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컴퓨터과학 : PHP와 MySQL을 활용한 영재관찰추천 웹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전용주 ( Yong Ju Jeon ),채경전 ( Kyeong Jeon Chae ),최현종 ( Hyeon Jong Choi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1

        영재의 선발방식과 절차에 대한 개선요구와 타당성 및 신뢰성 향상을 위해 2009년 이 후 영재관찰추천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이를 통해 잠재된 영재들을 장기간 관찰 및 발굴, 소외지역의 영재들에게도 영재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영재를 관찰·추천하는 영재교사나 담임교사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변화가 요구하는 상당한 분량의 자료들과 이에 대한 보안유지, 그리고 오프라인 원서작성 및 접수 등을 포함한 번거로운 선발 절차 등으로 인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것은 선발 과정 자체의 형식화 및 신뢰도 하락, 영재담당 기피현상 등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관찰추천을 통한 선발과정을 보다 간편하고,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고양시의 정보영재관찰추천 웹 원서접수시스템을 개발하고 2013년 원서 접수시 적용하였고, 이를 통해 영재관찰추천 웹 접수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 Track 2 : 컴퓨터교과교육; 초등 정보영재의 R&E 사사교육에서 CT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사례 분석

        전용주 ( Yong Ju Jeon ),홍창의 ( Chang Eui Hong ),김태영 ( Tae Young Kim ),송기상 ( Ki Sang Song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1

        급속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스마트기기의 보급의 보편화로 인한 디지털 영토의 생성 및 확장은 우리의 삶의 모습을 송두리째 바꿔가고 있으며, 교육의 방법과 패러다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각 국가에서는 자국의 미래 경쟁력을 위한 창의적 정보과학 인재 양성에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특히 정보기기 즉, 컴퓨터를 활용한 사고과정 즉, CT(Computational Thinking) 및 이를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국내외 국가기관 및 연구자들은 다양한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원대학교에서 2013년 10월부터 11월까지 8주간 실시한 R&E 사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적용된 CT 기반 프로그래밍 교육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 수업에 참여한 초등 정보영재학생들이 초등수준에서 이해하기 어려운 병렬화나 난수생성 등의 개념을 활용하지는 못하였으나 대부분의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인 연구과정을 통해 추상화, 자동화, 제어구조의 활용 등을 거쳐 창의적인 프로그램 산출물을 제작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Track 5 컴퓨터활용교육 : 국내외 동향 분석을 통한 SW교육의 이해

        전용주 ( Yong Ju Jeon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8 No.2

        최근의 급격한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한 전세계적인 급격하고 다양한 교육적 변화의 흐름은 ‘SW교육’이라는 키워드로 일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SW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봇물처럼 쏟아지는 다양한 정책과 교육 프로그램의 변화속에서 SW교육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는 많으나, 이에 대한 성격과 의미를 탐구해보는 연구사례는 찾아볼 수 없었다. 하나의 이벤트성이 아니라 하나의 교과로서의 위상 내지는 장기적으로 지속가능 한 교육적인 의의를 갖추려면 SW교육이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궁금증에 대해 탐구하고자 국내외의 SW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동향, 교육 사례 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SW교육이라는 용어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여 다른 관련 연구와 교육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초,중등정보S/W교육 : 창의,융합적 SW교육을 위한 CT-CPS 프레임워크 개발 기초연구

        전용주 ( Yong Ju Jeon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5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9 No.1

        최근의 국내외의 다양한 SW교육활동과 정책의 급격한 변화는 창의·융합적 SW역량을 갖춘 인재가 한 국가의 미래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라는 예측으로부터 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융합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SW교육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Wing(2006, 2008), Philip(2011), Barr 외(2011)의 컴퓨팅 사고(Computational Thinking, 이하 CT)와 Osborn(1953), Parnes, Treffinger(1982)의 창의적 문제 해결 모형(Creative Problem Solving, 이하 CPS)을 융합한 CT-CPS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고, 관련 수업설계사례를 제시하였으며, 추후 이를 검증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 정보영재의 자기주도적 사이버 교수,학습을 위한 스마트러닝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전용주 ( Yong Ju Jeon ),김태영 ( Tae Yo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4 한국초등교육 Vol.25 No.4

        정보영재 교육현장에서 이러닝 시스템에 기반한 사이버 교수ㆍ학습은 영재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지역적 한계를 극복하고 개별화학습을 지원하며, 소외영재를 배려 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되어 왔으나, 접근 환경의 한계로 인해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기반의 사이버 교수ㆍ학습의 장점을 배가할 수 있도록 문제점이 보완된 초등 정보영재의 사이버 교수ㆍ학습에서 활용 가능한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개 발하고, 이를 활용한 교육이 초등 정보영재의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관련 연구를 탐색하였으며, 교육 수요 자의 사이버 학습에 대한 요구사항과 정보영재의 사이버 수업모형을 분석하고, 기존 시스템들을 비교하여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후 개발된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초등학교 5, 6학년 정보영재의 사이버 교수학습에 적용하였는데 통제집단으로는 기존의 이러닝 시스템을 활용하는 학생들을, 실험집단으로는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활용하는 학생들을 선택하였고, 결과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의 하위 요소 중 정보과학적 흥미와 긍정성 부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e cyber teaching and learning in informatics gifted education is to increase the self-directed motivation, to utilize the any-time and any-where study and to support the personal and local education. Our study is to develop a smart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students by studying cyber instructional models and analyzing the requirements of the users of the cyber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smart learning system on the information science creative personality after applying it to their classes. To achieve our goal, we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yber instructional models, surveyed the requirements of the cyber learning system by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n compared them with those of existing cyber learning systems. Next, we developed a smart learning system based on our theoretical background and users’ requirements. Then we analyzed our experimental results after applying the cyber learning environment to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students. We performed our experiment to both a traditional class with a control group by using an existing cyber learning system and a new class with an experimental group by using our smart learning system, and then the paired samples t-test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on the area of information science interest and positiveness. According to the result, it has been proved that our smart learning system is effective in improving information science interest and positiveness for the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students.

      • KCI등재후보

        초등 정보영재의 창의적 인성 함양을 위한 체험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사이버 교수·학습의 설계 및 적용

        전용주 ( Yong Ju Jeon ),김태영 ( Tae Yo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4

        교육부가 제시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한 소프트웨어 교육은 교육과정 상 변화의 중심에 있으며, 다양한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그 중 주목할 만한 우려는 현재 제시된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운영 지침 및 교육과정 시안에서 교육목표, 내용, 방법 등이 정의적인 영역에 대한 부분이 취약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우려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기능과 도구 위주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탈피하고, 정의적인 영역 중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을 함양할 수 있는 수업을 구안하여 사이버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초등 정보영재학생들의 소프트웨어 수업에 적용하였고,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체험중심의 창의적 설계 기반 소프트웨어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의 변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으며, 추후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단순히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여 구현 도구로 구현하는 방법만을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구현 이전의 설계과정을 체험 중심으로 구성해 볼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The curriculum of the software education subject in the 2015 Korean National Curriculum newly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the mainstream showing the innovation of the new curriculum. But experts argue that the objective, the contents and the method of the subject has overlooked the affective domain in both the operation guideline and the initial teaching plan of th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these weaknesses of the newly planed software education.To achieve our goal of breaking the traditional software education focusing on programming functions, we have designed the innovative class concentrated on the affective domain to raise th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For our study, we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constructed the experience-driven online software class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cultivating creative personality of the elementary informatics-gifted students. Then we analyzed our experimental results after applying our instructional course in cyber learning environment to the 5th and the 6th grade informatics gifted students. As a result, the mean score after the experimen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efore the instruction on the seven area of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ult, it has been proved that our new instructional course considering the affective domain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creative personality of the elementary informatics gifted students. Further we draw a lesson that the new subject needs the experience-driven design stage before programming.

      • 초등학생의 CT-CPS 모형 기반 소프트웨어 수업에서 인지적, 정의적 효과성 분석

        전용주 ( Yong-ju Jeon ),김태영 ( Tae-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1 No.1

        새로운 교육과정이 고시되면서 강조된 소프트웨어 교육은 그 목적, 내용, 방법 등이 다양한 연구와 연수 등을 통해 공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는 다양한 적용사례들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들을 살펴보면, 창의적이고 참신한 활동들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지만 대부분의 사례들이 인지적인 영역에서의 문제해결력, 기능적 측면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등을 신장하기 위한 목적 위주로만 적용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현장에서 인지적, 정의적 역량의 균형있는 함양을 위한 CT-CPS 수업모형 기반의 수업을 개발하여 적용하였으며,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대한 몇 가지 검사를 통해 그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 초등정보과학영재의 사이버 프로젝트 학습을 위한 반응형 웹 기반 스마트러닝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전용주 ( Yong Ju Jeon ),홍창의 ( Chang Euy Hong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7 No.2

        현대인들은 커뮤니티를 조직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SNS를 활용한다. 또한 학교현장에서도 수업활동 및 생활지도에 이를 활용하고자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생기고 있으며, 한걸음 더 나아가 교사입장에서 이와 관련된 콘텐츠나 시스템을 직접 제작하여 현장에 적용하려는 시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진행된 본 연구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초등 정보과학영재의 사이버 프로젝트 학습에 필요한 시스템에 관한 요구를 분석하고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는 반응형 웹 기반의 확장형 스마트러닝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시스템은 현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 중이며, 앞으로 교수·학습 주체의 만족도와 사용 효과성 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반영,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관리 및 업데이트하여 더 넓은 현장으로 파급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CT-CPS 수업모형에서의 평가 루브릭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전용주 ( Yong-ju Jeon ),김테영 ( Tae-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2

        현재까지의 다양한 제도적 안내와 연구를 바탕으로 현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에서의 수업을 디자인 하여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수업을 적용한 후, 그 결과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안내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CT-CPS 수업모형에서 평가 루브릭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를통해 후속적인 평가 연구수행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컴퓨팅 사고 기반 오프라인 활동 콘텐츠 분석

        전용주 ( Yong Ju Jeon ),최현종 ( Hyun Jong Choe ),이태욱 ( Tae Wuk Lee ),김태영 ( Tae Young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컴퓨팅 사고 기반의 오프라인 활동 교수·학습 콘텐츠를 소개하기 위하여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운영 지침 및 2015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내용요소를 분석하고, Tim Bell의 CS Unplugged 및 Google for education의 CT Lesson Plans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의 실제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 교사들이 소프트웨어 교육의 취지와 목표를 달성 할 수 있는 좋은 수업을 디자인 하도록 도움을 주고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