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동착유시스템(AMS) 착유 및 보호지방 첨가 급여가 원유의 품질 및 유지방 특성에 미치는 효과

        주연 ( Ju Yeon Moon ),경만 ( Kyeong Man Chang ),남인식 ( In Sik Nam ),박성민 ( Seong Min Park ),오남수 ( Nam Su Oh ),손용석 ( Yong Suk Son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4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지 Vol.32 No.2

        Automatic milking systems (AMS) have been increasingly introduced to Korean dairy farms. However,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milking systems (CMS), some negative changes in milk quality are being observed. The use of AMS leads to an increase in milking frequency, which in turn might result in higher physical stress on the milk, possibly causing changes in the milk fat globule (MFG) membran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ifferent milking systems on the milk quality, with a focus on milk fat properties. At the same time, we studied the effect of feeding the dairy cows with protected fat. Raw milk samples were taken monthly from individual cows as well as from bulk tanks at four AMS and four CMS dairy farms. We measured quality-related parameters such as MFG size distribution, free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and acid values. Although most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the milking system, we found a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FG size and milk fat content. Moreover, larger MFG size was observed in the milk when cows had been fed protected fat. The significantly higher (P< 0.05) free fatty acid content of milk observed under this experimental condition could be attributed to higher milking frequency as a result of using AMS.

      • KCI등재

        산림복지서비스 유형별 공공성 수준 평가에 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급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행정학 및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많이 논의되고 있는 공공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을 정의하였으며, 전문가 조사를 통해 공공성의 평가 기준을 도출하고 국내 9개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시설을 대상으로 공공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9개 산림복지서비스 유형 중 ‘숲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산림레포츠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공공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산림복지서비스의 공공성 평가결과의 명확한 해석을 위해 수익성에 대한 평가를 추가로 실시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자연휴양림, 치유의숲, 수목원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의 경우 공공성과 수익성이 모두 높게 평가되었고, 숲길과 산림욕장을 통해 제공되는 산림복지서비스는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은 서비스로, 수목장림, 숲속야영장, 산림레포츠 시설 등을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는 공공성은 낮지만 수익성이 높은 서비스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산림복지서비스의 유형별 공공성과 수익성을 종합해보았을 때, 향후 정부 차원에서는 서비스의 공공성은 높지만 수익성이 낮아 지속적인 운영이 어려운 숲길과 산림욕장을 중심으로 산림복지서비스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목장림을 비롯한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 유아숲체험원 등은 서비스 제공으로 발생 가능한 사회적, 환경적 영향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규제 기준만 제공하고 민간주체의 참여 및 민간시장을 확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활발하게 운영 되고 있는 자연휴양림이나 치유의숲은 민간투자를 활성화시켜 운영관리에 대한 공적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suggest supply strategies on forest welfare service. First, this study defines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with the concept of publicness mainly discussed in public administration study and social service field. Second, it presents assessment elements for the publicness of forest welfare service derived through experts’ survey and evaluates the publicness of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s in Korea. The evaluation shows that services on forest trails have the highest publicness, services on forest leisure sports have the lowest. In order to more clarify the outcomes, an additional survey for profitability among 10 types of forest welfare service is conducted. It shows that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forest therapy and arboretum are high rated both publicness and profitability and services on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area are high rated in publicness but are low rated in profitability. Services on woodland cemetery, forest camp site and forest leisure sports are low rated in publicness but are high rated in profitabil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of experts’ evalua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have to expend forest welfare services like forest trails and forest bathing which have high publicness but are difficult to continue because of low profit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profitable services such as woodland cemetery, forest leisure sports, forest camp site and forest kindergarten, it has to be more open to private sector with expanding market, regulated only for minimizing social and environmental effects by services. Finally, as to services on recreational forest and forest therapy, government has to reduce public burdens on these services by promoting private investment.

      • KCI등재

        자연휴양림 이용객의 방문선택속성에 대한 연구

        장주연(Chang, Chuyoun),유리화(Yoo, Rhee-hwa),린 주안 탈카센(Lynn Juan Talkasen)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자연휴양림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을 조사·분석하여 수요자 중심의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립자연휴양림 이용객을 대상으로 62개 방문선택속성을 제시하고 각 속성에 대해 이용자들이 생각하는 중요도를 설문 조사하였다. 329명의 설문응답을 요인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운영관리’, ‘산림경관’, ‘서비스 이용편의성’, ‘편의서비스 제공’, ‘경영관리’, ‘환경관리’, ‘시설안전관리’, ‘숙박시설’, ‘생물종다양성’, ‘프로그램다양성’, ‘위생적인 편의시설’, ‘친환경 건축’의 12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 중 ‘산림경관’에 대한 속성이 자연휴양림 이용객들이 공간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의 다양성’과 ‘프로그램운영관리’요인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연휴양림 서비스 이용객 유형별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단체방문객이 가족이나 친구와 방문하는 이용객보다 자연휴양림의 ‘경영관리’영역을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림치유 및 산림휴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집단이 ‘위생적인 편의시설’을 자연휴양림 선택 시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 일반 국민들은 주로 산림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공간을 선택할 때 산림환경 및 이용 편의와 연계되는 시설요소를 고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자연휴양림 서비스의 이용 목적에 따른 인식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보다 양질의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건강한 산림환경과 시설이용 편의성을 확보해야 하되, 이용자 유형 및 목적에 특화된 프로그램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적극적인 이용을 이끌어 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make basic data needed to provide user-oriented forest welfare service of good quality by surveying visitors and examining service use attributes that play an important role in individual choice of forest welfare service. To this purpose, a survey of visitors to the National Recreation Forest, a presentative forest welfare service of Korea,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 consisted of 62 service choice attribut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329 responses, choice attributes can be categorized into 12 factors;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convenience of service use, providing convenience service, overall management for good service, environmental management, facility safety management, comfortable and clean accommodation, biodiversity, variety of programs,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and eco-friendly architecture. It shows that‘scenic landscape and forest environ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visitors to choose recreation forest. On the other hand, ‘variety of programs’ and ‘program operation and management’ were less important attribute in service choice. When it comes to examining the difference of choice attributes by visitors’ groups, the group visitors place great importance on ‘management’ related to insurance and manual which can be used in emergency. Also, people who want to use forest therapy and forest recreation service place great importance on hygienic convenience facility. To sum up, this study indicates that people primarily consider attributes of forest environment and facility related to use convenience when they choose and use forest welfare service. However, it also shows that attributes influencing visitors’ choice is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purposes of visit.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 of much better quality in the future, recreational forest have to manage forest environment sustainable and prepare specific programs depending on users’ needs and types.

      • KCI등재

        산촌의 인구이동 추이와 특성

        장주연 ( Chuyoun Chang ),설아라 ( Ara Seol ),박소희 ( So-hee Park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2 산림경제연구 Vol.29 No.2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우리나라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산촌 지역의 인구감소율이 비산촌 지역의 인구감소율보다 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산촌의 인구감소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촌의 인구이동 추이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에서 제공하는 2015년∼2021년까지의 국내인구이동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산촌으로 유입되거나 산촌에서 유출된 데이터를 추출하고 산촌의 인구이동량을 산출하였다. 최근 7년, 산촌으로 유입된 총 인구는 113만명이고, 산촌에서 유출된 총 인구는 109만명으로 4만 3천명의 순유입이 일어났다. 시도별로는 인천, 경기, 강원, 대구·경북에서 순유입이 많이 발생하였고, 연령별로는 40대∼60대에서 순유입이 일어났다. 특히 60대 이상은 다른 연령대보다 ‘자연환경’으로 인해 산촌에 이주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지역적으로는 농촌보다는 도시에서 산촌으로 인구유입이 많이 일어났다. 순유입이 많이 일어나는 산촌 읍면의 경우 순유출이 많이 일어나는 산촌 읍면보다 대도시와의 거리가 가까운 특성을 가졌다. In Korea, the trend of population decline continues due to the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In particular, since the rate of population decline in mountainous areas is greater than that in non-mountainous regions,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respond to population decline in mountainous area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is study analyzed the population movem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mountainous areas. In this study, the amount of population movement in mountainous areas was estimated by extracting data flowing into or out of mountainous areas using the domestic population migration statistics data from 2015 to 2021 provided by the Micro Data Integrated Service. The total population that flowed into mountainous areas over the past 7 years was 1.13 million, and the total population that flowed out of mountainous areas was 1.09 million. A net influx occurred in mountainous areas. By province, Incheon, Gyeonggi, Gangwon, and Daegu and Gyeongbuk had the most net inflows. By age, the net inflow occurred in those in their 40s and 60s.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those in their 60s or older who said they had moved to the mountainous areas due to the ‘natural environment’ was higher than that of other age groups. By region, more people migrated from urban areas to mountainous areas than from agricultural areas. In the case of mountainous areas where a lot of net inflow occurs, the distance from the big city is closer than that of mountainous areas where a lot of net outflow occurs.

      • 지역자산 중심의 커뮤니티 발전이론을 기반으로 한 산촌 활성화 연구

        장주연 ( Chu Youn Chang ),김재현 ( Jae Hyun Kim ),이진규 ( Jin Kyu Lee ),김주미 ( Ju Mi Kim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자산 중심의 커뮤니티 발전 이론(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에서 제시하고 있는 3단계 지역발전 프로세스를 괴산군에 적용하여, 국내 산촌 활성화 모델을 발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단계는 지역환경분석 단계로 괴산군 내 252개리의 지역자원조사를 실시, 산림자원의 활용에 대한 잠재적 수요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60개리에서 휴양 및 관광(68%), 임산물생산마케팅(32%)분야의 활용수요가 나타났다. 2단계는 공감대·소통·조직 형성단계로 산림자원의 활용욕구가 있는 지역민들을 중심으로 커뮤니티 조직을 구성하였다. 2013년 12월 한 달 동안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 아이디어 공모전을 실시하여 총 5개 마을의 커뮤니티조직을 선정하였다. 3단계는 전략적 계획수립단계로, 선정된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총 6주(2014. 1. 17. 2014. 2. 21)에 걸쳐 주민워크숍 및 역량강화교육을 실시하여 지역 내 존재하는 산림자원을 자산화하고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발전전략을 수립하였다. 그 결과 괴산군 내 감물면, 장연면, 청안면, 청천면의 총 4개의 모델을 발굴하였다. 임도 및 숲길과 같은 산림휴양자원의 활용 및 관리 모델과 임산물의 산림소득자원을 활용한 수익 창출과 연계된 지역발전전략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산림 자원의 육성``에 초점을 맞춘 기존의 산림정책에서 ``지역커뮤니티와 지역자산``, ``지역발전``의 공간 개념이 적용된 정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odel to revitalize Korean mountain villages by applying to 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ABCD) processes in Goesan, Chungbuk. The processes are 3 steps. The first step is to investigate community assets. 252 localcommunities in Goesan were investigated and it was figured out that 60 local communities had potential demand of using forest resources as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orest products. Second step is to organize people who can make a community development strategies related to utilize forest resources and push forward with plans. Through the idea contest for one month, 5 local groups` ideas were chosen. The last step is to make actually strategic plans for community development by using forest resources. 4 of 5 groups chosen by contest had been trained for 6 weeks and 4 plans were made, which are related to using forest road, forest tails and forest products. This study can be used to shift a paradigm in Korean forest policy from promoting forest resources to focusing on linkage local people, forest resources and community.

      • KCI등재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림 휴양 활동의 변화 요인

        장주연 ( Chuyoun Chang ),박소희 ( So-hee Park ),설아라 ( Ara Seol ) 한국산림과학회 202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10 No.4

        코로나19 발생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등 제재로 인해 일상과 여가생활이 변화되면서 산림 휴양 활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국내 산림 휴양 활동의 참여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파악하고 그 변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성인 남녀 1,000명을 표본 추출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상호작용항을 포함하는 이항 로짓 모형을 이용하여 코로나19에 따른 산림 휴양 활동 참여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으로서 녹지공간 방문, 숲 야외활동, 산촌 여행에의 참여가 모두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세 유형의 산림 휴양 활동에서 20대보다 40∼60대의 참여가 더 크게 감소하여 코로나19 이후 산림 휴양 활동 변화에서 연령이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소득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이후 숲 야외활동 참여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수도권 거주자들은 비수도권 거주자보다 산촌 여행 참여가 덜 감소하였다. 이것으로 볼 때 코로나19 이후 산림 정책은 2030세대의 새로운 산림 휴양 수요에 대응하고 안전한 야외 활동의 공간으로서의 산림과 산촌의 기능을 확대시키기 위한 정보의 제공과 공간관리가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ocial distancing affected daily life and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identified changes in people’s participation in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and factors affecting their participation. It collected data from 1,000 samples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zed it using a binary logit model with interaction term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ere decreases in the participation in visits to urban parks and green areas, outdoor activities in forests and mountains, and trips to mountain villages after the COVID-19 outbreak. People in their 40s, 50s, and 60s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all kinds of forest recreational activities than those in their 20s. Moreover, higher household income earners we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involvement in outdoor activities in forests and mountains. With respect to the place of residence, the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less likely to decrease their participation in trips to mountain villages than those outside this area.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online forest recreation information services and forest management are needed to meet the demands of forest recreation for young generations and diversify the function of forests and rural areas as a safe leisurely space.

      • KCI등재

        도시민 대상 귀산촌 교육 요구도 분석

        장주연 ( Chu Youn Chang ),김재현 ( Jae Hyun Kim ) 한국산림과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needs targeted at city dwellers with hope of migration to mountain areas. 80 city dweller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 program operated by Korea Forestry Promotion Institute were selected. Results showed that city dwellers had higher preference for the education including medium scale(20-40 persons)and the type of camp with field experience. Real experiences an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migration to rural area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the qualifications of the program teachers.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city dwellers wanted the teaching programs about ‘how to have forest land’, ’how to produce the forest products``, ‘field experience’ and ‘forest tourism’ and so on. In other words, city dwellers who wanted to move to mountain areas were interested in basic things for living. In addition, it will need to investigate people who have real experiences migrating to mountain areas and then it is necessary to discuss educational needs and supporting system helping people can settle in mountain areas.

      • KCI등재후보

        착유방식 및 지방 보충급여가 원유 및 지방특성에 미치는 효과

        주연 ( Ju Yeon Moon ),이전성 ( Jin Sung Lee ),경만 ( Kyeong Man Chang ),박성민 ( Seong Min Park ),박승용 ( Seung Yong Park ),정문웅 ( Mun Yhung Jung ),손용석 ( Yong Suk Son )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 2015 한국유가공기술과학회지 Vol.33 No.3

        AMS와 CMS 및 보호지방의 급여 여부가 우유 성분과 유지방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착유방식과 보호지방 급여 여부에 따라 AMS 및 CMS목장을 각 4개소씩 선정하여 월 1회 집합유 원유시료를 채취하였으며, 총 5개월간 유성분, 유지방구(MFG) 크기, 지방산 및 유리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착유방식에 따른 일반 유성분, MFG 크기, 지방산 조성의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AMS로 착유된 우유의 유리지방산 함량이 CMS로 착유된 우유에 비해 유의적으로(p<0.05) 높았으며, 이는 AMS의 착유 횟수가 CMS에 비해 더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호지방을 급여한 농장의 우유를 비급여 농장과 비교하였을 때 유성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장쇄지방산(LCFA)함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지방구의 크기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급여한 보호지방의 주요지방산인 LCFA가 유지방으로 전이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공시한 모든 AMS 목장에서 원유의 산패문제는 발생하지 않았는데, 유리지방산 함량이 CMS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산패를 일으킬 정도로 높은 수준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할 때 AMS는 유성분 및 유지방 특성의 측면에서 CMS 대비 주목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보호지방의 급여는 유지방구 크기 및 장쇄지방산농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목장형 유가공을 실시할 경우이를 응용할 여지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milking systems (AMS, automatic milking system and CMS, conventional milking system) and of supplemental fat feeding on milk composition and milk fat characteristics. The composition, MFG (milk fat globule) size, fatty acids (FAs), and free fatty acids (FFAs) of the milk from 4 AMS and 4 CMS dairy farm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milking system and feeding of protected fat. The milking system did not affect milk composition, MFG size, and milk FAs, but FFA content of AMS milk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MS milk. Feeding of protected fat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milk much higher in LCFAs (long chain FAs); however, the milk composition was not affected by fat supplementation. Cows administered protected fat supplements produced milk containing MFGs with a large average diameter.

      • KCI등재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ith aging

        장주연,강수경,어규식,홍정표,전양현,Chang, Joo-Yeon,Kang, Soo-Kyung,Auh, Q-Schick,Hong, Jung-Pyo,Chun, Yang-Hyun Th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 2012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Vol.37 No.3

        Previous studies of the relationship of TMJ signs and symptoms in elderly people have provided inconsistent finding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trospectively analyze the prevalence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Additionally, young subjects were examined as a control group. Forty old patients (28 female, 12 male, mean age: $65.2{\pm}2.5$ years) and forty young patients (30 female, 10 male, mean age: $23.3{\pm}2.6$ years) clinically diagnosed with TMD were screened. Patient records were analyzed regarding: pain on chief complain, amount of range of mouth opening, TMJ noises(clicking sounds, crepitus), pain on palpation of the TMJ and masticatory muscles and neck and upper back muscles.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ere assessed using t-test and the chi-squared test. (SPSS v.17) P value <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Geriatric subjects more often exhibited crepitus on mouth opening (25%), muscular palpation pain of masseter muscles (82.5%) and temporal muscles(60%). In contrast, young subjects more frequently exhibited joint sounds (62.5%), more amount of range of passive mouth opening (p=0.043). It was found that the younger subjects (82.5%) and the older subjects (87.5%) suffered from subjective sign (orofacial pain on chief complain).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orofacial pain (VAS) and the groups.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respect to joint sounds, muscular palpation pain and mandibular range of motion were significant. Although older subjects more frequently exhibited objective signs (crepitus on opening, pain on muscular palpation) of TMD, younger subjects more frequently objective signs (clicking sound on mouth opening, amount of mandibular range of motion). 노인층에서의 턱관절장애의 증상과 징후에 관한 이전 연구에서 일관된 결론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령에 따른 턱관절의 증상과 징후의 유병률을 분석하는 것이다. 젊은층을 대조군으로 평가하였다. 40명의 노인층 환자 (28명 여자, 12명 남자, 평균연령: $65.2{\pm}2.5$)와 40명의 젊은층 환자 (30명 여자, 10명 남자, 평균연령: $23.3{\pm}2.6$)로서 턱관절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로 진단받은 질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다음과 같은 평가기준을 적용하였다. 주관적 평가인 주소에서 구강안면 통증의 정도(VAS), 객관적인 평가에서 하악 개구 시 운동량, TMJ 관절잡음 (관절음, 염발음), TMJ 촉진 시 통증, 저작과 관련된 근육(교근, 측두근)과 목 근육, 견부근의 촉진 시 통증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두 그룹 간 차이점 분석은 t 검정과 카이제곱 검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SPSS v. 17) P 값이 0.05 이하인 것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보았다. 주관적인 평가에서 주소에 나타난 구강안면 통증 정도에서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객관적인 평가에서 노인층 환자에서 개구 시 염발음이 25%에서 관찰되었고 저작근 촉진 시 통증은 82.5%에서 관찰되었으며 측두근 촉진시에 60%에서 통증을 보였다. 반대로, 젊은층에서 62.5%에서 관절잡음이 관찰되었고 개구 시 좀 더 큰 운동량을 보였다. (p=0.043) 관절잡음과 촉진 시 근육 통증, 하악 운동량에서 두 그룹 간 차이는 현저했다. 노인층에서 TMD에 대한 개구 시염발음, 근육 촉진 시 통증이 자주 관찰되는 반면 젊은 층에서는 하악 운동 시 관절잡음, 운동 시 개구량의 증가가 보다 많이 관찰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