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화학물질관리법 조사·보고자료를 활용한 화학물질취급 안전보건관리에 대한 효율적인 체계 마련

        전다영(DaYoung Jeon),황만식(ManSik Hwang),임지영(JiYoung Im),류지성(JiSung Ryu),김영호(YoungHo Kim),이지호(JiHo Lee) 한국환경보건학회 2020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6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anagement system for the safe handling of chemicals and related health management based on reporting under the Chemical Control Act (CCA). It is used to search handling information by constructing data linked to the name of companies, chemicals, products, etc. Methods: Due to the differences in submission periods for each reporting regulation of the Chemical Control Act, the data used is as follows: A statistical survey collected 26,222 companies in 2014 and 2016, Pollutant Release Transfer Registers (PRTR) collected 4,234 companies in 2015-2017, performance reports by handlers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collected 14,658 companies in 2016-2018, and declarations for import of toxic chemicals collected 892 companies in 2016-2017. The total information on 36,080 companies is standardized based on company ID, nam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address, and more. The data were classified into information such as company, chemical, and product name and amounts handled and released, and then extracted according to criteria to establish relationships among classified information. Results: A search service was developed for handling information on chemical substances for reporting data by linking four reporting data: statistical survey, PRTR, performance report by handler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s, and declaration for import of toxic chemicals under the CCA. It was composed of five menus to search by regulation type, reporting regulation, companies and chemicals, and system managemen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use data linked by company, region, and chemical to respond and to prevent chemical accidents. In addition, these items can be utilized to perform handling and safety management of chemicals according to whether regulations under the CCA may be implemented.

      • KCI등재

        음성 에이전트 제품의 인터랙션 디자인 아이디어 가시화 툴 제안

        전다영(Jeon, Dayoung),최정민(Choi, Jungmi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2

        연구배경 최근 인공지능의 발전과 함께 음성처리 기술 시장이 성장하면서, 스마트 스피커를 비롯한 자동차,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제품 분야에서 음성 에이전트가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음성 플랫폼 기업과 관련 학계에서는 음성 에이전트 제품의 사용자 경험을 설계하는 데 활용 가능한 가이드들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음성 명령에 익숙해진 사용자들이 에이전트에게 사람과 같은 인터랙션 경험을 기대하게 되면서 디자이너는 명령 수행을 위한 대화 설계를 넘어서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통합적으로 고려된 인터랙션을 설계하는 역량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이너가 음성 에이전트 제품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수행할 때 효과적으로 아이데이션을 도와줄 수 있는 아이디어 가시화 툴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선행연구 고찰과 사용자 인터뷰를 통해 음성 에이전트 제품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기대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음성 에이전트와 사용자 간 인터랙션 설계를 위해 제시된 기존 방법들의 제한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음성 에이전트 제품의 인터랙션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가시화 프레임워크 및 이를 적용한 툴을 제안한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사용자 조사 및 문헌 조사를 통해 음성 에이전트 제품의 멀티 모달리티를 고려한 통합적 인터랙션 설계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서 아이데이션 단계에서 음성 에이전트 제품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가시화 프레임워크와 이를 디자인 과정에 반영하기 위한 툴을 제안하였다. 또한 툴 적용 사례를 함께 제시하여 연구결과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인터랙션 디자인 아이디어 가시화 툴은 음성 에이전트 제품의 발전 흐름에 맞추어 멀티 모달리티 요소들 간의 일체감 있는 인터랙션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방법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성 에이전트 제품의 인터랙션을 설계하는 디자인 교육 및 실무 프로젝트에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growth of the voice processing technology market, voice agents are being us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smart speakers, automobiles, and home appliances. In line with this trend, voice platform companies and related academia have been proposing guidelines that can be used to design the user experience of voice agent products. In addition, as users become familiar with voice commands and expect human-like interaction from voice agents, designers are required to design interactions with integrated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eyond dialogue design for command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ools to help designers effectively visualize ideas when designing interactions of voice agent products. Methods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user interviews, we investigated users’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the interaction with voice agent products. Based on the results, we also identified limitations of existing methods for designing interactions between users and voice agents. We then proposed a framework and tools for describing and developing interaction ideas of voice agent products. Result Based on the user research and prior research reviews, this research emphasizes an integrated approach to designing multi-modal interactions for voice agent products. This paper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and applicable tools that enable designers to effectively visualize interaction design ideas of voice agent products. integrating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Examples are also present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bility of the tools in design practice. Conclusion The interaction idea visualization too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able to lay the foundation for methods to represent integrated interaction ideas among multi-modal elements along with advance of voice agent products.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tools can be used to develop ideas of voice agent products in design education and practice.

      • 암모니아 누출에 따른 주변 농작물의 환경피해

        남근우 ( Gnu Nam ),이연희 ( Yeonhee Lee ),김인자 ( Inja Kim ),전다영 ( Dayoung Jeon ),염혜성 ( Hyeseong Yeom ),신창현 ( Changhyun Shin ),김재영 ( Jae-young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본 연구는 실제 암모니아 누출에 따른 화학사고 영향범위를 평가하기 위해 OCA (Off-site consequence analysis) 분석에 따른 사고시나리오 별 영향범위를 평가하고, 사고 반경 내 농작물의 암모니아 오염도를 측정함으로써 암모니아 누출에 화학사고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피해영향범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KORA (Korea off-site risk assessment supporting tool)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사고영향범위를 분석한 결과, 최악의 사고시나리오는 사고지점으로부터 1.6 km, 대안의 사고시나리오는 666 m의 피해예측 범위로 산정되었고, ALOHA (Areal location of hazardous atmospheres) 소프트웨어 구동 결과는 약 2.4 km를 나타내었다. 한편, 사고지역 당일 풍향(남동풍)에 따라 가시적 농작물 피해범위는 67 m 내외로 확인되었고, 가시적 피해범위 내 고구마 잎의 암모늄 농도는 69.6~218.0 mg/kg 범위로 가시적 피해가 확인되지 않은 지점의 고구마 잎(12.9~23.5 mg/kg)보다 최대 16.9배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반면 OCA 결과를 반영하여 최악의 사고시나리오 내 자생하는 쑥과 대안의 사고시나리오 내 자생하는 쑥을 채취하여 암모늄 함량을 조사한 결과, 62.2~77.8 mg/kg, 49.0~67.8 mg/kg 범위로 가시적 피해지점보다 낮은 경향이었으나, 대체적으로 암모늄 잔류 여부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시적 피해를 입은 지점과 인근 주변 환경의 초기 오염도 확인 판단에 도움이 될 지표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실제 화학사고 사례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기초자료를 축적하고, 나아가 실제 사고 피해 영향범위를 판단하는 기준을 마련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