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 헤르만 바빙크의 영혼불멸론에 대한 앤써니 후크마의 평가 재고

        전광수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2 역사신학 논총 Vol.40 No.-

        후크마(Anthony A. Hoekema)가 평가하는 영혼불멸론에 관한 개혁신학자들의 견해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칼빈을 비롯한 개혁주의 전통의 신학자들과 바빙크 및 벌카우어와 같은 신학자들 사이에 “명백히 상충되는 견해들”이 있다고 강조하는 점이 그러하다. 후크마에 의하면, 칼빈이나 벌코프와 같은 개혁신학자들이 영혼불멸론을 성경이 말하는 바와 일치한다고 보는 반면, 바빙크는 훨씬 더 신중한 접근을 취하여 둘 사이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본다는 것이다. 또한, 후크마는 바빙크가 영혼 불멸 교리를 성경적 근거보다는 철학적 사유에 기초한 혼합조항(articulus mixtus)으로 제시한다고 주장하여 바빙크가 영혼 불멸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진 것처럼 묘사한다. 본고는 이러한 후크마의 주장에 대해 인용된 바빙크의 글의 문맥들과, 영혼불멸론에 관한 일반계시와 특별계시의 증거들, 그리고 혼합조항에 관한 바빙크의 논의를 검토함으로써 후크마의 주장의 타당성을 재고하려는 시도이다. 먼저, 바빙크가 영혼불멸론에 대한 성경적 근거가 부족한 것을 언급하는 것은 사실이나, 동시에 그는 여러 곳에서 영혼의 불멸을 인정할 수 있는 성경적 근거가 충분하다고 밝힌다. 더불어, 자연계시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영혼불멸론 역시 역사적, 이성적, 철학적 증거들이 그 자체로 무의미한 것이 아니라 영혼의 불멸성에 대한 근거(ground)는 아니더라도 증거(witness)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혼합조항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바빙크는 여러 곳에서 이 조항 자체가 특별계시와 일반계시 혹은 각 계시에 근거한 신학과 철학 모두의 지지를 받는 것이지, 성경적 근거 없이 철학적으로만 주장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이 점은 후크마의 주장과 달리 영혼불멸론에 대한 바빙크의 견해가 칼빈이나 벌코프를 비롯한 여러 개혁신학자들의 견해와 다르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며, 이들 모두 철학과 이성을 이용한 자연계시에서 얻는 지식으로서의 영혼불멸론이 성경이 말하는 것과 상충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했음을 보여준다. 결국, 개혁신학자들 사이의 “명백한 불일치”를 언급하는 후크마의 주장은 수정되어야한다. Anthony A. Hoekema’s reading of the Reformed doctrine of the immortality of the soul is problematic. He claims that there are “apparently conflicting reactions from Reformed theologians” on this issue. According to his argument, prominent Reformed thinkers such as John Calvin, A. A. Hodge, Louis Berkhof, and William G. T. Shedd accepted a philosophical approach to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s consistent with the biblical understanding. In Hoekema’s summary, however, Herman Bavinck claims that the doctrine of the soul’s immortality is not compatible with the biblical view because the scripture barely mentions it and its main interest is not about the immortality of the soul but the resurrection of the human body. Moreover, for Hoekema, Bavinck suggests this doctrine as a mixed article of faith (articulus mixtus), “the truth of which is demonstrated more by reason than by revelation.” Based on these reasons, Hoekema concludes that Bavinck does not take the doctrine as a biblically trustworthy doctrine. However, this argumentation needs reconsideration seriously in some points. First of all, Bavinck never rejects this doctrine in his biblical discussions. Although he admits that the scripture does not say much about this doctrine, he clarifies that we can find biblical sources enough to recognize this doctrine as biblical. Secondly, Bavinck also accepts this doctrine based on the validity of philosophical reasoning derived from natural revelation. For Bavinck, historical, reasonable, and philosophical reasons can be “witnesses or indications” rather than proof to support this doctrine. Finally, this is evident in his usage of the term articulus mixtus. Unlike Hoekema’s negative comment on the term and his intention to antithetical aspects between biblical reasoning and philosophical reasoning, Bavinck himself uses the term in his Reformed Dogmatics positively without disregarding the superiority of the scriptures over philosophical reasons.

      • KCI등재

        茶山 心性論에 관한 硏究

        전광수 대동철학회 2008 大同哲學 Vol.44 No.-

        이 논문은 茶山이 天命을 형태가 없는 體와 妙用의 神이 함께 들어가 그것이 感動을 주는 것이라고 본 점에서 妙用의 道心이 사람을 유도하고 가르침에 따라 天命을 받드는 것이고, 警戒하고 삼가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결국 茶山의 心性論은 原始儒學의 궁극 지향점이었던 上帝로부터 부여받은 天命인 性의 마음을 愼獨을 통한 내면의 道心으로 깨달은 후 誠을 통해 儒家思想 本然의 道德的 價値實現의 社會的 具現을 위한 論이었음을 살펴보는 것이다. 儒學에서의 天이란 곧 출발점과 궁극적 지향점이다. 과거에는 天을 말하면 上帝라는 人格神을 의미하였다. 宋代 朱子 이후 人格天이 義理天으로 되었다고 하지만, 이것은 그 당시 유행하던 老佛의 치밀한 形而上學的 이론에 대응하여 儒學의 形而上學的 논리를 完備·强調하기 위한 것이었을 뿐이다. 곧 天의 義理的이고 理致的인 측면을 들추어 강조한 것일 뿐 天의 인격적인 측면을 완전히 부정했던 것은 아니다. 茶山의 心性論의 출발은 性과 情의 올바른 정의를 이해하는데서 시작되었다. 인간의 心을 제대로 설명할 수 있어야 誠을 이루기 위한 근거를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知天이 가능하고, 天命의 이해 또한 가능하다. 사람의 마음은 항상 활발발한 움직임 속에서 끊임없이 사려하고 理를 지각하고 神明과 매개하여 지각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性이라는 것은 ‘氣와 理의 합쳐짐’으로 마음은 氣로서 생동감 있게 살아있으며 그 속에 天理가 들어간 것이다. 그것을 받는 입장에서 性이라 한 것이다. 즉 心속에 天理가 들어와 性이 되었기 때문에 心學의 근본은 결국 天道의 이치를 깨달아 마음속에 내재된 本然의 性을 깨우치는 것이다. 性理學의 출발은 天의 이치를 깨닫는 것이라 할 수 있다. 天道를 제대로 알아야 人道를 이해할 수 있으며 이러한 天道의 이치를 잘 깨달아 인간이 마땅히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한 과제였다. 즉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학문이기에 결국은 修養과 心學의 문제가 요건이 되었다. 儒家 心學의 根源은 ‘上帝’인 ‘天’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이며, 내 마음속에서 요동치는 天命을 잘 듣고 부합되게 행하는 것이야말로 修養의 궁극목표이자 儒家가 꿈꾸는 참다운 聖人의 모습임을 발견할 수 있다.

      • KCI등재

        뤼시엥 그방의 사관학교 퇴교사유에 관한 연구

        전광수 陸軍士官學校 1993 한국군사학논집 Vol.44 No.-

        Cette etude a pour but d'eclaircir pourquoi Lucien Leuwen est chasse, des le debut de son roman, de l'Ecole polythechnique et qu'il quitte, enfin, l'uniforme militaire qu'il adorait des son enfance. Nous essayons d'abord de mettre en lumiere l'impossibilite latente, pour Lucien, de l'armee moderne-l'artillerie-a cause du "complexe de cavalerie" de l'auteur lui-meme, de l'antipathie irrevocable des conservateurs contre les "republicains" comme Lucien: ensuite, de decouvrir des raisons essentielles ou accessoires qui menent Lucien a son abandon definitif de la carriere militaire. Enfin, nous montrons, comme la raison la plus fatale, qu'il mamque a Lucien comme aux autres personnages principaux stendhaliens, l'obeissance passive ou l'abnegation de soi-meme, un des elements majeurs qui constitueraient les vertus d'un militaire veritable. Ce manque d'obeissance qui provient, nous semble-t-il, du beylisme fonde a la fois sur le culte de moi et sur l'heroisme, nous pernet d'emblee de comprendre un Lucien Leuwen chasse d'une communaute militaire ou il faut absolument une obeissance passive pour garder son regime.

      • KCI등재후보

        17세기 말 뉴잉글랜드의 신학과 자유의지론: 새뮤얼 윌러드와 죠지 키이쓰의 하나님의 작정과 인간의 자유에 관한 논쟁 (1688-1704)

        전광수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2 No.-

        17세기 말 뉴잉글랜드의 청교도 신학자인 새뮤얼 윌러드(Samel Willard)와 그의 논적이었던 죠지 키이쓰(George Keith) 사이의 논쟁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관한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의 입장과 그에 대한 반론들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 흔히 하나님의 작정과 인간의 자유 문제에 대한 개혁신학의 관점을 강한 결정론으로 오해하는 것과 달리, 윌러드는 하나님의 절대적 작정이 인간의 자유와 모순되지 않고 양립이 가능하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반면에, 키이쓰는 개혁주의의 관점이 필연성과 우연성과 같은 논의들에 있어서 인간의 모든 행동을 결정짓는 하나님의 절대적인 작정을 주장하여 하나님을 죄의 조성자로 만들기 때문에 받아들일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에 대해, 윌러드는 전통적인 스콜라 신학의 구분법들과 그 유용성을 강조하면서, 하나님의 작정에 대한 키이쓰의 견해는 오히려 하나님의 주권과 절대적인 속성들을 거부함으로써 전능한 하나님을 시간 속의 상대적이고 제한적인 존재로 제한하는 것임을 지적한다. 모든 피조물이 그 선택과 행위에 있어서 창조주에게절대적으로 의존적인 존재라는 사실과, 하나님의 창조가 인간에 대해서는 주어진 본성에 따른 자유로운 선택의 행위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키이쓰의 주장은 제1원인으로서의 하나님이 갖는 모든 2차적 존재들에 대한 절대적 통치와 섭리를 제한하는 오류를 범한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키이쓰가 인간의 악한 행동에 대한 하나님의 작정과 결정이 도덕적인 문제를 가져온다고 항변하지만, 윌러드는 키이쓰와 같이 하나님에 대해 도덕적인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인간의 법으로 창조주를 판단하는 오류이며 제1원인을 피조물의 인과법칙에 기초하여 이해하려는 잘못된 시도라고 논박한다.

      • KCI등재후보

        50:50LINEBRENDS색화장토 발색 실험에 관한 연구

        전광수 한국도자학회 2012 한국도자학연구 Vol.9 No.2

        Thisisanexperimentaboutcomparingthreedifferenttypesofglazes:thetransparentfritglaze,unglaze and matfritglaze on 78 differentcolors.The twelve stains used to paintthe test pieces were white,yellow,orange,red,pink,lightbrown,maroon,green,peacock green,turquoiseblue,cobaltblue,black.Thestainswerethemixedwithengobe.Eachstainweighted 20%ofthemassofengobeitwasbeingaddedto.Everycombinationofstains,tomakethe 78uniquecolors,wasblendedataratioof50/50.Eachofthecolorswaspaintedonindividual testpiecesand wasdried.Afterwardsthe testpieceswere dipped in the differentglazeson two differentendsleaving1/3thetransparentfritglaze,1/3thematfritglaze,andtherestof theareaunglazedforacontrolledresult.Theglazedtestpieceswerethenfiredinanelectric kilnatatemperatureof1,050℃. The transparentfritglaze showed vivid hue with low value and high chroma.The unglazed area had a pasteltone with high value and chroma.And the matfritglaze gave offa moderatelevelinallhue,valueandchroma. Lookingatanoverallaspect,the1(White)-7(Maroon)testpiecesshowedaneutraltone:stable and smooth.The 8(Green)-12(Black)testpieces had greatchromophore butlow value and chroma. Thecoolcolorshadlowervoluesthan thewarm colors.Also,thecoolcolorshada darkermoreturbidtoneandhadastrongerchromophore. The 50/50Line Blendshave a simple mixing method.Despite the metaloxidesand stainsof basicglazesandengobes,the50/50LineBlendscaneffectivelyachieveahighlevelof chromophore through the use of glazes, paints, colored engobes.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of stains mixed into the engobe,the chromophores and colors can result variousl.

      • KCI등재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의 역할과 보천교의 독립운동

        전광수 한국종교교육학회 2019 宗敎敎育學硏究 Vol.60 No.-

        2019년은 3․1독립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일제강점기 민족종교를 탄압하려는 조선총독부의 정책은 1915년 포교규칙을 만들어 신도, 불교, 기독교만을 종교로 인정하고 동학의 정신을 이어받은 천도교, 보천교는 물론 김좌진 장군의 북로군정서를 중심으로 한 대종교 등을 유사종교로 만들었다. 일제강점기 민족종교의 역할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망국과 도탄에 빠진 민중들에게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과 민족의 단합을 이끌고 항일운동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었다. 동학을 중심으로 교세를 펼쳐나간 민족종교 단체의 항일활동은 지금까지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체 오늘에 이르렀다. 당시 후천개벽사상은 억압과 수탈로 신음하는 조선인들에게 치유이자 희망이었다. 동학을 창도한 수운의 동학사상은 증산에 의해 그 정신이 지속되어 민족종교운동은 급속히 전파되었다. 차경석은 수운과 증산의 가르침을 정치적으로 확대하여 암울하고 도탄에 빠진 식민지시대 백성들에게 후천개벽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전해주면서 독립군 군자금 모집과 항일독립운동을 결행한 주요 민족종교 가운데 하나였던 보천교를 창시한 핵심인물이었다.

      • 초등미술에 있어서 탈을 통한 전통색 지도연구

        전광수 한국색채교육학회 2001 한국색채조형학회지 Vol.10 No.-

        The 6th and 7th educational revision of school curriculum have been emphasis on the instru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art. The purpose of art education is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Korean culture and going a step forward to require to select and direct the subjects which improve interests and understandings of the traditional art in the whole field by cultivating good habits which understand and love the values of the work of art and the art culture.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selected teaching the traditional color for Korean masks. I have intended to help students to learn the formative beauty and traditional color of the Korean masks by making use of the data in school. First, I have generally summarized the concept of masks, the traditional color and the color of Korean masks. Second, I analysed the traditional color to the masks of Sandae mask play, the masks of Okwangdae mask play and the masks of rite for a tutelary deity and the folk mask play. I measured 206 pieces of the masks. It was completed that a system of white color was 89 pieces, orange color was 44 pieces, red color was 35 pieces, black color was 19 pieces, green color was 8 pieces, yellow color was 6 pieces and purple color was 4 pieces. Third, in dealing with a group of children, I have directed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color, symbolism and creative expression by applying teaching guides using Korean masks. The results of the applying teaching guider are the following, Children understanded feeling of the color, beauty of the traditional color and a color view of Korean. Level in the work of art was high as well. Children that studied with developed teaching programs could have lots of curiosity, cause motives and get better effects of learning. From now an I expected to make the systematic learning of traditional color, establish the color system and to develop and spread the various traditional color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