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학술논문 : 횡성전투의 재조명 -홍도산,국사봉 전투를 중심으로-

        전종순 ( Jong Soon Jeon ) 한국군사학회 2013 군사논단 Vol.74 No.-

        The fundamental purpose of war history study is investigate the historical truth. For this, there must be a process to compare and analysis the friendly and enemy`s combat recor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interpret the battle of Hoengsong at the operational level that had been recognized as a failed battl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battle of Hoengsong was failed at the tactical level, but it was successful battle at the operational level. It was because that Communist Chinese Army(CCA) could not achieve there purpose of operation by the Korean Army. Second, in this process 23 rd regiment of 3rd Division of Korean Army delayed CCA`s advance with fierce fighting. Third, Also the 8 th Division of Korean Army did not retreat shiftlessly. They Delayed CCA`s advance so CCA could not achieve the totality of surrounding operation. And the withdrawal of8 th Division was not on the decision of the 8th Division Commander but on the order of US 10th Corps Commander, Lieutenant General Almond. There is meaning that this paper identify the decisive battle based on the friendly and enemy`s engagement record, and suggest the approach to assess whether the troops achieve the purpose of operations.

      • 학술 7 특별구두세션 : F3. 학술세션 QM 주요 이슈: 지표와 모델 ; KPI로서의 품질지표 특성과 개발

        정규석 ( Kyu Suk Chung ),전종순 ( Jong Soon Jeon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4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1. 목적 · 품질경영을 하는데 있어 평가 및 측정을 위한 성과지표의 바람직한 기준을 제시하고, 품질지표 개발을 위한 일반적인 절차 및 방법을 제시 2. 연구설계/ 방법론/ 접근방법 · 문헌조사를 통해 성과지표가 구비해야 할 기준을 도출 · 도출된 기준을 토대로 Q, C, D, P의 품질지표 특성 비교 · 지표 기준에 따라 품질지표 개발을 위한 절차 및 방법 제시 3. 연구결과 · 바람직한 지표 기준에 따른 품질지표 개발 4. 실무적 시사점 · 실무조직에서 품질지표의 적합성을 고려하여 일상 업무와 전략과 연계된 성과지표를 개발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5. 독창성/ 가치 · 핵심성괴지표로서 품질지표가 구비해야 할 적합성을 제시 · 제품품질, 서비스품질, 업무품질의 각각 특성에 부합하는 지표 개발 절차 제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