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업네트워크 구축과 연구자 역할 분석

        장혜란(Hae-Lan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최근 보건의료분야에서는 협동연구를 위한 연구팀을 구성하기 위해 협업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연구자 역할을 파악함으로서 분야별 전문가 집단을 도출하고 있는 추세다. 본 연구는 1개 전문암센터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기관 내 연구자들의 역할을 분석하고 협동연구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자료는 2000년부터 2010년까지 SCI(E)에 발표한 연구논문 1,194건의 논문 저자 2,437명을 대상으로 중심성 분석을 하였다. 공저자 네트워크는 논문 수만 반영된 단순 중심성 값과 논문 수, 학술지 영향력 지수, 저자 기여도가 반영된 가중치 중심성 값을 산출하여 연구자 역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단순 중심성 값과 가중치 중심성 값에 의한 연구자별 순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t=11.66, p=0.00). 논문의 다양한 속성이 고려된 공저자 네트워크 분석 결과는 연구자의 역할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협동연구 수행을 위한 분야별 전문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Recently collaboration network is generated to find out experts in their field as potential collaborators in health care sector. In this paper, the co-author network of a National Cancer Center researcher was generated for identifying each researcher’s role and collaborative research pattern. The co-author network of 2,437 authors was extracted from 1,194 SCI(E) publications from 2000 to 2010 and author’s role was analyzed by authors centrality value. Centrality reflecting only the number of papers and centrality weighted by the paper number, impact factor, and authorship contribution was evaluated. On the comparison with simple degree centrality value and the weighted degree centrality, difference of va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t=11.66, p=0.00). Co-author network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of the paper provides more objective figure of researcher’s role. This suggests that co-author network could be more effective in identifying potential collaborators.

      • KCI등재

        암유전자 연구주제 네트워크 분석

        장혜란(Hae-Lan Jang),강길원(Gil-Won Kang),이은정(Eun-Jung Lee),김승렬(Seung-Ryul K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12 기술혁신학회지 Vol.15 No.2

        목적: 본 연구는 보건의료분야 연구주제 중 암유전자 분야의 지식지도를 구축하고 국내외 연구주제 네트워크를 시계열적으로 비교 분석함에 의해 국내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암유전자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될 영역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는 PubMed 데이터베이스의 Medical Subject Headings(MeSH) 검색기능을 이용하여 ‘Oncogene’을 주제로 하는 논문을 추출하였고, 교신저자 소속이 한국인인 논문을 분리한 후 추출된 논문의 키워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사회네트워크 분석 기법중 가중치가 부여된 연결정도 중심성을 적용하여 연구주제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시기별로 나누어 연구주제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과: 암유전자의 경우 국내외 모두 ‘Genes, ras’와 ‘Apoptosis’, ‘Signal?Transdction’ 등이 연결정도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였으며, 시기별로는 국내외 모두 ‘antineoplastic Agents’, ‘Prognosis’, ‘Tumor Markers, Biological’ 등 암유전자를 대상으로 치료 및 진단, 예후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해졌다. 결론: 암유전자 연구주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시기별로 연구 주제에 대한 일정한 흐름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주제 네트워크 분석으로 각 질환별 연구단계가 확인된다면 다음 단계의 연구진행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따른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Health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is an important area to leading futur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trends for ‘oncogene’ based on the research subject network to deduce a research front. Method: Papers were extracted from PubMed database using MeSH term for studies on ‘oncogenes’ and further categorized as papers published by Korean. Keywords were collected from all of articles. Research subject network was generated by keywords. Research subject network was analyzed by weighted degree centrality based social network analysis and transition of research subjects was analyzed by the time series. Results: On ‘oncogenes’, ‘Genes, ras’, ‘Apoptosis’, ‘Signal Transduction’ had a high degree centrality and currently ‘Antineoplastic Agents’, ‘Prognosis’, and ‘Tumor Markers, Biological’ were widely conducted. Conclusion: Consistency of research trend pattern was found by analyzing oncogene network with compromised to international vs. domestic trends. Analyzing keyword networks in various subject area, those will allow us to predict the research progress and propose evidence of research & developmental strategy.

      • KCI등재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조현병 환자의정서행동, 정서표현,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변화 및 정신병리에 미치는 효과

        진명자(Myung Ja Jin),장혜란(Hae Lan Jang),최대정(Dae Jung Choi),강길원(Gil Won Kang),이영성(Young Sung Le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2 No.1

        본 연구는 만성 조현병 환자에서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이 환자들의 정서행동, 정서표현,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변화 및 정신병리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35명에게 20주에 걸쳐 용인정신병원에서 개발된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두 군 간 일반적 특성은 통계적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두 군 간 정서행동 점수는 실험군에서 사전 55.2점, 사후 77.9점, 대조군에서 사전 57.4점, 사후 59.0점으로 실험군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 < 0.0001). 정서표현 점수는 실험군 55.8점에서 66.1점으로, 대조군 55.5점에서 55.3점으로(p < 0.0001), 자기효능감 점수는 실험군 46.5점에서 77.9점으로, 대조군 45.7점에서 45.8점으로(p < 0.0001), 대인관계변화 점수는 실험군 44.5점에서 79.0점으로, 대조군 41.7점에서 42.1점으로 각각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 < 0.0001). 정신병리 점수는 실험군 69.2점에서 70.1점, 대조군은 79.6점에서 80.5점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1.000).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은 정서행동, 정서표현,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변화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지속적인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은 만성 조현병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verify effectiveness of an emotional manage-ment training program(EMTP) for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in view of emotional behavior, emotional expression, self-efficacy,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 The program was performed for 20 weeks to 35 patients for each group. The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X2- test, t-test and values of variables were done with pared t-test by SAS 9.2.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Emotional behavior, Emotional expression, Self-efficacy and chang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 < 0.0001)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Otherwise BPRS were not (p = 1.000). The EMTP for experimental group showed positive effects except BPRS. Those results suggested that continuously performing the program could improve emotional recovery and quality of life of them.

      • 외래수술 환자들의 수술 전 마취에 대한 지식과 불안, 태도에 관한 조사 연구

        박지현, 강훈, 장혜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5 忠北醫大學術誌 Vol.25 No.1

        연구목적: 병원에서 수술을 받는 환자들과 그 보호자들은 수술이나 마취에 대해 의사로부터 자세한 설 명을 듣기를 원한다. 자세한 설명을 듣지 못하는 경우 환자들은 수술 후 환자 자신이 느낄 수 있는 통 증이나 수술에 걸리는 시간, 그리고 수술 후 나타날 수도 있는 여러 가지 부작용 등에 대해 불안해 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들은 수술 후 진통제에 의한 통증 조절 등, 의료진들로부터 이러한 관련된 문제점 들에 대해 자세한 설명과 확신을 얻기를 바란다. 본 연구 조사의 목적은 충북대학교병원 일일수술센터 (Out-Patient Day Surgery Center)에서 외래정규 수술이 예정된 환자들과 그 보호자들이 마취에 대해 가지고 있는 지식과 관심사항을 파악하여 수술 전 불안감을 해소하고 또한 수술 후 마취과적 치 료(postanesthetic care)에 이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조사는 2014년 1월부터 2014년 3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일일수술실에서 정규 수술을 받기 전 환자들과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과 보호자들에게 동시에 사전에 준비된 총 17개의 마취와 관련된 의학적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Table 1)를 간략한 설명과 함께 나누어 주 고 설문의 질문에 답하도록 하였으며 각 질문은 환자와 보호자들의 관심이나 걱정의 정도에 따라 세 등급((1) 전혀 모르거나 걱정되지 않는다, (2) 중간 정도로 알거나 걱정이 된다, (3) 잘 알거나 많이 걱정이 된다)으로 나누어 그 중의 한 등급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결과: 환자들이나 보호자들이 마취와 관련된 17 가지의 모든 항목에서 “(2) 중간 정도로 알거나 걱정 이 된다”와 “(3) 잘 알거나 많이 걱정이 된다” 에 중등도 이상(약 70%)의 균일한 관심과 우려를 보여 주었다. 결론: 마취와 관련된 여러 가지 의학적 내용에 대한 관심의 정도는 각각의 세부적인 항목마다 거의 동 일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