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프장 평가모델 설정에 관한 연구

        장지덕(張志德) 한국부동산연구원 1994 부동산연구 Vol.4 No.1

        골프장은 收益性 상품으로서 가지는 몇가지 特性이 있으며, 그 特性 또는 評價目的에 따라 傳統的인 評價三方式으로는 接近하기 困難한 경우가 있다. 즉 利用權인 會員權이 別途로 流通되고 있으며, 30만평 규모의 넓은 土地가 一團地로 이용되고 있고, 立地要因이 특히 重視된다. 또한, 대부분 山地에 建設되고 있어 同一用途, 同一規模의 골프장이라도 造成費의 큰 差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硏究에서는 會員權價値(P)와 골프장 價値(Pl)의 관계를 규명한 후 設問調査方法에 의하여 會員權價格의 形成要因 [즉 회원수(M), 시간거리(T), 역사와 전통(Y), 잔디등 시설관리실태(G), 설계(D)]을 設定하고 回歸分析으로 그 比重을 分析함으로써 골프장 평가의 모델을 設定하고자 하였다. 즉 P1=(P×M)+管理運營에 따른 將來利益의 資本還元類+Net Capital Gain으로 定義하였으며, P=3252.9002+3159422.5026/M-64.0484T+122.7056Y+48.7475G+9.4243D로 도출되었다. 이 평가모델과 관련하여 많은 硏究가 필요할 것으로 思料되고 골프장 以外의 會員權附 財産의 評價모델로도 有用할 것이며 투자비용규모 및 개발사업착수시기 결정에 유용한 判斷基準을 提供하는 등 개발모델로도 有用할 것으로 判斷된다.

      • 진해 일대 조류의 종 다양성

        이원호,장지덕,최병인,강성룡,김성진,권기정 동아대학교 부설 기초과학연구소 2004 基礎科學硏究論文集 Vol.21 No.1

        본 연구은 진해항 일대의 조류상을 조사ㆍ분석한 것이다. 조사는 2001년 12월부터 2002년 4월까지 28회를 조사하였다. 센서스 기간 중 총 61종의 조류를 조사 지역내에서 관찰할 수 있었으며, 연 55,115개체가 관찰되었다. 종수의 합계와 총 개체수 그리고 종별ㆍ개체별 출현 빈도에서 유도된 종 중요도는 불은부리갈매기[0.58], 괭이갈매기[0.14], 흰죽지[0.12], 고방오리[0.07], 민물도요[0.07], 참새[0.06], 재갈매기[0.06]가 중요한 종으로 나타났다. 월별 최대 관찰 개체수는 2001년 12월에 46종 5,993개체를 관찰하였으며, 2002년 1월에 37종 7,105개체, 2월에 37종 8,837개체, 3월에 38종 4,106개체, 그리고 4월에 32종 2,819개체를 관찰하였다. 종 풍부도는 4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 다양성과 균등도는 1월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별 종의 유ㆍ무와 개체수를 비교하여 양방향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2월과 3월의 조류 군집이 유사한(0.69: Pearson Correlation Index)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1월(0.617), 12월(0.522)로 12, 1, 2, 3월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4월이 틀린 cluster를 형성하고 있다. 수금류, 섭금류, 갈매기류, 참새류 등 4가지 중요 군집으로 구분하여 개체수를 비교한 결과 66%가 붉은부리갈매기 외 3종의 갈매기류였고, 21%가 혹부리오리 외 13종의 수금류, 7%가 붉은머리오목눈이 외 21종의 참새목, 5%가 흰물떼새 외 5종의 섭금류, 1%미만의 맹금류, 논병아리류, 가마우지류의 조류로 나타났다. We investigated the abundance and local distribution of birds, in four areas of the jinhae. Data were collected from four areas in the jinhae from 2001 to 2002. In this study, 55115 individual birds of 80 species were censused. We evaluated important species with abundance of birds were as follows: Black-headed Gull[0.58], Black-tailed Gull[0.14], Pochard[0.12], Pintail[0.07], Dunlin[0.07], Tree Sparrow[0.06], and Herring Gull[0.06].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each month were recorded as follows: 5993 individual birds of 46 species in December(2001), 7105 individual birds of 37 species in January(2002), 8837 individual birds of 37 species in February, 4106 individual birds of 38 species in March, 2819 individual birds of 32 species in April. In study period, the april was the highset richness(R' =0.60) and the January was the highest diversity(H'=2.08) and evenness(E5=0.52) with an expected species number of E[S_(818)]=29. Pairwise similarity declined with increasing distance between recording month and recording month from two different clustered separately in a UPGMA cluster tree. Comparison of population variable at 4 sites of 4 classes was compared as follows: 1.Gull(66%), 2. Waterfowl(21%), 3. Passerine(7%), and 4. Wader(5%).

      • KCI등재

        Evaluation of Winter Barley Fields as Feeding Habitat for Waterfowl in the Dongup Reservoir System, Korea

        이찬우,김구연,장지덕,주기재 한국생태학회 2006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29 No.2

        As a Biodiversity Management Plan in S. Korea, barley fields are being prepared for the winteringmigratory bird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barley fields as a feeding habitat has not been evaluated. In 2003/04 wintering period, we installed exclosures in the barley fields to evaluate the waterfowl grazing effectiveness. Approximately 8,000 waterfowls used the Dongup Reservoir System and utilized the barley fields during the daytime. The white-fronted goose Anser albifrons occupied more than 90% of the all barley-feeding waterfowls. Waterfowls significantly impacted to the shoot density and biomass of barley. In the closed plot, 2in January, 2004. Shoot density in open plots (site 1) declined sharply from 15 December (18918/m2) to 5 January 2004 (2511/m2). However, barley shoot density in open plots (site 2) was stable in January 2004 because of human disturbances. The changes in barley biomass and shoot density showed similar trend in both open and closed plot. From the exclosure experiment, it was clear that barley fields were important feeding habitat for wintering waterfowls in this area. Further, human disturbances such as noise from traffic and other human activities (farming and hiking) had significant impact on waterfowls grazing activity. Collectively, winter barley fields were effective for waterfowl feeding, but th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라니(Hydropotes inermis)의 로드킬(Roadkill) 방지 울타리 적정 높이 평가

        박희복 ( Heebok Park ),우동걸 ( Donggul Woo ),송의근 ( Eui-geun Song ),임정은 ( Anya Lim ),이배근 ( Bae-keun Lee ),장지덕 ( Ji-deok Jang ),박태진 ( Tae-jin Park ),최태영 ( Tae-young Choi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2

        이 연구는 국내 로드킬(Roadkill) 피해 발생건수가 가장 높은 야생동물인 고라니(Hydropotes inermis)를 대상으로 로드킬 예방에 필요한 저감시설인 유도울타리의 적정 높이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국외 사슴류 흰꼬리사슴(Odocoileus virginianus)의 울타리 월장 측정 연구사례와 비화학적 포획 방법을 검토하여 국립생태원 사슴생태원에서 관리하는 고라니 27마리를 대상으로 울타리 월장 실패율 측정 방법에 적용하였다. 펜스(test fence) 높이 0.5m에서부터 단계별 10cm씩 높여가며 넘을 수 없는 높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1.5m로 설치할 경우 고라니의 침입을 96.7% 차단 가능하고, 1.8m 높이에서는 100% 차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환경부 「생태통로 설치 및 관리지침」개정 시 유도울타리 적정 높이 기준 설정에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Our study aims to provide a guideline of deer-proof fence heights to prevent roadkill of water deer (Hydropotes inermis), the most frequently killed by a vehicle collision, in South Korea. With 27 water deer in deer ecology center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we measured the ability of water deer to jump gradually higher fences from 0.5cm by 10cm until the deterrence rate reached 100%. Our result revealed that the deterrence rate became 96.7% at the fence height of 1.5m and the rate reached 100% at the 1.8m. We believe that our result provides the fundamental information to prepare a standard of deer-proof fence height. This evidence-based standard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the guideline for wildlife crossing construction and management, establish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