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교통사고 유자녀의 생활자금 대출 상환에 관한 소고 : 헌법재판소 2024. 4. 25. 선고 2021헌마473 결정 중심으로
전병주,최은영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4 치안정책연구 Vol.38 No.3
This study analyzes a case in which children left by traffic accident victims claimed that their basic rights were violated regarding the repayment of living expenses loans. The Constitutional Court dismissed the claim made by the children left by traffic accident victims. Consequently, two key issues were identified through an analysis and discus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It was determined that the provision in question violated the right to a humane livelihood by departing from the legislative boundaries, as it was against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ren. It was also determined that, unlike other victims of traffic accidents, supporting children left by traffic accident victims through loans requiring repayment constituted unjustified discrimination, thereby violating the right to equality. Thu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foundational data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left by traffic accident victims can grow up healthily and stably, and to realize a humane life by analyzing the first case concerning the obligation to repay living expenses loans.
일개 재건축사업에 의해 이주한 노인의 외상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주환경 포용성의 완충효과
전병주,정용림,신경희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5 한국과 국제사회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재건축사업에 의하여 이주한 노인을 대상으로 재건축사업 추진과정에서 발생한 외상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요인 간의 관계에서 정주환경 포용성의 완충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재건축구역에 거주했던 186명에게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 27.0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외상 수준은 높았으며, 정신건강과 정주환경 포용성은 양호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정신건강에는 외상, 재건축 구역의 거주기간, 사회적 포용성, 재건축사업 정책의 신뢰 정도가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상과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사회적 포용성과 공간적 포용성은 각각 완충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재건축사업에 의하여 이주한 노인이 외상에서 벗어나 양호한 정신건강을 회복하여 의욕하는 삶을 향유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나아가, 재건축사업과 관련한 법·제도의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여 이주한 노인의 건강권 및 주거권을 보장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trauma experienced by elderly relocated due to reconstruction projects on their mental health and to identify the buffering effect of settlement inclus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186 elderly who had previously resided in the reconstruction area.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rauma level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high, while mental health and settlement inclusivity were found to be poor. Second, trauma, residence length, and social inclusivit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mental health. Third, social and spatial inclusivity were shown to have buffer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uma and mental health.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helping elderly individuals relocated due to reconstruction projects recover from trauma and regain positive mental health, ultimately enabling them to enjoy a fulfilling life in their later years.
과거 양육비 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소고 : 대법원 2018스724 (2024.7.18.자) 결정 중심으로
전병주,윤경미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5
본 사건의 청구인은 배우자와 이혼한 후 자녀를 혼자 양육하며 지출한 과거의 양육비를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하였다. 대법원은 종전 판례를 변경하여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의 성질상 그 권리의 소멸시효는 자녀가 성년이 되어 양육의무가 종료된 때부터 진행한다고 결정하였다. 그러나 과거 양육비 청구권의 법적 성질 등은 자녀가 성년이 되었다는 사정만으로 달라진다고 할 수 없다. 과거 양육비의 지급을 구할 권리는 가정법원 심판 등에 의해 구체적인 청구권으로 성립하기 전에는 친족관계에 기하여 인정되는 추상적 청구권의 성질을 지니어 소멸시효가 진행할 여지가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렇게 본 연구는 배우자와 이혼한 청구인이 과거 지출한 양육비를 청구한 사건에서 종전 판례를 변경한 대법원의 결정을 처음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과거 양육비에 관한 권리가 자녀가 성년이 되어 양육의무가 종료된 때 소멸시효가 진행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아동을 위한 최선의 이익에 부합하고, 인간다운 생활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 The claimant in this case raised their child alone after divorcing their spouse and filed a lawsuit against their former spouse to claim past child support. In response, the Supreme Court changed its previous ruling.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for the right to claim past child support starts from the time the Parental Obligation for the child ends. However,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claim child support does not change simply because the child has reached adulthood. The right to demand past child support expenses has the nature of an abstract claim recognized by family relations, and therefore the extinctive prescription does not apply. In this study,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the case of claiming past child support was analyzed. Based on thi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fundamental data necessary to clarify whether the right to past child support is subject to the extinctive prescription, thereby aligning with the best interests of the child and realizing a humane life.
여성 노인의 거주형태에 따른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대한 단기종단연구
전병주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together in group-home and congregate housing. And in this course, it was to verify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recent government and local authority community life of elderly people by comparing them with the groups of elders living alon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ime 1 and Time 2, and 205 person's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was utilized to analysis the data of this study,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condary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used to identify additional contextual inform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of the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case of living in group-home and congregate housing, and it was significantly worse in the group of elders living alone. Second, the life satisfaction of survey subjects was significantly improved when living in congregate housing, group-home was significantly worse, and the group of elders living alon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slightly worse. Third, mixed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make accurate interpretation of changes of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group-hom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establish appropriate measures for the elderly to improve early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in community life. And the community life of the elderly can contribute to a real social safety net by solving the blind spot of welfare. At the national level, it can be utilized as a standard reference to improve and strengthen existing policies by providing data that can simultaneously examine the performances and problems of various policies related to housing or the welfare of the elderly. 본 연구에서는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공동생활 하는 노인들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독거노인 집단과 비교함으로써 최근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노인들의 공동생활 사업에 대한 실질적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전남․북, 충남․북 지역에서 생활하는 여성 노인 205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고, 그룹-홈, 공동거주제, 독거노인 등 3개의 거주형태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는 Time 1과 Time 2로 나누어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서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기 어려운 점이 나타나 2차로 질적 연구를 진행하여 추가적인 맥락 정보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우울은 그룹-홈과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지만,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의 삶의 만족도는 공동거주제에서 생활하는 경우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지만, 그룹-홈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고, 독거노인 집단에서는 다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집단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대해 정확한 해석을 도모하기 위하여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고, 개인생활에 익숙한 노인들이 다른 노인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독립적인 공간 부족과 사생활 침해에 따른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들의 공동생활이 복지 사각지대를 해소함으로써 실질적인 사회안전망 역할에 기여할 수 있는 보완책을 제시했으며, 노인들이 공동생활에서의 조기 적응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전병주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東亞法學 Vol.- No.105
The Civil Partnership Act proposed by Assemblywoman Jang Hye-young and 14 others on May 31, 2021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Jang Hye-young Bill") aims to establish a life partnership between two adults as an alternative to the traditional marital relationship, and to regulate the rights and obligations within that relationship. This aims to create a living community that respects individual lives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marriage. France's life partnership system, the Pacte civil de solidarité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CS"), adopts the separation of property regime as a principle, except for daily debts, but allows couples to choose the community of property regime for specific assets such as houses, furniture, and cars through mutual agreement. It also clearly defines inherited or gifted property as separate property, thereby sup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the statutory property regime and expecting to reduce disputes during liquidation. On the other hand, the Jang Hye-young Bill stipulates only the separation of property regime as the statutory property regime, and presumes that property acquired during the life partnership is separate property if the title is specified, and otherwise, it is presumed to be community property. The property system and liquidation of PACS, as mentioned above, suggest that the Jang Hye-young Bill can be further developed by introducing the option of community of property regime, detailed legislation on separate property, and inducing a reduction in property division disputes.
사업용 차량 고령 운전자의 안전의식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차종별 비교를 중심으로
전병주,김건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15 치안정책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사업용 차량 고령 운전자들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남․북 지역에서 택시, 시내버스, 시외버스, 화물차를 운전하는 노인 389명을 조사대상자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을 위하여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택시, 시내버스, 시외버스, 화물차 운전자들의 각 집단별 안전의식 수준은 6.36 (SD=1.62), 6.82(SD=1.41), 6.95(SD=1.43), 6.92(SD=1.44)로 나타나 시외버스 운전자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택시 운전자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4개 운전자 집단의 안전의식은 집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F=3.118, p<.01). 둘째, 4개 집단에서 안전의식에 공통적으로 영향을미치는 요인은 건강상태, 범칙금 납부 경험 유무, 안전지향동기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영향 요인과 영향력은 집단별로 크게 다르게 나타났다. 집단별로 다른 요인을 살펴보면, 택시 경우에는 경제상태, 운행지역, 일일 운전시간, 감각추구성향이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일일 운전시간, 운행지역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내버스 경우에는 운행지역, 보행자 등의 안전의식이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운행지역, 안전지향동기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외버스 경우에는 결혼상태가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건강상태, 범칙금 납부 경험 유무가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물차 운전자 집단은 결혼상태, 경제상태, 일일 운전시간이 추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건강상태, 일일 운전시간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사업용 차량 운전자들의 안전의식 향상을 위해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고, 집단별 특성에 맞추어 실질적인 방안을 추가적으로 제시하였다. 나아가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노인 운전자들을 위한 올바른 교통정책을 수립하고, 교통문화의 선진화를 이루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the factors affecting safety consciousness of elderly driving commercial vehicles were investigated. A sample of 389 elderly who drive taxi, intra-city bus, intercity bus, and trucks in Chungnam and Chungbuk provinces was surveyed. For the data analysis, PASW Statistics 18.0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safety consciousness for each group of drivers of taxis, intra-city buses, intercity buses, and trucks were 6.36(SD=1.62), 6.82(SD=1.41), 6.95(SD=1.43), 6.92(SD=1.44) respectively. The level of drivers of intercity buses was the highest, and that of taxi drivers was the low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of drivers(F=3.118, p<.01). Second,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four groups were physical condition, whether their experience of paying penalty or not, and safety motive. Other influencing factors appear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oups. In case of elderly drivers of taxis, economic status, service area, daily driving hours and sensation- seeking disposition were additional important factors. For the intra-city bus driving group, service area and safety consciousness of pedestrians additionally affected their safety consciousness. For the intercity bus drivers, marital status affected additionally affected their safety consciousness. For the truck driver group, marital status, economic status and daily driving hours additionally affected their safety consciousness.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the measures improving the safety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who drive commercial vehicles focusing on the common factors affecting their safety consciousness. Additional practical suggestions were also proposed depending on the driving group characteristics. We also aimed to provide the baseline data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traffic policy for the elderly drivers of Korean society, of which aging process is fast, and on the improvement of the traffic culture.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전병주 한국노년학회 2013 한국노년학 Vol.33 No.2
This study looked into 242 old people over 65 years who continued to participate in ‘Personalized Exercise Prescription Service for Elderly’ conducted as part of ‘Community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4 cities including S city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articipation by comparing their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the service. In order to measure quality of life, it used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QOL-BREF. The data assessment was made by SPSS 18.0 Version.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turned out as follows.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rticipants turned out significantly improved as whole(p<.001). Looking into the sub-variables, we saw that 'social relationship' increased by 0.52, which showed greatest improvement among all the sub-factors. 'Physical health' and 'environment' were also see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by 0.46 and 0.09, respectively. Only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domain was increased slightly, it didn’t turn o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in the servic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made some suggestions to help the original objective of this research to be achieved. 본 연구에서는 S시 등의 4개 지역에서 2012년도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65세 이상의 노인 24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이 서비스를 실시하기 전․후의 삶의 질을 비교함으로써 서비스의 참여효과를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민성길 외(2000)가 개발한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를 사용하였고, 자료분석은 PASW Statistics 18.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가 ‘노인 맞춤형 운동처방 서비스’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후의 삶의 질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t=-20.599, p<.001). 삶의 질에 대한 각 하위요인 중에서 ‘사회적 관계’영역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으며, ‘신체적 건강’영역과 ‘환경’영역도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신․심리적 건강’영역은 다소 상승하였으나, 서비스 참여 전․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서비스가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년층을 위한 사회서비스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지자체의 자율성을 강화하여 지역의 실정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내지는 영양 및 운동 등 복합적인 관리프로그램을 함께 지원하는 등의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친환경 택지개발에서 정책집행 요인이 정책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병주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6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 of policy acceptance and influencing factors regarding environmental-friendly land development among the elderly in areas where land development is planned. In this process, the elderl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ose engaged in farming activities and those residing in the area,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elderly individuals engaged in farming activities had a higher acceptance of development policies than those residing in the area.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y acceptance and their impact differed between the elderly engaged in farming activities and those residing in the area.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areas where land development is planned.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providing basic data to enhance policy acceptance by identifying policy implementation factors necessary for the realiza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land development policies as originally intended.
학교폭력 피해 초등학생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성폭력을 중심으로
전병주,김건호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2024 치안정책연구 Vol.38 No.4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의 피해 유형 중 성폭력 피해를 입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Tedeschi & Calhoun 모델을 적용하여 외상 후 성장의 변화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른 학생의 학교폭력을 목격했는지 여부에 따라 집단을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와 심층인터뷰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통합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폭력 피해를 경험한 초등학생의 삶에 대하여 처음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분석함으로써 외상 후 성장의 추이를 엄밀하게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른 학생의 학교폭력 목격 여부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여 학교폭력의 목격 여부에 따른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집단별로 차별화된 접근을 통하여 청소년기의 삶을 긍정적으로 재건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