은 ‘소남산-백음장한’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영향하에 있으면서도 묘제 방면에서 적석단총제를 수용하지 않고 토착 묘제인 거실묘를 인습하거나 옥석기문화 방면에서도 옥석기 이전의 구전통인 골ㆍ도기를 절충하는 등 소남산-백음장한 적석단총-옥석기문화의 전형성에 미치지 못한 모습이었다. The indigenous tomb style of Xiaohexi culture(小河西文化), the first neolithic culture in Liaoxi(遼西) region, was a pit burial tomb(土壙墓) in the form of Geojimyo tomb(居地墓) or Geosilmyo tomb(居室墓) and the stone mound altar⋅tomb of Amur river-Mt.Baekdusan region did not appear.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ritual objects(儀器), a partial influence of the jade⋅stoneware of Xiaonanshan culture appeared but the degree of influence was insignificant in many ways such as materials and types. As these influence had given from the outskirts of Xiaonanshan culture, it can be said that Xiaohexi culture was under the ‘indirect’ influence of Xiaonanshan culture. After Xiaohexi cultural period, reaching Xinglongwa culture(興隆窪文化), there was a new change that the stone mound altarㆍtomb-the jadeㆍstoneware culture of Xiaonanshan had spread to Liaoxi region ‘directly’. The stone mound altarㆍtombs of Xiaonanshan appeared in Baiyinzhanghan(白音長汗) society of Xinglongwa culture. In addition, the main jadeㆍ stoneware types of Xiaonanshan including Gyeol(玦) and Bi(匕) appeared in Baiyinzhanghan society. Baiyinzhanghan society was placed under the full-fledged influence of Xiaonanshan culture.(‘Baiyinzhanghan type’) Baiyinzhanghan type became a base for cultural propagation to spread Xiaonanshan culture within Liaoxi society and played a role in spreading ‘the stone mound altarㆍtomb-the jadeㆍstoneware culture’ of Xiaonanshan throughout Liaoxi region including Zhahai(査海) society. Although Zhahai society was basically influenced by Xiaonanshan culture through Baiyinzhanghan society but adopted the indigenous Geosilmyo tomb style instead of accepting the stone mound altarㆍtomb and greatly compromised some old traditions of boneware and earthenware, the main ceremonial items prior to the main use of the jadeㆍstoneware. These style was somewhat distant from the typicality of Xiaonanshan culture.(‘Zhahai type’)

      • KCI등재

        요서지역 조보구문화~홍산문화기 마고여신상의 변화와 배달국의 ‘마고제천’

        정경희(Jung Kyung-Hee) 고조선단군학회 2017 고조선단군학 Vol.36 No.-

        요서지역 최초로 마고여신상이 발견, 마고제천이 시작된 곳은 흥륭와문화기 서랍목륜하 일대이다. 흥륭와문화의 후속문화인 조보구문화기에 이르러 이 일대의 마고여신상에서 척추선이 강조되고 백회혈이 표시되는 등 선도수행적 표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조보구문화의 후속문화인 홍산문화기에는 선도수행적 표현이 더욱 분명해졌다. 흥륭와문화기 이래 홍산문화기에 이르기까지 서랍목륜하 일대는 마고제천이 시작되어 선도수행적 방향으로 변화 · 발전해간 마고제천의 초기 중심지였다. 홍산문화기에는 소조상 제작이 일반화되면서 소조 여신상이 널리 제작되었는데 반가부좌 상태로 양손으로 배 하단전을 감싼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하단전에서 시작하여 중단전, 다시 상단전으로 생명력이 회복되어가는 선도수행의 과정을 표현한 것으로 당시 마고제천이 선도수행적 방식으로 깊어져간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홍산문화기 여신상에는 선도적 세계관인 仙道氣學까지 표현되었으니 3명의 여신이 합체된 형상의 ‘마고3여신상’, 또 인체의 3배 · 2배 · 1배 크기로 3구분된 총7기의 여신이 십자형으로 배치된 ‘마고7여신상’의 경우가 그러하며, 여기에서 홍산문화기 마고제천이 선도수행적 방식으로 깊어져가고 있었던 배경에 선도기학에 대한 진전된 인식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알게 된다. 이렇듯 홍산문화기 마고제천이 선도수행적 방식으로 깊어져간 모습은 선도사서중 배달국시기 역대 환웅들의 ‘敎化 · 師道’에 의해 마고제천문화(선도문화)가 본격적으로 보급되어간 모습과 합치된다. 중국학계는 요서지역의 여신상 전통을 기본적으로 조상숭배로 바라보며 그 사상 · 종교성은 ‘샤머니즘’으로 인식하기에 여신상에 나타난 선도수행적 의미에 전혀 주목하지 않았다. 단지 좌법에만 주목, 기왕에 중국의 전통 정좌법으로 인식되어온 ‘궤좌’ 대신 ‘반가부좌’를 전통 정좌법으로 변개하였다. During Xinglongwa(興隆窪) Culture, the central area of Liaoxi area that the very first ‘Mago Goddess statues’ were excavated and Mago Heaven Rituals had started was just XarMoron River area. Toward Zhaobaogou Culture, the follow-up culture of Xinglongwa Culture, ‘Sundo-discipline marks’ in Mago Goddess statues such as spine mark and Baekoe meridian-point(百會穴) mark were indicated. Toward Hongshan Culture, the follow-up culture of Zhaobaogou Culture, these kind of marks were become more clear. From Xinglongwa Culture to Hongshan Culture, XarMoron River area was the initial pivot that Mago Heaven Rituals was started and changed into the direction of Sundo-discipline. During Hongshan Culture, as clay statues production was common, ‘clay Goddess statues’ were made widely. The most distinctive posture of clay Goddess statues was sitting with her legs half-crossed and with her hands around the bottom-Danjeon(the lower part of the abdomen). This posture is the indication on the process of Sundo-discipline recovering human’s vitality in order of the bottom-Danjeon, the mid-Danjeon(中丹田), and the top-Danjeon(上丹田). It shows that Mago Heaven Rituals of Hongshan Culture was changed and deepened into the direction of Sundo-discipline. Also in ‘clay Goddess statues’ of Hongshan Culture, Ki philosophy of Korean Sundo was indicated. Two exemplary cases were ‘Mago 3Goddess statues’ shaping a complex of three Goddess and ‘Mago 7Goddess statues’ that are arranged crosswise and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3times-sized, 2times-sized and life-sized of human in Uharyang(牛河梁) Shrine(Goddess Shrine) remains. ‘Mago 3Goddess statues’ and ‘Mago 7Goddess statues’ shows Hongshan people’s understanding level on Sundo philosophy(Ki philosophy) and Mago Heaven Rituals which was heading deeper into the Sundo-discipline direction. Researching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n Sundo, the aspect that Mago Heaven Rituals in Hongshan Culture was heading deeper into the Sundo-discipline direction is a natural result that a line of Whanwoong(桓雄) of Baedalkook educated in Mago Heaven Rituals at the state level. On the other hand, chinese scholars interpret Goddess statues in Liaoxi area as the ancestor worship and understand a religious background as Shamanism. So they don’t attend Sundo-discipline marks of Goddess statues at all. Only attending sitting position, they alter the formal sitting position of ancient China from sitting on feet to sitting with legs half-cro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