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영향

        전현수(HyunSooJeon),이용현(YongHyunLee),권성호(SungHoKwon) 한국체육학회 2011 한국체육학회지 Vol.50 No.3

        본 연구는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성별, 종목에 따른 성취목표성향과 자아존중감, 자기구실 만들기의 성향을 살펴보고, 성취목표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전국 시·도 소재 체육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운동선수 312명을 선정하였으며, 조사 도구는 자기구실 만들기, 성취목표성향, 자아존중감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개념적/통계적 검토를 거처 각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기초통계량,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숙달접근목표성향과 수행접근목표성향은 행동적 자기구실 만들기에 부적인 영향을, 수행회피목표성향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접근목표성향은 언어적 자기구실 만들기에 부적인 영향을, 숙달회피목표성향과 수행회피목표성향은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행동적·언어적 자기구실 만들기를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positional tendencies on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esteem and self-handicapping, and effect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esteem on self-handicapping among athletes from Physical Education high-schools. A total of 312 P.E. high-school athle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Athletes were choses from all the provinc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is study includes: 1) Self-Handicapping Scale 2) 2x2 Achievement Goals Questionnaire for Sport 3) Rosenberg Self-Esteem Inventory. Specificall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were used to verify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stery- approach goal had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 claimed self-handicapping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had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self-handicapping. On the other hand, mastery-avoidance goal had positive effect on claimed self-handicapping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had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 claimed self-handicapping. Third, self-esteem served as a negative effect on behavioral / claimed self-handicapping.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고등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체육수업 스트레스간 관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

        전현수(HyunSooJeon),문민권(MinKwonMoon) 한국체육학회 2014 한국체육학회지 Vol.53 No.5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사회비교 경향성과 체육수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일반계 고등학생 337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질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거친 후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결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사회비교 경향성과 체육수업 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정적인 방향으로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비교 경향성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비교 경향성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해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후속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tr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data of 337 high school students. After the verific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estionnaires data was analyz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d that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fully mediator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stress of physical education class.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on fear of negative evaluation was significantly moderated by academic self-efficacy. This study discussed the results with advanced research, and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