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稅務調査에 관한 硏究

        田廣秀 서강정보대학 1992 論文集 Vol.11 No.-

        This paper is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general principles of tax investigation. The present nation needs the wide scope admistrative affairs. As occasion demands, a government office is indispensable to obtain intelligence. The means to acquire intelligence cannot help but depend on compulsion. Since it is so, the problems are generated to infringe on the rights of private citizen. The important question of those is tax investigation. And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legal principles of the tax investigation. so I approached to the question from five sides. The first, on what field of compulsory tax investigation is a necessary? Several differences of opinions are discussed here. The second, what are the protected interests quaranteed by due tax investigation of tax law. Now, to have a protected interests in tax investigation must be followed the procedures. The third, this investigation need representation of mandate about rejection and must fulfill the necessary conditions. The fourth, those are demanded a detailed rule of a means, object, intention about tax. The fifth, this needs a warrant as a general rule. but there is a execption to this rule in case of urgent business necessity.

      • KCI등재

        뤼시엥 그방의 사관학교 퇴교사유에 관한 연구

        전광수 陸軍士官學校 1993 한국군사학논집 Vol.44 No.-

        Cette etude a pour but d'eclaircir pourquoi Lucien Leuwen est chasse, des le debut de son roman, de l'Ecole polythechnique et qu'il quitte, enfin, l'uniforme militaire qu'il adorait des son enfance. Nous essayons d'abord de mettre en lumiere l'impossibilite latente, pour Lucien, de l'armee moderne-l'artillerie-a cause du "complexe de cavalerie" de l'auteur lui-meme, de l'antipathie irrevocable des conservateurs contre les "republicains" comme Lucien: ensuite, de decouvrir des raisons essentielles ou accessoires qui menent Lucien a son abandon definitif de la carriere militaire. Enfin, nous montrons, comme la raison la plus fatale, qu'il mamque a Lucien comme aux autres personnages principaux stendhaliens, l'obeissance passive ou l'abnegation de soi-meme, un des elements majeurs qui constitueraient les vertus d'un militaire veritable. Ce manque d'obeissance qui provient, nous semble-t-il, du beylisme fonde a la fois sur le culte de moi et sur l'heroisme, nous pernet d'emblee de comprendre un Lucien Leuwen chasse d'une communaute militaire ou il faut absolument une obeissance passive pour garder son regime.

      • KCI등재

        고전인문학과 인성교육의 관계성

        전광수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2 No.-

        본 연구는 고전을 통한 인성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고전을 통한 인성 교육은 21세기의 교육현장과 고전 인문학 작품 전반에 걸친 결과물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고전은 과거와 현재를 살아갔거나 살아가고 있는 인간의 삶을 반영하는 내용이라 할 수 있으며, 고전교육의 필요성은 우리의 삶의 자세와 인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에서 담당해오던 고전교육과 이러한 고전교육이 인성교육으로 확대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러기위해 고전과 인성교육의 흐름과 선행연구들, 그리고 조선후기 실학자인 정다산의 교학방법론을 통해 그의 강학방식에서 오늘날 학생 각자의 개성과 특성에 맞는 맞춤별, 단계별 학습방법을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고전과 인성교육, 다산의 교학방법론을 재해석해 보는 작업을 통해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인성교육에 대한 가치와 교훈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tarted from the need to establish character education through classical methods. And classical education and classical education in the country responsible for education and who want to view it expanded into consideration that there are character education has an important role to play.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classic has significance as an important educational outcomes across the humanities and classical works of the 21st century. Classic can be called content that reflects the lives of human beings who live or go live for the present and the past, the need for classical education can be said that based on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our lives. Classical and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to see re-interpret the teaching methodology of Dasan will help us live a little bit to find modern lessons about the value and character education. Because the proposed combination of Chinese and justification through the classical learning in primary education and in secondary schools through classical Chinese learning map to the direction you need to study. In terms it was in the end to find specific content and method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classics to the needs of the present study raises the need for a modern, practical feasibility and methodology classical training methodology Dasan step-by-step to the humanity implied the moral education aims I tried to learn to find the meaning.

      • KCI등재

        평생교육전담기관의 역사적 전개 과정-법제화 과정에서의 기관 구상과 설치를 중심으로-

        전광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7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0 No.2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법제화 과정에서 기관의 구상과 설치를 중심으로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평생교육법은 국가의 평생교육 진흥을 명문화하고, 국민의 학습권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조건 정비의 법적 근거를 제공한다. 더불어 조건 정비는 시대 변화에 대응하여야 하며, 법이 지양하는 바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는 주체가 된다는 측면에서 평생교육기관이 어떻게 변화를 거듭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하지만 선행연구들은 평생교육법의 위상과 체계, 효력에 대한 연구나 법 제․개정 시기에의 의의와 쟁점에 관한 연구 등이 대부분이다. 이외에는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기능, 평생교육기관의 사례와 운영 전략 등의 연구가 있다. 즉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법 제정을 통해 정비하려던 평생교육기관은 어떻게 역사적으로 구상되었고 설치되어 왔는지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다. 자료는 수집한 법안 전문과 문헌, 신문 및 잡지, 국회 및 국무회의 회의록 등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선행연구에 인용된 이차적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우선 법제화를 통해 정비하려던 평생교육기관의 구상과 설치는 시대적 요구와 현장의 변화, 정부와 학계의 입장 속에서 그 특성이 다양하게 변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유형도 다양하게 구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시대 흐름 속에서 법안의 제정 목적에 따라 문맹퇴치를 위한 성인교육기관에서 문화 시설 확충을 위한 사회교육기관, 향토관, 청소년 시설, 사회교육관, 평생교육 전담 기관 등으로 진화해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는 법의 테두리 내에서 중앙과 지역으로 이어지는 전담 기관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평생교육 개념과 함께 유입된 평생교육 체제의 구축과도 연결되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앞으로는 평생교육 전담 기관의 역할을 더욱 강조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법의 위상과 실효성이 보장됨은 물론, 국민의 실질적인 학습권을 보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rocess of developing institution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in history focusing on how to devise and install the institution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law of lifelong education. Most of the advanced research, however, has only dealt with the status, system, or effect of the Lifelong Education Act, significance of the time for institutionalizing or revising the law, or issues related to it. Aside from that, the research has been only focused on the functions of institution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or the cases or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m. In fact, it is hard to find research that deals with how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have been devised and installed in history through legislation on their maintenance which this author pays attention to. This study has mainly analyzed the full text of the bills collected, literatures,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minutes gained from the With the process, this author has drawn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regarding how to devise and install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maintenance grounded on the law, they have been changed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time, changes in the field, or the positions of the government or academic circles. Also, the types have been conceived diversely. They have evolved in the forms of adults’ education institutions to eliminate illiteracy, social education institutions to expand culture facilities, county centers, adolescents’ facilities, social education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s, and so on. In the future, centers in charge of lifelong education will have even more stressed roles. Wit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status of the act effectively and also obtain the right of learning practically for the people.

      • KCI등재

        지방 정부의 평생교육 체제 구축 동향 분석

        전광수,김형재,황정훈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This study tried to analyze an ordinance related to the lifelong education in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lifelong educational develop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it was selected for the wide-area local government - "K"city - as the object of analysis The criteria and contents of the analysis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the Local Education Act, which was ame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Welfare and Municipal Affairs, and the subsequent lifelong education ordinance of the municipal government, after revising the entire education law. The results are as follows. After revising the lifelong education law, the autonomous districts have been established to enact the legislation of the law and strive to establish a systematic foundation for educational advanc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lifelong education system.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the ministry enacted the ordinance to reflect the contents of the proposed ordinance, and set up the ordinance in consideration of the local law.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Taken together, it seems that the, district has been trying to establish a series of institutional and practical systems for lifelong education. However, there was a substantial difference in actual administrative practices that fit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본 연구는 평생교육법의 전면 개정을 통해서 부여된 지방 정부의 책무가 조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고, 실제 지자체별 평생교육 시스템의 구축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K광역시 산하 5개의 자치구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의 기준과 내용은 평생교육법 전부 개정 이후 교육부에서 제시한 광역시․도와 시․군․자치구의 평생교육 조례(안)과 이후에 일부 개정된 평생교육법 중에서 관련된 조항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교육법 전면 개정 이후 자치구들은 법의 제정 취지에 부합하고,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제도적 기반과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교육부가 제시한 조례의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지역의 실정을 고려하여 조례를 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제 구축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해보면, K광역시 자치구는 평생교육 진흥을 위한 일련의 제도적 기반과 실질적인 체제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해 온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례의 제정 취지에 걸 맞는 실질적인 행정 행위가 지역마다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미군정기의 성인교육 정책 분석 - 「성인교육 규정」을 중심으로

        전광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6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9 No.1

        This study analyze policy of adult literacy campaign During U.S. Military government period focusing on adult literacy campaign were in use. The policy of U.S. government policy had meaning because the government had tried to install concept and system from urgent needs. But it is notable that the government couldn't take full charge of adult education, and it made private sector took charge of adult education. Especially, the process of institutionalize of social education leaded by U.S. military government has remarkable meaning, because it affect social education law that came right after government founding. This study was able to derive the following output. Adult Education received attention caused by high illiteracy rate, government lead institutionalized actions. These action started as adult education program planned by adult education committee in the end of 1945 and followed as guidelines and rules. These institutionalized actions are categorized by the definition of adult education, the composition of committee, initialization and management of adult education installation, training of adult educator. After all, it is known that the program designed by adult education committee affected instruction of adult education and installation of citizenship training school, guideline of high citizenship training school. 본 연구는 성인교육 규정을 중심으로 미군정기 성인교육 정책을 분석하였다. 광복 직후 시작된 미군정은 현상유지와 당면과제 해결에 국한된 정책을 추진했다는 비판도 있다. 하지만 당시 추진되었던 정책 대부분이 정부수립이후 제도화․법제화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당시 구상된 정책이 갖는 의의는 크다. 미군정이 추진한 정책은 성인교육에 관한 개념과 영역의 정립과 이를 구현하는 조건을 정비하려 한 점에서 현재 평생교육법을 통해 구축하려는 체제와도 유사한 측면이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미군정 당시 마련된 성인교육 규정들은 단계적 진화를 가지고 구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당시 군정이 정립한 성인교육의 의미와 영역은 처음에는 문맹퇴치에 한정되어 있다가 이후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당시의 규정들은 성인교육에 대한 개념의 정립뿐만 아니라, 실제로 구현하는 사회교육의 조건 정비도 함께 구상되었다는 점이다. 넷째, 성인교육 정책을 실현하는데 있어 공민학교 체계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그 운영 체계는 군정의 각 부처와 민간 등에서 문해교육을 실시하는 기본적인 방향과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다섯째, 공민학교는 문맹퇴치라는 시대적 과제 앞에서 기능과 운영 방식이 이후 학교교육으로의 이행(전환)이라는 방향을 예고한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유가 천명의 역학적 해석 - 천명과 인성론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

        전광수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4 No.-

        공맹으로 대별되는 원시유학과 정주학의 주요 주제였던 인간 심성론에 대한 개념들은 오늘날 인성교육을 통해 극복되어야 할 문제, 즉 양심의 부재에 따른 인간 본성의 회복을 동시에 요구하는 시대이기도 하다. 결국 인간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결국 유가의 출발점이기도 하면서 배움을 통해 인간의 내재적 한계를 극복하고 도심으로 나아가기 위한 경세학으로의 준비단계이기도 하였다. 공맹의 원시유학과 정주학은 기본적으로 현실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형이상학적인 것을 중시하는 것이냐의 차이점에서 비롯된다. 원시유학은 철저히 현실의 시대상을 반영함으로서 당시의 인간관계, 사회관계, 국가관계의 문제점을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공자의 관심대상도 이러한 점이었으며, 형이상학적인 문제와는 별개로 삶의 실천적 모습의 구체적 실현이었다. 주자 성리학은 당대의 불교와 도교의 형이상학적 이론의 극복과정에서 유가의 학문과 경전을 집대성하였다는 점에서 다산이 말한 원시유학과는 다르게 발전되어 나갔다. 주역에서 도는 체(體)로서 은미하면서도 천지만물의 근원적 바탕이 되고, 세상의 다스림이란 천도가 드러난 용(用)의 의미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천하를 다스리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그 도를 구해야 하고, 그 도를 구하고자 하는 사람은 반드시 그 마음을 구해야 하며, 그 마음이란 것은 결국 천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깨달아 천과 하나가 되려는 순수본성의 회복이 요구된다. 역에서는 천도의 변화로 만물을 낳게 하고 수장하는 천지의 마음을 공욕(公欲)으로 보고 있다. 다산이 공렴을 말한 것은 천지의 마음을 인도로 내려와 똑같이 적용할 때 목민관들은 선정을 펼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공욕이 아닌 사욕을 지니게 되면 공직자로서의 마음가짐은 이미 허물어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용의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가 뜻하는 것도 결국 유가에서 강조했던 천인합일을 이루려는 의지로 볼 수 있다. 오늘날 강조되는 인성교육도 이러한 의미에서 유가 천명에 관한 해석을 통해 유가의 가치체계를 현대적 실천의 문제를 제공한다는 긍정적 측면에서 기여할 것이라 본다. The concepts of human nature, the main themes of original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are the problems that must be overcome through human character education, namely the recovery of human nature according to the absence of conscience. In the end, the right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was the starting point of Confucianism and the preparation stage for Statecraft, overcoming the inherent limitations of human beings through learning. Orginal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are basically based on reality or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metaphysical things. Orginal Confucianism completely reflected the times of reality, showing that it was trying to overcome the problems of human relations, social relations, and national relations of the time. Confucius's interests were also this point, and this was the specific realization of the practical appearance of life apart from metaphysical issues. Neo-Confucianism was the first step in overcoming the metaphysical theories of Buddhism and Taoism. It developed differently from the Orginal Confucianism, which was described by Dasan in that it compiled the studies and texts of Confucianism. In ‘I Ching’, dao is the main body of all things in heaven and earth. The rule of the world can be said to mean the actions of Providence. Therefore he who wants to rule over the world must save the dao, Those who seek to save the dao must save it, and when they realize that the heart comes from heaven, they need a restoration of nature to become one with the heaven.

      • KCI등재

        다산 정약용의 형사사건 처리에 관한 판례연구- 다산의 법철학적 인식과 법윤리를 중심으로 -

        전광수 아시아교정포럼 2018 교정담론 Vol.12 No.2

        Individual's life, body, problem about property happened frequently in place that people gather and live from past to present, and various punishment legislation that control this was established. Society is generated and discord with another person is proportional to him as become more complicated and aspect of method that control this because can not but appear more variously should be more elaborate. In Choseon Dynasty, because compensated by most life if murder happens, a mortified person can die if judge wrong principal offense and participation in a crime in event investigation process, and if do not distinguish deliberation of crime,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fault closely, accurateness of judgment can be process of most important discussion of detective event processing as can commit big mistake to judge weight of punishment. Is original and investigate realization chief criminal and Realization of law philosophy of Dasan that is appearing in the punishment event and judgment process of Choseon Dynasty about participation in a crime, deliberation and accidental homicide. Dasan divided definitely chief criminal and participation in a crime, deliberation and fault in the one event, and there was thanks that lean in custom legal page that accomplished creation of generous punishment and strict punishment, and permit most revenge fundamentally observing in crime siblings.Because these research may become important basis in standard of objective punishment processing through comparison of Choseon Dynasty detective event judgment and current Supreme Court precedent.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에서는 개인의 생명, 신체, 재산에 관한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고, 이를 규제하는 다양한 형벌법규가 제정되었다. 사회가 발전되고 더 복잡해질수록 타인과의 갈등은 그에 비례하여 더욱 다양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규제하는 법의 양상도 보다 치밀해야 한다. 이러한 형벌조문의 치밀성에 있어 주요쟁점은 각각의 상황을 판단하고 결과를 내리는 것에 대한 신중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저지르는 범죄를 판결하는 법이 어떠한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는지 어떠한 사실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처리되었는가에 관한 고찰은 법치국가에서 살아가는 인간으로서 우리의 삶의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범죄가 행해졌을 때 그 범인을 가려서 올바르고 공정하게 처리하기 위한 노력은 오늘날에도 계속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주범과 종범을 구분하고, 범행의 고의와 과실의 유무를 밝혀내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형사사건 처리 과정은 조선시대 살인사건 판결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이기도 하다. 조선시대에는 살인이 일어나면 대부분 목숨으로 보상했기 때문에 사건 조사 과정에서 주범과 종범을 잘못 판단한다면 억울한 사람이 죽을 수도 있으며, 범행의 고의, 과실의 유무를 면밀히 따져 보지 않는다면 형벌의 경중을 판단하는데 있어 큰 과오를 저지를 수 있는 만큼 판결의 신중함은 형사사건 처리의 가장 중요한 논의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범과 종범, 고의와 과실 치사상에 관한 조선시대의 형벌사건과 판결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산의 법철학적 인식을 고찰하는 과정에서 그의 법윤리적 관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조선시대의 형사사건 판결과 현재의 대법원 판례의 비교를 통해 객관적인 형벌처리의 준칙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며, 오늘날 교정학에 있어서도 억울한 범죄처벌과 양형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법원의 선행 작업이 이루어질 때 향후 죄수들의 교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시사점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