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세대 소비에트 고려인 회화에 나타난 고향 이미지 고찰

        전선하(Jeon, Sophy-Seon Ha)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1 디아스포라 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1세대 고려인 회화에 나타난 고향 이미지에 관한 고찰이다. 페레스트로이카 시기 민족문화 부흥의 물결이 일면서 고려인은 마음속에 내재했던 고향 이미지를 다양하게 표출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 무렵 강제이주를 테마로 삼은 신 니콜라이는 고려인의 트라우마를 인류 보편적인 주제로 전환했다. 특별히 김형윤과 김 미하일은 자신이 태어났던 장소인 원동(遠東)에 대한 그리움을 ‘바다, 벼농사’와 같은 모티브를 통해 드러냈다. 한편, 박 니콜라이는 노동이 가져온 소비에트 사회의 결실보다, 일에 매몰되어 일그러진 삶에 주목하였다. 반면 안 블라디미르는 독립운동가와 사회주의 노동 영웅을 위시한, 다양한 분야의 고려인 선도자의 초상을 그림으로써 고려인 사회에 대한 송가를 표현했다. 이처럼 1세대 고려인의 고향 이미지는 그들에게 내재된 원초적인 상념에 대한 이해를 도왔을 뿐만 아니라, 소비에트 해체 이후 종족적 자아의식이 약해진 후손에게 민족성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으므로 본 논문의 의의는 거기에 있다. 또한 고려인의 다층적 의식을 살피는 것은 다문화 사회의 한국이 나아갈 거버넌스 모델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siders the image of homeland in the first-generation Koryoin paintings. During the Perestroika period, the revival of national culture allowed the Koryoin to express the image of their homeland differently. Around this time, the Shin Nikolai, whose theme was forced deportation, turned the trauma of Koryoin into a universal theme for humanity. In particular, Kim Hyung Yoon and Kim Mikhail expressed their longing for the Far East, where they were born, through motifs such as “sea and rice farming.” Meanwhile, Pak Nikolai focused on the distorted life of work rather than the fruits of Soviet society brought by labor. On the other hand, Ahn Vladimir expressed admiration for leaders of Koryoin in various fields, including independence fighters and socialist labor heroes. As such, the first generation’s homeland image helped descendants understand the original thoughts inherent in 1st Koryoin and became an opportunity to instill ethnicity into descendants whose ethnic self-consciousness had weakened after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In addition, examining the multi-layered consciousness of Koryoin will be meaningful as a governance model for Korea in a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고려극장 미술가들의 전기(傳記)와 변천양상 연구

        전선하 ( Jeon Sophy-seon Ha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0 No.-

        고려극장은 재소한인신문과 함께 소비에트 시기 한인 공연예술의 허브(hub)로서 고려인 사회의 문화적 지주 역할을 도맡아 왔다. 하지만 강제이주와 카자흐 내 잦은 이주로 극장 내 주요 문서가 소실되면서 고려극장의 미술가에 관한 연구는 시도될 수 없었다. 이에, 연구자는 부족한 자료로나마 고려극장의 연대기(소비에트/페레스트로이카)를 따라 무대미술가의 약력과 개괄적인 활동을 고찰 후, 그 변천양상을 통해 그들이 고려극장에 끼친 의의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자료의 절대적 부족과 소비에트의 사상성이 낳은 일률적인 미술 결과물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연극 무대의 일부 사진과 고려인 신문, 현존하는 미술가들과의 구술 인터뷰 등을 통하여 고려극장 미술가들의 전기(傳記)를 수집하고 그 양상을 분석하는 것에 의미가 있다. 소비에트 시기 미술가들은 작품의 긍정적인 형상을 앞세워 착취자(자본주의/지배 계급)와 대립하고 사회주의적 위훈을 발휘하는 ‘사상성’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반면 1970년대 말 고려극장에서 일하게 된 고려인 미술가들은 한인의 요소와 오랜 시간 절연되었기에 민족의식이 상대적으로 약하였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소비에트 해체 이후 재정난으로 인해 고려인 미술가들이 극장을 떠나고, 1997년 러시아인이 주임 미술가로 일하면서 극장의 정체성에 큰 변화가 생겼다. 궁극적으로 역사적 변곡점을 따라 고려극장 미술가들의 전기를 조명하고 시기별 변천을 살펴본 것은 한국공연예술사의 온전한 정립을 도와 그 의미가 있다. Korean theater and Korean newspapers have served as cultural pillars of Koryoin society in the hub for Korean performing arts during the Soviet era. However, due to forced migration and frequent migration within Kazakhstan, essential documents of the theater were lost, making it impossible to attempt Korean theater artists’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artists’ biographies and overall theater activities under the Soviet times, where data is insufficient, and then tries to clarify theater artists’ transition process from 1932 to 2019. Despite the absolute lack of data and the foregone conclusion produced by Soviet ideology, theater artists’ biographies were collected through some theater stage photos, Korean newspaper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living artists. In the Soviet era, artists confronted the exploiters (capitalism/ruling class) and focused on ideology, which demonstrated socialism with a positive character. On the other hand, Koryoin’s young artists who entered Korean theater in the late 1970s had long been isolated from Korean elements and had relatively weak ethnic consciousness. After the Soviet Union’s collapse, Koryoin young artists left the Korean theater due to financial difficulties. In 1997, the Russian artist acted as a representative, bringing a significant change to Korean theater’s identity. Ultimately, it is meaningful for an entire history of Korean performing arts to establish Korean theater artists’ biography following the chronology.

      • KCI등재

        고려인 미술의 문화 혼종성 ―김 게오르기의 동양적 미의식을 중심으로―

        전선하 ( Jeon Sophy Seon-ha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3 民族文化硏究 Vol.98 No.-

        이 논문은 고려인 미술가 김 게오르기(1939-2007)의 작업을 통해 그가 고취하려 한 동양적 미의식에 관한 연구이다. 그간 고려인 화가가 모국적 이미지를 통해 동양에 대한 염원을 드러냈다면, 김 게오르기는 중국 문인의 창작 태도와 기법을 시도한 점에서 특별하다. 김 게오르기는 1939년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에서 태어나 3대가 모여 사는 대가족에서 자랐다. 그는 아버지이자 화가인 김 니콜라이의 영향으로 예술가의 길로 들어섰고, 아버지의 미술 기법에 대한 반발을 계기로 작업에서 동양을 갈망하게 되었다. 김 게오르기는 1973년 소비에트예술가연맹의 회원이 된 이래, 창작 출장을 다니며 수채화를 통해 사의(寫意)를 시도하였다. 이는 사실적인 묘사가 아닌 자연 대상에서 유발되는 기(氣)를 통해 도(道)를 형상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김 게오르기는 이를 동양적 미의식으로 여겼다. 1990년대 무렵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되고 중앙아시아의 국가들이 자민족 정체성 찾기에 몰두하면서, 고려인과 같은 소수민족이 자기 문화에 대한 애정을 펼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이에 김 게오르기는 소형의 조소 작업을 통해 재료의 본질과 구조에 집중하면서도 그 안에 생명력을 담아, 동양적 미의식을 심화하였다. 아울러 수채화에서는 색의 선택을 최소화하고, 작품의 외형적인 크기를 줄이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이처럼 작은 표현 안에 많은 것을 아우르려(以少總多) 한 그의 노력은 사공도(司空圖, 837-908)의 정신을 실현하기 위함이었다. 궁극적으로 김 게오르기의 예술은 사물의 형태보다 정신에 중점을 두고 사물의 그러한 상태를 표현한 점에서, 동양 미술과의 친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그가 동서고금의 다채로운 미술을 탐구하여 문화적 혼종성을 이루고 독자적인 동양의 미의식을 구축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oriental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Koryoin artist Kim Georgi (1939-2007) tried to get inspired in his work. Koryoin painters have revealed their desire for the Orient through images of their motherland. However, Kim Georgi is exceptional in that he has tried the creative attitudes and techniques of Chinese literati. Kim Georgi was born in 1939 in Samarkand, Uzbekistan, and grew up in a large family with three generations. He entered the artist's path under the influence of his father and painter Kim Nikolai, and reaction against father's art techniques led him to yearn for the Orient in his work. Since Kim Georgi became a member of the Soviet Artists Union in 1973, he has been on creative business trips and tried to express his heart through watercolors. This means the shaping of the Tao through energy revealed by natural objects rather than realistic depiction, and Kim Georgi regarded this as an Oriental Aesthetic consciousness. As the Soviet Union disintegrated in the 1990s and the countries of Central Asia were preoccupied with finding their own ethnic identity, an atmosphere has set in which ethnic minorities such as Koryoin could show their affection for their culture. Accordingly, Kim Georgi focused on the essence and structure of materials through small-scale sculptural works, while breathing life into them to deepen the oriental aesthetic sense. In addition, in watercolor, he attempted a method of minimizing color and reducing the external size of the work. His effort to embrace many meanings with short expressions was to realize the spirit of SaGongDo (司空圖, 837-908). Ultimately, Kim Georgi's art has an affinity with oriental art in that it expresses the state of things with an emphasis on the spirit rather than the shape of things. Moreover, his art is significant in that he explored the colorful arts to achieve cultural hybridity in the East and West, and establish an independent oriental aesthetic conscious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