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 도서관의 개방 사례 연구 : 경남대학교 도서관 '대출 서비스'를 중심으로

        정경란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2001 사대도협회지 Vol.2 No.-

        본 연구는 대학의 교육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의 필요성을 알아보고, 경남대학교 도서관의 개방 사례를 통해 개방 후 대두되는 문제점 및 그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다. 개방을 함으로써 대학도서관이 지역사회 문화의 중심체로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하는데, 이 글이 개방을 검토하고 있는 다른 대학 도서관에 조그마한 참고라도 되었으면 좋겠다. Through this study, I aim to know the necessity of opening university libraries to a local community caused by the change of education environment of the universities in Korea. And I aim to solve some problems by looking through the examples of opening the library of Kyungnam University. By opening the libraries to a local community. I hope the library of a university will be a social and cultural center in a local community and this opening example will be helpful to neighboring universities which are planning to open their libraries to the local community.

      • 한국의 전통 - 고추의 우리나라 전래에 대한 재고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고추가 임진왜란 훨씬 이전에 '그쵸'로 있었다 -

        정경란,장대자,양혜정,권대영,Jeong, Gyeong-Ran,Jang, Dae-Ja,Yang, Hye-Jeong,Gwon, Dae-Yeong 한국식품연구원 2009 한맛한얼 Vol.2 No.1

        Prior to 1970, it was known that Korean had our own red pepper named as Kochu and we used Kochu in preparing kimchi and kochujang. However, after Professor Lee insisted that Korean red pepper (Kochu) was transferred from Japan during the Seven Years War (Imjinwaeran(壬辰倭亂)),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sim}$1598),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without any criticisms. But many old literatures have shown that Korean Kochu already existed in Korea before the war. For example, the books, Kukubkanibang ((救急簡易方) published in 1489) and Hunmongjahoi ((訓蒙字會) published in 1527), demonstrated that Kochu was cultivated as food substances or medicinal purposes. In another old literature (1460), Siklyochanyo(食療撰要), kochujang was used as an uncomfort-stomach stabilizer. In addition, Korean red pepper was genetically different from South-Mid America's red pepper called as Aji. It has been also insisted by Professor Lee that Aji was transferred to Europe by Columbus in 1492 and then to Korea by Japanese Army in order to kill Korean during the war, and the Aji was modified to Korean Kochu. In conclusion, in Korea our own Kochu was cultivated and used in the Korean native 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and kochujang.

      • KCI등재

        「鳳凰吟」과 고려 가요의 구조적 관련성

        정경란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49

        ‘Bonghwangeum'is an early-Joseon song of an akjang genre, in the style of byeolgokche, written by Yun Hoe (1380-1436)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praising the glory of the royal house. ‘Bonghwangeum’ is essentially the same song as ‘Cheogyongga,’ having only different lyrics. To find Koryo gayo songs having structural similarities with ‘Bonghwangeum,’an additional analysis performed to determine structural similarities between ‘Bonghwangeum’ and Goryo’s gayo songs showed that ‘Jeongeup’ has the same type of soyeop (a section of a stanza) as the Joseon song. Hence, four total songs were identified as closely related to ‘Bonghwangeum’: ‘Jinjak,’ ‘Jahadong,’ ‘Seonghwangban’ and ‘Jeongeup.’ The comparison of ‘Bonghwangeum’ and these four songs revealed that the Joseon song borrows its melodic structure directly from ‘Jinjak’ and ‘Seonghwangban,’ and its yeoeum from ‘Jahadong.’ Its structure is also largely based on Goryeo songs. For example, the jeongang stanza of ‘Bonghwangeum’ merges the three stanzas of ‘Jinjak’ namely, jeongang, junggang and hugang, the first, second and the third stanzas. As for the daeyeop stanza of ‘Bonhwangeum,’ it expands on the daeyeop of ‘Jinjak,’ and the buyeop is directly borrowed from ‘Jeongeup’ and ‘Jahadong.’ In the case of ‘Bonghwangeum,’ this study found that it borrows melodic segments from various Goryeo songs, and not a single song, such as ‘Jinjak,’ ‘Seonghwangban,’ ‘Jahadong’ and ‘Jeongeup.’ ‘Bonghwangeum’ is a long song, consisting of 80 lines (32 jeonggan) according to Sejong sillok akbo, and 160 lines (16 jeonggan) according to Daeak hubo. As they attempted to perform such an exceptionally long song with a new set of lyrics, they seem to have felt the need to re-arrange the song by consulting other songs from the Goryeo period. Although its lyrics were newly rewritten in early Joseon, this study found that ‘Bonghwangeum’ is not at all a new song and that it is virtually identical to ‘Seonghwangban,’ a shamanistic song from the Goryeo period. Hence, ‘Cheoyongga’ originating in Silla appears to have been adapted into ‘Seonghwangban’ once into the Goryeo period, and this adaptation was sung in Joseon, this time, under the title ‘Bonghwangeum,’ with a new set of lyrics. 별곡체의 악장인 「봉황음(鳳凰吟)」은 조선 초기 세종 때 윤회(尹淮, 1380∼1436)가 창제한 왕가에 대한 송축가로 「처용가(處容歌)」의 악곡에 가사만 바꾼 곡이다. 조선 초기 신제(新制)된 악가는 고려 때부터 전래하는 악곡의 선율을 빌어 가사만 바꾸는 형태로 창제하였는데, 「봉황음」이 고려의 어느 악곡을 취하여 만들어졌는지는 밝혀진 바 없다. 「봉황음」과 고려 가요의 구조적 관련성을 찾기 위하여 「봉황음」과 여음, 종지형, 용강법 등에서 관련이 있는 악곡인 「진작(眞勺)」․「자하동(紫霞洞)」․「성황반(城皇飯)」․「정읍(井邑)」의 4곡과의 악곡 분석을 시도하였다. 악곡 분석 결과, 음악구조에 있어서 「봉황음」의 전강은 「진작」의 전강․중강․후강에서 가져왔고, 「봉황음」의 부엽은 「진작」․「성황반」․「자하동」의 부엽과 거의 유사하며, 「봉황음」의 중엽은 「진작」의 대엽을 가져왔으며, 「봉황음」의 소엽은 「정읍」의 소엽과 「자하동」의 일부선율을 차용하였다. 「봉황음」의 후강은 「진작」의 중강과 후강에서 가져오고, 「봉황음」의 대엽은 「진작」의 대엽을 확대하고 중강선율을 포함시켰다. 「성황반」의 선율들은 「봉황음」의 소엽을 제외한 전강, 부엽, 중엽, 후강, 대엽의 선율들과 거의 같거나 유사하여 「봉황음」이 「성황반」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봉황음」은 고려 때의 「진작」․「성황반」․「자하동」․「정읍」의 악곡에서 선율 및 음악구조를 차용하고, 가사만 새로 개작한 곡임을 확인하였다. 「봉황음」은 『세종실록악보』로는 80행(1행 32정간), 『대악후 보』로는 160행(1행 16정간)에 달하는 1․2․3곡으로 이루어진 대곡(大曲)이다. 이렇게 방대한 곡을 가사만 바꿔서 연주하자니 고려 때의 여러 악곡을 참고하여 개작한 흔적이 보인다. 「봉황음」은 조선 초기에 가사가 개작되기는 했으나, 전혀 새로 만들어진 곡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무가인 「성황반」과 거의 유사하여, 신라시대부터 내려온 「처용가」의 음악이 고려시대 「성황반」을 거쳐, 조선시대 「봉황음」으로 가사만 개작되어 이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후보

        고려 <귀호곡>과 종묘제례악 <형가>의 관계

        정경란 국립국악원 2012 국악원논문집 Vol.26 No.-

        Gwihogok(歸乎曲) is one of Korea old traditional song(Gayo, 歌謠) which might be composed in Goryeo Dynasty. Its lyric and music have been written in Akjanggasa(『樂章歌詞』), Akhakpyungo(『樂學便考』) and Siyonghyang-akbo(『時用鄕樂譜』). This music must be handed down to some musics in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studied how Gwihogok is transmitted into Joseon music, especially in Jongmyojeryeak(宗廟祭禮樂) through the comparison music of Kwihogok with those of Hyungkwang(King Sejong in Joseon) and Hyungga(King Sejo) in Jongmyojeryeak(Botaepyung). This Hyungga is passed down and performed until now. Hyunggwang was played as one of Hoyryeak which was played as ritual music when Executives gathered altogether in palace. Hyungga, which was composed in King Sejo by extracting the melody from Gwihogok and adding new lyrics on it, was played in Jongmyojerye. Hyungga is handed down as written in music score of Daeakhubo, Sogakwonbo, Siyongmubo and Akjangyoram. Similarly, It is found that Yunghwa, Youngkwan, Hyukjung and Chongyu are excerpted from Pungipsong, Seokyungbyulgok, Manjeonchun and Chongsanbyulgok, respectively in part or all. From this research it is proved the origin of Hyungga from Gwihogok(Gasiri). <귀호곡(歸乎曲)>은 고려시대 작자 미상의 가요로 『악장가사(樂章歌詞)』, 『악학편고(樂學便考)』에는 가사가 전해져 오고,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는 가사와 악보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 글은 고려 <귀호곡>과 조선 세종 때의 <형광>, 세조이후 현재까지의 내려오는 종묘제례악 <보태평>중 <형가>와의 비교를 통하여 고려 <귀호곡>의 선율이 현재까지 어떻게 전승되는지를 밝힌 논문이다. 조선 세종 때의 <형광>은 고려 때 <귀호곡>의 선율을 그대로 발췌하여 종묘와 조회에 사용하였고, 세조 때의 <형가> 역시 세종 때 <형광>의 일부 선율을 발췌한 곡이다. 고려의 <귀호곡>과 세종 때의 <형광>이 관련이 있고, 세종 때의 <형광>이 세조 때의 <형가>와 관련이 있다면, 고려의 <귀호곡> 역시 세조이후 현재에도 연주되고 있는 종묘제례악 중의 <형가>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형가>가 수록된 세조실록악보, 대악후보, 속악원보 인편과 신편, 시용무보, 악장요람, 종묘제례악(이왕직아악부, 현행) 악보와 고려의 <귀호곡>을 비교분석하여 고려의 <귀호곡>의 선율이 현재에도 남아서 종묘제례악 중의 <형가>에 전승되어 연주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