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MIRA Notchback Reference Car 표면유동가시화

        전중환,김용환,조광륜,노상길,이응호,Chun, Chung-Hwan,Kim, Yong-Hwan,Cho, Kwang-Ryun,Roh, Sang-Kil,Lee, Eung-Ho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24 No.10

        A surface flow visualization of a MIRA notchback reference car was conducted using a 1/4 -scale model in the POSTECH wind tunnel. The flow separation and reattachment phenomen a around A-pillar, C-pillar, backlight, and trunk were discussed with the help of the distributions of singular points such as nodes, saddles, and spiral foci. The locations of the singular points on the trunk and the backlight from experiment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CFD results using the turbulence modeling of RNG k -${\varepsilon}$ and RSM.

      • KCI등재

        진화생물학의 은유 ― ‘이기적인 유전자’와 ‘스팬드럴’을 중심으로

        전중환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4 No.-

        전통적인 실재론 관점에서 과학의 언어는 자연 현상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도구에 불과하다고 인식되었다. 그러나 과학도 언어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최근의 관점에서는 과학의 은유, 유비, 수사 같은 언어적 특징들이 과학 활동에 실질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20세기 후반 유전자 중심의 신다윈주의를 널리 확산시키고 격렬한 논쟁을 야기했던 두 가지 대표적인 은유인 ‘이기적인 유전자’와 ‘스팬드럴’이 어떻게 진화생물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진화생물학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다. ‘이기적인 유전자’의 경우, 이 은유의 참뜻은 자연 선택에 의해 그 복제성공도가 최대화되는 단위가 종도, 집단도, 개체도 아니라 유전자라는 것이었지만, ‘인간은 이기적인 유전자의 명령에 의해 이기적일 수밖에 없다’는 의미로 오인되었다. 흥미롭게도 ‘이기적인 유전자’는 은유의 본래 목적은 달성하지 못했지만, 이기성/이타성에 대한 사람들의 내밀한 속내를 자극함으로써 신다윈주의 이론을 널리 알리는데 기여하였다. ‘스팬드럴’의 경우, 생물학적 적응을 연구할 때는 부수적인 이로운 효과와 진화적 기능을 잘 구별해야 한다는 난해한 담론을 사람들에게 쉽게 설명하는데 크게 성공했다. 그러나 ‘이기적인 유전자’같은 정서적인 폭발력은 없었기에 ‘스팬드럴’은 일반 대중에게까지 폭넓게 알려지진 못했다. 본 연구는 진화생물학에서 은유가 쓰이는 양상이 다른 자연과학의 양상과 다를 것인지에 대한 흥미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 Traditionally, the realistic view suggested that the language of science is only a simple, descriptive system that reports natural phenomena. By contrast, a recent view contends that science itself can be the focus of language analysis: the use of scientific language, such as metaphor, analogy, and rhetoric,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cience activity. Here I examine the use of two famous metaphors in evolutionary biology ― the 'selfish gene' metaphor and 'spandrel' metaphor ― and their enduring influence on th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 field. The 'selfish gene' metaphor simply means that the unit of natural selection, i.e., the level whose replication success is maximized over evolutionary time, is the gene, rather than the individual or the group. However, it came to be widely misunderstood as meaning "humans are innately selfish because of the dictatorship of the selfish gene". Interestingly, despite the metaphor's failure in making difficult concepts easy, it made a huge contribution to establishing the gene-centered view of evolution by arousing intense emotional responses to people's mind. For the case of the 'spandrel' metaphor, it did succeed in making ease the complicated concept that one should carefully discriminate a beneficial but incidental effect from a specific evolutionary function. However, perhaps because it did not lead to intense feelings from people, the influence of the metaphor was largely limited. This article highlights a potentially important issue of whether the use of metaphor in evolutionary biology is distinct from the use in other scientific disciplines.

      • KCI등재후보

        자연의 미와 진화 심리학

        전중환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인문학연구 Vol.0 No.19

        Humans experience strong emotional reactions towards their natural environments: for instance, fear, disgust, aspiration, nostalgia, tranquility, and mystery. This article reviews current theories that account for human preference for natural landscapes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Evolutionary psychologists suggest that the human mind is a collection of psychological adaptations that were designed by natural selection to solve the adaptive problems that our hunter-gatherer ancestors faced during our evolutionary history. Hence it is posited that we evolvedto feel positive emotions (e.g., beauty) toward features that enhanced our fitness in ancestral environments and to feel negative emotions (e.g., ugliness) toward features that reduced fitness. First, Savanna hypothesis suggests that modern humans evolved to show an innate preference for savanna environment, in which our ancestors did most of their evolutionary flourishing. Second, prospect-refugee hypothesis states that humans evolved to prefer places that provide prospect, the ability to survey the landscape, and refuge, the ability to hide when in danger. Third, wayfinding theory suggests that humans evolved to prefer landscapes that signal to the observer an opportunity to explore without losing orientation. This evolutionary explanation of natural beauty sheds new light on traditional accounts of the essence of beauty in humani- ties and arts.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자연 환경에 대해 두려움, 혐오, 열망, 향수, 편안함, 신비 등 강한 정서적 반응을 보인다. 본 논문은 자연 경관에 대한 이러한 선호를 진화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는 몇몇 이론들과 그 경험적 증거들을 종합하고 소개하고자 한다. 진화심리학자들은 인간의 마음은 수백만 년 전 인간의 먼 조상들이수렵-채집 생활을 하면서 직면했던 문제를 잘 해결하게끔 자연 선택에 의해 설계된 심리적 적응들의 집합이라고 본다. 이로부터 진화적 조상들의 적합도를 높였던 대상들에 대해서는 우리가 아름다움 같은 긍정적인 정서를, 적합도를 낮추었던 대상들에 대해서는 추함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느낌으로써 결국 생존과 번식에 도움이 되게끔 행동하게 되었으리라는 기본 전제가 도출된다. 경관에 대한 인간의 정서적 심리는 인간이 진화 역사의 대부분을 보낸 아프리카 사바나 초원의 이상적인 서식지에서 발견되는 여러 특질들에 이끌리게끔 진화하였다 (사바나 가설). 또한 여러 곳을 두루 살피는 조망과 안전하게 숨을 피신처를 동시에 제공하는 곳도 선호하며 (조망-피신 가설), 길을 잃어버리지 않으면서 유용한 정보를 탐색할 수 있을 만큼 적당히 복잡한 곳도 선호하게 (길찾기 가설) 진화하였다. 자연의 미에 대한 이러한 진화심리학적 설명이 기존의 인문학과 예술에 던지는 함의를 간략히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