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한자음의 음절 대응을 통해 본 고대 한국어 /ㅓ/의 음가

        張俊翼 ( Jang¸ Jun-ik ) 구결학회 2021 구결연구 Vol.47 No.-

        ‘ε/e’ 와 같은 중고음 전설 모음의 한국 한자음 대응 모음은 주로 ‘ㅓ’였기 때문에 기존 학자들은 고대 한국어 /ㅓ/의 음가를 /e/ 같은 전설 모음으로 봤다. 그러나 한국 한자음에서 ‘ㅓ’는 주로 개음 ‘i’가 있을 때만 대응돼 나타난다. 개음 ‘i’가 있을 때 ‘ㅓ’는 ‘ε/e’뿐만 아니라 ‘ɔ’와도 대응되지만 개음 ‘i’가 없는 ‘æ/e’와 ‘Λ’의 대응 모음은 ‘ㅓ’가 아니다. 따라서 고대 한국어 /ㅓ/는 /e/와 같은 전설 모음, /Λ/와 같은 후설 모음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았다고 보인다. 오히려 개음 ‘i’가 없을 때 입성자에 한해서 중고음 모음 ‘ə(ɤ)’와 ‘ㅓ’가 대응될 때가 있다. 소거법을 통해 분석해 보면 고대 한국어 /ㅓ/의 음가는 현대 한국어와 거의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ε’ or ‘e’, the front vowels of ancient Chinese are usually matching with Korean vowel ‘ㅓ’. Therefore, it was very easily accepted that the value of ancient Korean vowel ‘ㅓ’ was also front vowel. However, the vowel of Sino-Korean characters, ‘ㅓ’ usually appears when there is a head vowel ‘i’ in the sound system of ancient Chinese. If there is a head vowel ‘i’, ‘ㅓ’ can’t be only matching with the front vowel ‘ε’ or ‘e’, but also matching with the back vowel ‘ɔ’. 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head vowel ‘i’, ‘ㅓ’ can’t be matching with the front vowel ‘æ/e’ and the back vowel ‘Λ’. Therefore, the phonetic value of ancient Korean vowel ‘ㅓ’ wasn’t entirely matching with the front vowel ‘e’ and back vowel ‘Λ’. Instead of them, if there is no head vowel ‘i’ and there is a final consonant ‘k’, ‘ㅓ’ is possible to be matching with ancient Chinese vowel ‘ə’. Through erasure method, it is possible to think there is very little difference between ancient Korean vowel ‘ㅓ’ and present korean vowel ‘ㅓ’.

      • KCI등재

        한국 한자음을 통해 보는 중고음 3, 4등 개음의 차이

        장준익(Jang, Jun-ik) 한국중어중문학회 2021 中語中文學 Vol.- No.85

        중고음 각 등의 성모 배열을 보면 1등과 4등의 배열이 같고 3등과 4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학자들은 4등에 개음 ‘i’가 없었다고 봤다. 4등 모음은 일반적으로 ‘e’ 같은 전설 모음으로 훗날 개음 ‘i’가 덧나기 쉬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4등 합구호운의 상황은 다르다. 이미 합구호 개음 ‘u’가 있는 상황에서 다시 개음 ‘i’가 덧나기 쉽지 않다. 한국 한자음은 보통 3, 4등 개음 ‘i’를 다반영하고 있는데 특히 4등 합구호운에도 개음 ‘i’가 일괄적으로 반영한 것을 보면 중고음 4등에 본디 개음 ‘i’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한국 한자음 후아음은 3등 중뉴 A류와 4등의 개음 ‘i’를 반영한 반면, 3등 중뉴 B류와 일반 3등의 개음 ‘i’를 반영하지 못했다. 이는 혜림음의(807) 음운 체계를 반영한 듯 보이지만 혜림음의(807) 음운 체계에서 3등 중뉴 B류와 일반 3등의 합류가 곧 개음 ‘i’의 탈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는 고대 한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통시적인 관점에서 한국어의 설치음은 개음 ‘i’가 있을 때 구개음화되기 쉬웠고, 비슷한 성격인 3등 개음을 반영할 수 있었다. 반면 한국어의 후아음은 개음 ‘i’가 있어도 역사적으로 구개음화되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 한자음 후아음은 중뉴 A류 모음성 개음을 제외한 다른 3등 개음은 반영할 수 없었던 것이다. Observing the arrangement of initial consonants of each class in the dictionary Guang-Yun(廣韻),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arrangements of fourth class and first class are same, but the arrangement of fourth class and third class aren’t same. Therefore it was easily accepted that there wasn’t head vowel ‘i’ in the fourth class, because the vowel of fourth class was the front vowel ‘*e’, the head vowel ‘i’ was naturally created in front of the vowel in the future. However, in the fourth class, there is also He-Kou-Hu(合口乎) rhyme. In this rhyme, there is also head vowel ‘u’, it is not naturally that the head vowel ‘i’ had been created in front of the head vowel ‘u’. Generally speaking,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there are all head vowel ‘i’ in the fourth and third class. Especially, He-Kou-Hu(合口乎) rhyme of the fourth class, there is also head vowel ‘i’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So, it is possible to think there is naturally head vowel ‘i’ in the fourth class of Ancient Chinese. Most of all,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expression of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isn’t same to other sounds of Sino-Korean characters. Although there is head vowel ‘i’ in the Chong-Niu(重紐) A type of third class and fourth class, there isn’t head vowel ‘i’ in the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it seems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was influenced by the sound system of the rhyme dictionary Hui-Lin-Yin-Yi(慧琳音義, 807). However, it isn’t meant that the join of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in the Hui-Lin-Yin-Yi(慧琳音義, 807) was the miss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hink the miss of the head vowel ‘i’ in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is influenced by ancient Korean. In the historical view, lingual and dental sounds of Korean were easily changed into palatal sounds in front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it is possible to think lingual and dental sounds of Korean easily accepted the head vowel ‘i’ of the third class, very closely related with initial consonant. On the other hand,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weren’t changed into palatal sounds in front of the head vowel ‘i’. Therefore,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only accepted the head vowel of fourth class and Chong-Niu(重紐) A type. Because they all have strong vocality. But, guttural and velar sounds of Korean didn’t accept the head vowel of Chong-Niu(重紐) B type and other common third class.

      • KCI등재

        『雞林類事』의 모음 /·/와 /ㅡ/ 사음 제약 고찰

        張俊翼 ( Jang Jun-ik ) 구결학회 2023 구결연구 Vol.50 No.-

        『雞林類事』에서 모음 /ㆍ/와 /ㅡ/는 여러 중국어 모음으로 사음된다. 이는 사음 당시 중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기존 『雞林類事』 연구 및 『四聲等子』, 『聲音唱和圖』 같은 당시 韻圖의 음운 체계를 고려해 음절표를 작성해 보면 『雞林類事』 사음 당시 중국어 모음 ‘ə/ɿ/ʅ’의 음절 제약을 확인할 수 있었다. ‘ɿ/ʅ’는 개음절 치음에서만 나타났으며 ‘ə’는 개음절 및 운미 ‘i’ 환경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음절 제약이 있을 때 /ㆍ/와 /ㅡ/는 ‘a’ 또는 ‘i’로 사음될 수밖에 없었다. /ㆍ/는 마치 /ㅏ/처럼 ‘a’로 주로 사음되었고, /ㅡ/는 마치 /ㅣ/처럼 ‘i’로 주로 사음되었다. 그러나 음절 제약이 없을 때 /ㆍ/와 /ㅡ/는 ‘ə’로 함께 사음될 수 있었다. /ㅏ/와 /ㅣ/가 음절 제약이 없을 때도 일관적으로 ‘a’와 ‘i’로 사음되는 것과 달랐다. 심지어 음절 제약이 없으면 /ㆍ/와 /ㅡ/의 사음자가 같은 경우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볼 때 전기 중세 한국어 모음 /ㆍ/와 /ㅡ/는 모두 당시 중국어 모음 ‘ə’와 유사했던 모음으로 보인다. In the Gyerim-Yusa (雞林類事), Korean vowel ‘·’ and ‘ㅡ’ were transcribed by various Chinese vowels, which was influenced by Chinese language at that time. After considering previous researches of Gyerim-Yusa and the sound system of Rhyme table, Saseong-Deungja (四聲等子) and Seongeum-Changhwado, (聲音唱和圖) it was possible to make Syllable table and it was also possible to find syllable constraints of Chinese language at that time. The vowel ‘ɿ/ʅ’ only appeared if it has dental sounds in the open syllable. On the other hand, the vowel ‘ə’ didn’t appear in the open syllable or it has syllable ending ‘i’ If there were syllable constraints, Korean vowel ‘·’ and ‘ㅡ’ couldn't help but be transcribed by Chinese vowel ‘a’ and ‘i’. Korean vowel ‘·’ was mainly transcribed by Chinese vowel ‘a’ like as Korean vowel ‘ㅏ’. On the contrary, Korean vowel ‘ㅡ’ was mainly transcribed by Chinese vowel ‘i’ like as Korean vowel ‘ㅣ’. However, if there was no syllable constraints, Korean vowel ‘·’ and ‘ㅡ’ were all transcribed by Chinese vowel ‘ə’,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transcription of Korean vowel ‘ㅏ’ and ‘ㅣ’. Even if there were no syllable constraints, Korean vowel ‘ㅏ’ and ‘ㅣ’ were also transcribed by Chinese vowel ‘a’ and ‘i’. Moreover, if there were no syllable constraints, it was also possible to use same Chinese characters for transcribing Korean vowel ‘·’ and ‘ㅡ’. Therefore, the phonetic value of early middle Korean vowel ‘·’ and ‘ㅡ’ were all similar to Chinese vowel ‘ə’ at that time.

      • 얼굴 표정 인식 기반 컨텐츠 선호도 추론 시스템

        이연곤(Yeon-Gon Lee),조덕현(Durkhyun Cho),장준익(Jun Ik Jang),서일홍(Il Hong Suh)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1

        디지털 컨텐츠의 종류와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컨텐츠 선호도 투표는 강한 파급력을 지니게 되었다. 하지만 컨텐츠 소비자가 직접 투표를 해야 하는 현재의 방법은 사람들의 투표 참여율이 저조하며, 조작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컨텐츠 소비자의 얼굴 표정에 드러나는 감정을 인식함으로써 자동으로 컨텐츠 선호도를 추론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의 수동 컨텐츠 선호도 투표 시스템의 문제점인 컨텐츠 소비자의 부담감과 번거로움, 조작 위험성 등을 해소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이며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컨텐츠 선호도 추론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시스템의 실용성과 효율성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