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문형 종결어미 ‘-(으)ㄴ가요’와 ‘-나요’의 사용 실태 연구 -인터넷 질문・답변 게시판 분석을 중심으로-

        정경은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2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at the grammar information of ‘A-eun ga yo?’ and ‘V-na yo?’ in Korean textbooks are used in real life. These day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mage media and the Internet, Korean learners are learning Korean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entertainment programs, information on one-person media, and Internet writing, rather than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If the grammatical information of Korean textbooks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usage, the learner can be confused and even have a distrust of the textbooks. Also, in the classroom, educators may be uncomfortable because they have to teach practical information in addition to the grammar information provided in the textbook. In respons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actual use of ‘A-eun ga yo?’ and ‘V-na yo?’ to find out how different grammar information in Korean textbooks is from reality and discuss how to reflect it in th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is. The questions and answers boards of Internet portal sites 'Daum' and 'Naver' were surveyed on the use of ‘A-eun ga yo?’ and ‘V-na yo?’ in real life. In this question and answer board, this study analyzed the frequency of the combination of ‘A-eun ga yo?’ and ‘V-na yo?’ that combine with a beginner-level adjective. Forty-six adjectives in a beginner-level combined with ‘-na yo?’ was higher than ‘-eun ga yo?’. That's 33 percent of the total 139 adjectives. In addition, words that the adjective stem ends in a shape of ‘ㅂ, ㅈ, ㅎ’ and double final consonants were turned out that there was a higher number of bonding with ‘-na yo?’. This is a different result from what Korean textbooks say ‘A-eun ga yo?’. This suggests that Korean textbooks should reflect practical information that not only ‘있다’, ‘없다’ but also some adjectives combined with ‘-na y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재에서 제시하고 있는 ‘A-(으)ㄴ가요?’와 ‘V-나요?’의 문법 정보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요즘은 영상 매체와 인터넷의 발달로 한국어 학습자는 교육 기관이 아닌 예능 프로그램과 1인 미디어의 정보, 인터넷 글 등과 같은 여러 경로를 통해 다양하게 한국어를 습득하게 되는데, 한국어 교재의 문법 정보가 실제 사용 실태와 다르다면 학습자는 혼란스러워 할 수 있고, 나아가 교재에 대한 불신도 가질 수 있다. 또한 교육 현장에서 교육자에게는 교재에서 제시한 문법 정보 외에 재량껏 실제적인 정보도 가르쳐야 하는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이에 ‘-(으)ㄴ가요?’와 ‘-나요?’의 실제 사용 실태를 조사하여 한국어 교재의 문법 정보와 얼마나 다른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 내용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를 논하고자 한다. ‘-(으)ㄴ가요?’와 ‘-나요?’는 의문형 종결어미이므로 질문하는 상황이 우선적으로 전제되어야 하고 ‘-아/어요?’와 달리 친분이 없는 대상에게 공손하게 말하는 조건이 필요한데 이를 가장 잘 보여 주는 환경이 바로 인터넷 질문・답변 게시판이다. 그리하여 한국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포털 사이트 ‘다음(Daum)’과 ‘네이버(Naver)’의 질문・답변 게시판을 대상으로 초급 수준의 형용사와 결합하는 ‘-(으)ㄴ가요?’와 ‘-나요?’의 결합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급 수준의 형용사 139개 중 33%에 해당하는 46개의 형용사가 ‘-나요?’와 더 많이 결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형태적으로 형용사 어간의 받침이 ‘ㅂ, ㅈ, ㅎ’일 경우와 겹받침일 경우 ‘-나요?’와의 결합수가 더 높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A-(으)ㄴ가요?’ 정보와 다른 결과로, 한국어 교재에 ‘있다’와 ‘없다’뿐만 아니라 몇몇 형용사도 ‘-나요?’와 결합한다는 실제적 정보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 82년생 여성의 노동시장 실태분석

        정경은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7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Vol.2017 No.11

        언론 보도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애 가장 많이 판매된 소설이 ‘82년생 김지영’이다. 이에 본보고서는 이전 세대에 비해 교육차별이 거의 사라진 세대를 대표하는 82년생 여성들의 노동시장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통계청의 ‘지역별 고용조사’ 2016년 하반기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15세이상 생산가능인구 중에서 82년생 여성은 41만5천명, 남성은 44만1천명이고, 경제활동인구 중에서 82년생 여성은 24만8천명, 남성은 41만3천명이다. 즉, 82년생 여성은 남성보다 2만6천명 적게 태어났으나 경제활동인구는 남성보다 16만5천명 적다. 둘째, 비경제활동인구는 82년생 여성이 16만7천명으로 동년배 남성보다 13만8천명 많다. 또한, 58년생 여성(16만6천명)과 남성(5만1천명), 70년생 여성(12만5천명)과 남성(2만3천명)보다 많다. 이 결과는 82년생 여성이 자발적으로 비경제활동인구가 되었는지 말해주지 않는다. 다만, 설문에 응한 82년생 여성 중에서 직업을 구하지 않는 이유 1위는 육아이다. 그 결과, 82년생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9.8%, 고용률은 57.9%로 58년생 여성을 제외하고 동년배 남성, 70년생 여성과 남성, 58년생 남성에 비해 가장 낮다. 특히, 배우자가 있는 82년생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51.0%, 고용률이 49.7%로 나타나 육아로부터 벗어난 나이로 추정되는 70년생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 69.1%, 고용률 67.9%보다 낮다. 셋째, 취업자의 성별 비중을 볼 때, 82년생 취업자 10명 중에서 여성은 4명에 채 미치지 못하고 남성은 6명을 넘는다. 구체적으로, 82년생 여성 41만5천명 중에서 취업자는 24만명, 남성은 44만1천명 중에서 39만9천명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15만9천명 적다. 특히, 82년생 대졸이상 여성이 11만4천명으로, 동일 학력의 남성(19만1천명)보다 7만7천명 적다. 82년생은 4년제 대졸이상 고학력자가 다수인만큼 대졸이상 성별 취업자수 격차가 7만2천명인 70년생이나 5만명인 58년생보다 격차가 더 크다. 넷째, 취업자 중에서 임금노동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82년생 여성이 86.3%로 가장 높다. 즉, 82년생 여성 취업자는 24만명인데 비해 임금노동자는 20만8천명이다. 이어 82년생 남성 취업자 39만9천명 중에서 임금노동자가 33만9천명으로 85.1%이며, 70년생 여성이 22만1천명(73.8%), 70년생 남성이 30만1천명(72.4%), 58년생 여성이 14만명(64.6%), 58년생 남성이 18만6천명(59.3%)이다. 다섯째, 82년생 정규직 10명 중에서 여성이 3명이고, 남성은 7명이다. 비정규직은 여성과 남성이 거의 절반씩 차지하고 있다. 즉, 82년생 정규직 41만명 중에서 여성은 14만명(34.1%), 남성은 27만명(65.9%)으로 31.8%p 차이이다. 82년생 비정규직 13만6천명 중에서 여성은 6만8천명(49.6%), 남성은 6만9천명(50.4%)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0.8%p 낮다. 나이가 들수록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이 많지만, 여성의 정규직 비율 감소 추이가 급격하다. 82년생 여성 중에서 정규직 비율이 67.4%(14만명)이지만 70년생 여성은 50.2%(11만1천명), 58년생 여성은 30.9%(4만3천명)이다. 반면, 82년생 남성의 정규직 비율이 79.8%(27만명), 70년생 남성의 경우 74.2%(22만3천명), 58년생 남성 60.0%(11만1천명)이다. 한편, 학력별로 볼 때, 세 연령층에서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은 85.7%인 82년생 중졸이하 여성으로 사실상 10명 중 9명이다. ‘고학력자 시대’에 저학력자일수록 사회적 취약계층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82년생 여성 노동자는 동년배 남성보다 근속년수는 0.1년 길지만 노동시간이 1주일에 5.6시간 짧고 한 달 임금은 67만원 더 적다. 82년생 여성의 월평균 임금은 219만원, 같은 나이 남성의 임금은 286만원으로, 남성 임금을 100만원이라 할 때, 여성 임금은 76만6천원이다. 82년생 여성의 임금은 70년생 여성의 임금(188만원)보다 31만원 높고, 58년생 여성(144만원)보다 75만원 높다. 여성의 임금이 나이가 들어갈수록 낮아지는 반면, 남성의 임금은 70년생이 가장 높고 82년생이 가장 낮다. 동일한 고용형태라 하더라도 성별 임금격차를 보이고 있다. 82년생 정규직 여성은 249만원인 반면, 남성은 303만원이어서 여성이 54만원 더 적다. 82년생비정규직 여성은 158만원인데 비해 남성은 220만원으로 여성이 62만원 더 적다. 또한 동일한 학력이라 하더라도 성별 임금격차가 뚜렷하다. 82년생 대졸이상 여성은 258만원으로 남성(323만원)보다 65만원 낮고 전문대졸 여성은 200만원으로 남성(267만원)보다 67만원 낮다. 82년생중에서 성별 학력별 임금격차가 가장 큰 집단은 고졸로 여성(161만원)이 남성(241만원)보다 80만원 낮다. 중졸이하의 여성의 경우 141만원으로 남성(166만원)보다 25만원 더 적다. 일곱째, 82년생 여성노동자 5명 중 1명은 저임금이다. 2016년 하반기 중위임금은 200만원이며, 저임금 기준은 중위임금의 2/3인 133만원 미만이다. 82년생 여성 노동자 20만8천명 중에서 4만1천명(19.5%)이 저임금을 받고 있으며, 82년생 남성은 33만9천명 중에서 1만5천명(4.5%)이다. 70년생 여성 노동자 22만1천명 중에서 7만4천명(33.7%)이 저임금이며 남성은 30만1천명 중에서 1만3천명(4.2%)이다. 58년생 여성 노동자 14만명 중에서 7만8천명(56.1%)이 저임금이며, 남성 18만6천명 중에서는 1만8천명(9.7%)이 해당된다. 여덟째, 70년생이나 58년생과 달리 82년생의 경우 여성과 남성 모두 다수가 선택한 직업 1위는 경영관련 사무원으로 동일하다. 82년생 여성이 선택한 10대 직업 중에서 비정규직이 다수인 직업 1위는 문리/기술 예능 강사(91.2%, 1만명), 2위는 매장판매종사자(60.7%, 6천명)이다. 58년생보다 70년생이, 70년생보다 82년생 여성의 10대 직업에 이전 세대보다 고임금 직업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 82년생 여성의 경우 금융 및 보험관련 사무종사자가 318만원으로 가장 고임금이며, 월 200만원 이상 버는 직업은 경영관련사무원(259만원), 회계 및 경리사무원(205만원), 행정사무원(241만원), 학교교사(265만원)가 있다. 동일한 직업이라 하더라도 남성의 임금이 더 높은데, 경영관련사무원의 경우 여성(259만원)이 남성(309만원)보다 50만원 적다. 금융 및 보험관련 사무종사자의 경우에도 여성(318만원)이 남성(364만원)보다 46만원 낮다. 마지막으로, 82년생 여성의 미래는 무엇인가. 12년 뒤 육아로부터 벗어나 노동의 세계로 귀환하면, 82년생 여성의 미래는 2016년을 살아낸 70년생 여성처럼 매장판매직이 직업 1위가 될 것인가. 24년 뒤는 오늘 날 청소원이 직업 1위인 58년생 여성의 기시감이 들 것인가. 82년생 여성은 띠동갑인 70년생이나 58년생에 비해 4년제 대졸이상의 고학력자가 다수이나 여전히 10명 중 4명은 비경제활동인구이다. 일하는 여성도 남성보다 임금이 낮고 비정규직 비율은 더 높다. 이는 12년 전 70년생 여성과 24년 전 58년생 여성의 삶과 대동소이할지도 모른다. 앞으로도 30대 기혼자들은 82년생들처럼 여성에게 육아와 가사노동 또는 비정규직 노동을, 남성에게 장시간 노동을 요구하는 세상을 살아야 하는지 의문이다. 역대 정부는 고용정책 1순위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약속했다. 혹시 양질의 일자리란 남성이 장시간 일하고 여성은 전업주부이거나 육아와 일 모두 해내는 수퍼맘을 전제로 하지 않는지 검토해야 할 것이다. 양질의 일자리가 양성평등적이고 성별 임금격차를 해소하는 일자리이길 기대한다.

      • KCI등재

        청소년 가출 원인에 대한 메타분석

        정경은,김신영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3

        A synthetic meta-analysis of 20 studies tested determinants of youth runaways. Those 20 studies have been published from 2001 and dealt with the determinants of runaway of Korean youths. The effect size of each study were transformed. Results show that such factors as individual and family attributes, school characteristics, and societal level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individual attributes, the effect sizes are relatively large in runaway impulse(1.317), risk behavior(1.096), respondents' age(.875), and self-respect(.854). Such family attributes as child fostering attitudes(2.359), domestic violence and harrassment(2.319), family structure(1.060) show large effect sizes, Among school characteristics, school types(2.044), academic performance by GPA(1.992), stress level in school (.951), relationship with teachers (.806) show relatively large effect sizes. The effect sizes of relationship with peer groups and societal level factors such as support from relevant adults (1.537) and delinquent peers(.877) are also large. 본 연구는 청소년 가출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 가출의 원인 변인들을 메타분석 하였다. 연구대상은 2001년도부터 2012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가출 원인 관련 논문 가운데 효과크기 변환이 가능한 논문 21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개인변인, 가족변인, 학교변인, 또래 및 사회변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개인변인군 가운데 큰 효과(d≥.8)를 보인 것은 가출충동(1.318), 위험행동 경험(1.854), 연령(.875)이었다. 가족변인군에서는 양육태도(2.359), 가족폭력, 학대(2.054), 가족구조(1.060), 학교변인군에서는 학교계열(2.044), 성적 및 학교 스트레스(1.906), 교사관계(.806)가 큰 효과를 보였다. 또래 및 사회변인군에서 큰 효과를 보인 변수는 또래 및 성인지지(1.538), 비행친구(.812)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신춘문예의 종교현상 고찰: 의례와 신화화를 중심으로

        정경은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5 문학과종교 Vol.20 No.4

        현대 한국에서 주요한 문단 등단 방법 중의 하나는 신춘문예이다. 신춘문예 는 예심을 거쳐 올라온 시들 가운데 한 편을 뽑고 심사평을 발표하는데 심사평 은 ‘올해 투고시의 경향’이나 ‘시에 대한 단상’ 그리고 ‘낙선이유’와 ‘당선이유’ 등을 발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본고의 연구대상 시기인 2000년 이후 약 60여명의 심사자, 약 100명가량의 당선자, 수천 명의 낙선자가 있었다. 시간차 가 있음에도 당선된 시와 심사평에서 발견되는 낙선자나 심사자 그리고 당선자 의 특징은 이들을 단수로 지칭해도 될 만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매해 수 천 명의 시인들이 투고하고 있으므로 신춘문예는 지극히 당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2000년 이후의 신춘문예 심사평과 당 선작을 통해 신춘문예의 종교현상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당선자 낙선자 심사자 는 문학청년들의 강렬한 문학 숭배현상, 통과해야 할 관문으로서의 ‘통과의례’ 라는 의례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당선된 시들에게서는 ‘신화화의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신화화의 과정이란 ‘무서운 아버지,’ ‘소외된 아들들,’ ‘아버지의 쇠퇴,’ ‘아버지 죽이기,’ ‘죄의식과 아버지의 토템화,’ ‘주기 적인 의례로 기억하기,’ ‘또 다른 아버지가 되기’의 신화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In Korea, one of the ways of becoming a poet is winning the Annual Spring Literature Contest. There are two steps for competitors to go through in order to become a final winner. First, a panel of judges select several quality poems. Afterwards, the judges decide on one best poem from the chosen poems. The poems that are dropped off at a preliminary contest are called as ‘unselected poems’. When announcing the winner of the contest, the examiners issue commentaries on the best poem as well as those on unselected ones. The whole process of the Spring Literature Contest is considered almost similar to ritualistic and religious phenomena. The ritualistic phenomena involving both the winner and losers of the contest include worships of literature and a rite of passages for would-be poets. Moreover, the following themes are often found in the selected poems such as strict fathers, alienated sons, murdering fathers, sense of guilt, Totem, rites of regular memorizing and ‘being an another father.’

      • KCI등재

        청소년정책기본계획 비교⋅분석과 시사점: 복지정책을 중심으로

        정경은,조규필,조성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3 청소년복지연구 Vol.25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youth welfare policies in the 1st to 7th Youth Policy Basic Plan implemented over the past 30 years,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future youth policy planning, and propose directions for youth policy development. For this purpose, the Strategic Thinking Model, the four-dimensional Model, and the Stufflebeam’s CIPP Model were used in combination as an analysis framework based on ideology, process, area, and object asp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in terms of ideology and objectives, individual growth(101 items) showed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In the policy process, opportunity expansion(77 items) had a higher ratio. Support and treatment(60 items) had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in the policy area. Regarding the policy targets, marginalized youth(55 items) and crisis-affected youth(50 items) showed relatively higher percentages. On the other hand, aspects such as ‘environmental creation’ in ideology and objectives, ‘result verification(output)’ in the policy process, ‘case identification’ in policy areas, and ‘providers’ in policy targets had lower proport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specific policy sugges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youth policy basic plan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