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변용과 스피노자의 정서와 이성

        장정연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3 철학·사상·문화 Vol.- No.42

        This study attempts to draw the affection of social worker based on the affect and reason that are the basis of Spinoza's philosophy of practice.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Spinoza's affect and reason based on the 3rd and 4th parts of 『Ethics』, and examined the affection of social worker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study found that the social worker's affect were generated by external causes, but the social worker's affection wasn't the only external causes. The affect and reason of social worker were being affected into the overdetermination of production of affect, the imitation of affects, the combination and preservation of Conatus, the power of affect and their usefulness to man, the usefulness of affect, and the control of affect. If social workers recognize themselves as a cause, it may provide a clue to move from passion to action in social work practice.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thical practice of social work.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정서와 이성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변용을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윤리학』 3부와 4부에서 제시된 정서와 이성의 구조에 따라 사회복지사의 변용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사회복지사는 동물매개활동이라는 외부원인에 의해 정서가 산출되었지만 사회복지사의 변용은 외부원인에 의해서만은 아니었다. 사회복지사의 정서와 이성은 정서 산출의 과잉결정, 정서 모방, 코나투스와의 결합과 보존, 정서의 힘과 인간에게 유용한 것, 정서의 유용성 및 정서들을 통제하기로 변용되고 있었다. 사회복지사가 자기 자신이 하나의 원인으로서 작용한다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수동에서 능동으로 갈 수 있는 실마리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사회복지의 윤리적 실천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변용과 스피노자의 정서와 이성

        장정연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6

        This study attempts to draw the affection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based on the affect and reason that are the basis of Spinoza's philosophy of practice.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e of Spinoza's affect and reason based on the 3rd and 4th parts of Ethics, and examined the affection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affect and reason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were being affected into the combination and preservation of affect and conatus, the power of affect, the foundation of a personal reasonable life, the foundation of a human reciprocal reasonable life, the evaluation of usefulness,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 reasonable life, the development of a human reciprocal reasonable life. It turns out that by combining the passive and active Spinoza speaks, that is, through passive affect and active reason,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must confront his or her life.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실천철학에 기초가 되는 정서와 이성을 토대로 정신장애인의 변용을 보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윤리학』 3부와 4부를 토대로 스피노자의 정서와 이성의 구조를 밝혀보고 이 구조에 따라 정신장애인이 어떠한 변용을 겪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정신장애인의 정서와 이성은 정서와 코나투스와의 결합과 보존, 정서의 힘, 개인적인 이성적 삶의 토대, 인간 상호적인 이성적 삶의 토대, 유용성 평가, 개인적 이성적 삶의 전개, 인간 상호적인 이성적 삶의 전개로 변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스피노자가 말하는 수동과 능동을 결합함으로써, 즉, 수동적인 정서와 능동적인 합리적인 수단을 통해 정신장애인이 자신의 삶과 대결해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 KCI등재후보

        중독과 들뢰즈의 반복의 문제

        장정연 한국중독범죄학회 2017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7 No.4

        중독은 구성의 산물이다. 들뢰즈는 관계적 힘의 구성을 반복에서 발생하는 차이의 역량으 로 풀어낸다. 중독은 시간의 차원에서 반복의 힘들로 구성되어 있다. 반복은 인간이 겪는 행 동으로서 차이의 역량이다. 중독을 들뢰즈의 반복의 문제로 구성하는 작업은 중독의 발생적 원리를 찾는 것이다. 이 과정은 리좀적인 영역에서 개념을 창조하려는 자세로 그 사이를 끊임 없이 다학문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독을 들뢰즈의 반복의 문제로 풀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예술작품과 들뢰즈의 문헌들을 통해 중독과 들뢰즈의 반복의 문제를 재구성하였다. ‘중독의 운명’, ‘중독과 반복’, ‘변경과 차이가 된 중독’, ‘다른 물질과의 마주침’, ‘차이는 반복이며, 반복은 차이다’. 중독의 발생적 원리는 관계적 힘들이자 차이소들을 만들어내는 어떤 마주침에서 찾을 수 있다. 중독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어떤 마주침은 중독 물질과의 마주침이 아닌 다른 장소와 시 간 속에서 다른 물질과의 마주침으로 이행하는 것이다. 중독에 관한 철학적 고찰을 통해 중독의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두 속성은 모순의 모양을 띠고 계속 나타날 것이다. Addiction is the product of composition. Deleuze solves the composition of the force of relation by the potentia of difference to occur in repetition. Addiction consists of the forces of repetition in the dimension of time. Repetition is the potentia of difference as human behavior. The task of constructing addiction as repetition of Deleuze is to find the genetic principle of addiction. This process is a continuous, multi-disciplinary connect to as attitude to create concepts in the rhizomatic domai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solve sense of addiction in Deleuze’s theory of repeti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constructs sense of addiction in Deleuze’s theory of repetition through works of art and Deleuze. ‘The fate of addiction’, ‘Addiction and repetition’, ‘Changed and differential addiction’, ‘encounter with other substances’, ‘Difference is repetition, repetition is difference’. The genetic principle of addiction can be found in any encounter that created force of relation. To Prevent Addiction Crime, any encounter is to pass to the encounter with the substance other than the encounter with the addictive substance. Through the philosophical review of addiction, two theoretical and practical attributes of addiction will continue to appear in the shape of contradictions.

      • 아도르노와 사회복지:「부정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장정연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8 No.-

        사회복지는 촘촘한 날줄과 씨줄로 연결된 관계들의 망 속에 존재하는 하나의 매듭이라 할 수 있다. 우리는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매듭을 풀기 위해 가능한 여러 생각들을 하고 다양한 학문들을 보고 읽고 듣고 하면서 가능성의 장으로 들어가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도르노의 이론과 실천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론과 실천 사이에서 계기 찾기가 가능한지 그 의문에 응답할 수 있는 사회복지의 새로운 도전이기도 하다. 여러 문제의식 속에서 사회문제들을 분석한 아도르노의 저서를 토대로 부정의 변증법이 지닌 사회복지적 함의에 주목하였다. 아도르노의 부정은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폐쇄적 사고가 아닌 사고의 계기를 찾을 수 있는 개방적 사고이다. 사회복지는 변화무쌍하여 우연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사건들이 무수히 많은 층을 이루고 있다. 사회복지는 사회에서 실현되기에 그 자체가 실천이고, 실천 속에서 작용하여 관계들의 망인 상호영향 속에서 이론이 생성된다. 생성된 짜임관계들을 풀어내기 위해 사회복지사는 의문을 던지는 자세가 필요하다. 사회복지에서 그의 비판이론을 통해 사회복지에서의 또 다른 실천 개입들을 이론과 실천의 접목이라는 차원에서 재구축해볼 수 있을 것이다. 실천이 자명하지 않더라도 자명할 수 있는 것은 실천과 이론이 가지는 모순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우리는 모순의 현상을 직시하여 그 현상 속에서 여러 논의들을 하며 또 다른 가능성을 펼쳐나갈 수 있어야 한다. 이를 부정의 사유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변화무쌍한 사회복지인 만큼 다양한 의미 속에서 그리고 다양한 층위에서 아도르노가 말하는 ‘부정사유’는 여러 함의를 우리에게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Social welfare can be said to be a knot in the network of relations that are connected by dense lines and lines. We must enter into the field of possibilities by reading various ideas, reading, and listening to various ideas to solve the complex kno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Adorno 's theory and practice. It is also a new challenge of social welfare that can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gauging is possible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ased on the book of Adorno analyzing social problems in the consciousness of various problems, he paid attention to the social welfare implication of the Negative Dialekt. Adorno 's Negative Dialekt is an open - minded thought to find an occasion of thought, not a fixed, unchanging, closed thought. Social welfare is changing, and there are innumerable layers of incidents and unpredictable events. Social welfare is practice itself in realizing it in society, and it works in practice and theories are created in the mutual influence of the networks of relations. The social worker needs an attitude of asking questions to solve the generated relationships. Through his criticism theory in social welfare, we can reconstruct another practice intervention in social welfare in terms of combining theory and practice. Even if practice is not self-evident, what can be evident is that it comes from the contradiction of practice and theory. We must be able to face this phenomenon, to engage in various discussions in the phenomenon, and to open up another possibility. I tried to find this out of the Negative Dialekt. As a changeable social welfare, Adorno's 'Negative Dialekt' in various meanings and on various levels can suggest various implications to us.

      • KCI등재

        청소년 사행성 게임행동의 유형과 영향요인

        장정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 No.

        본 연구는 청소년 사행성 게임유형과 영향요인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사행성 게임행동의 경험빈도를 조사하였고 사행성 게임 유형을 재구성하였으며 사행성 게임행동의 문제수준과 문제성 게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행성 게임유형과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4개 중학교에서 288명, 4개 고등학교에서 310명을 추출하여 총 8개교 59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18.0과 Mplus 3.0의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 그리고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생경험율이 82.3%, 지난 1년간 경험율은 72.7%로 많은 청소년들이 사행성 게임을 경험하고 있었다. 문제성 사행성 게임행동과 관련 있는 게임유형은 '카드'와 '판치기'였고 문제성 게임행동과 관련 있는 영향요인은 ‘비합리적 도박신념’, ‘접근성'과 '부의 도박행동'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사행성 게임행동 예방을 위한 차별화된 개입전략을 논의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ypes of gambling and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For this, this study surveyed experience frequency of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the types of gambling were reconstructed, problem gambling behavior and the levels of the gambling behavior problems that affect behavior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type of gambling game were identified.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include students who attend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Metropolis. They consist of 288 students from 4 middle schools and 310 students from 4 high schools, which is 598 in total out of 8 school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PSS 18.0 and Mplus 3.0 statistical programs were adopt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findings, which were clarifi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Lifetime prevalence of gambling was indicated to be 82.3%, adolescents, who experienced gambling in the past 12 months, were surveyed to be 72.7%, quite a number of adolescents were indicated to be experiencing gambling. Types of gambling related to problem gambling behavior included ‘Panchigi,’ and ‘card’.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problem gambling behavior included ‘irrational gambling beliefs', 'father's gambling', and 'accessi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can be discussed.

      • 비행또래의 의미와 사건의 철학

        장정연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2 No.-

        본 연구는 들뢰즈의 사건의 철학을 통해 비행또래를 이해하려는 것이다, 비행또래는 그 의미가 다수인 하나의 사건이다. 하나의 사물이 여러 의미를 가진다는 복수주의적 생각 속에서 보면 비행또래가 가지는 의미는 복합적이다. 비행또래라는 의미가 언어 안에 존속하지만 문제제기의 장에서 사물과 더불어 발생하기 때문이다. 들뢰즈의 사건의 철학은 사회복지실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오지는 않았지만 클라이언트를 새로운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 준다.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Deviant peer’ has based on the the Gilles Deleuze’s Philosophy of ‘Simulacre/Event’. Deviant peer is ‘Simulacre/Event’ is one of a number of sense. Sense about deviant peer is complex. Sense about deviant peer is because it happens with things in the problematic field. The Gilles Deleuze’s Philosophy of ‘Simulacre/Event’ and social work practice did not come close relationship with clients from a new perspective gives us the possibility to access.

      • KCI등재

        스피노자의 정서와 정신장애인의 정서

        장정연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8 철학·사상·문화 Vol.0 No.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affect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based on Spinoza's affect theory. This is to expose the physical and mental affection in the encountering the external object. It is because affects accompany certain external objects and they are exposed through affection. To this end, Spinoza's affect is described based on "Ethics", focusing on how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could undergo the physical and mental affections in compliance with the affect structure. According to Spinoza's affect structure,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were experiencing some affects through contingency, similarity, temporality, other dependency, affect imitation, the combination of the affect of love and hate and the affect of desire. This is to discover the potentia to realize the maximum ability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o exert their reason, and it is also challenge for both the mentally challenged people and the practitioners in the desire arising from true cognition for the potentia of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정서이론을 토대로 정신장애인의 정서를 보려는 것이다. 이는 외부 대상과의 마주침 속에서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변용을 드러내려는 것이다. 인간의 정서가 어떤 외부 대상을 반드시 수반하고 변용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피노자의 정서이론을 『윤리학』 3부에 근거하여 밝혀보고, 정서구조에 따라 정신장애인이 어떻게 신체적이고 정신적인 변용을 겪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정신장애인의 정서는 우연성, 유사성, 시간성, 타자 의존성, 정서모방, 사랑과 미움의 정서와 욕망의 결합 등으로 변용되고 있었다. 이것은 정신장애인의 이성의 발휘 능력을 최고치로 실현할 수 있도록 그 역량을 발견하는 것이다. 따라서 참된 인식에서 생겨나는 욕망은 정신장애인의 활동 역량을 위해 그들 스스로뿐만 아니라 실천가들도 응시해야 하는 과제이다.

      • KCI등재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정신장애인의 인지행동접근 효과

        장정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0 No.-

        This study is to see if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n helping the mentally ill in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is effective in the phase of intervention by adopting and analyzing single-subject system. AB Design was chosen for this purpose. Four mental patients, which were divided into two experiment subjects and two comparison subjects have been observed of development of their daily liv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n the baseline phase and intervention phase respectively. In the course of intervention phase cognitive-behavioral therapy was adopted to observe the experimental subjects only, after which intervention effect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kinds of subjects. And then the course of change was shown in graphs by using Singwin program, autocorrelation was checked out on the data observed before the delta value representing the t-test, mean, standard deviation, and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aily liv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of the two comparison subjects were seldom changed, while those of the two experimental subjects showed a little positive development, of which the effect size was analyzed to show around 50 % increase. Second, the adoption of triangulation in order to secure validity led to the steady upward learning curve in the phase of baseline and intervention. At last,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was proven by the fact that the mean scores after the research were higher than those before the research when the scores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were compared with respect to daily liv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 It might be hoped that this research on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 therapy using single subject system for the mentally ill would trigger similar researches on the mentally ill of social work practice field and, at the same time, would be of any help to those researches as a guide. 이 연구는 사회복귀시설에 있는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인지행동접근을 제공하고 개입 효과가 있는지 보기 위해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AB설계로, 기초선단계와 개입단계에서 정신장애인 4명을 실험대상 2명, 비교대상 2명으로 나누어 일상생활기능과 대인관계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실험대상에게만 개입단계에서 인지행동접근을 제공하여 비교대상과 실험대상의 개입효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SINGWIN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과정을 그래프로 제시하고 관찰된 자료에 대해 자기상관성의 유무를 파악한 후 t-test, 평균값, 표준편차, 개입의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delta값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비교대상 2명의 경우 일상생활기능과 대인관계기능이 거의 변하지 않은 반면, 실험대상 2명은 기능이 다소 향상되었고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50% 내외로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 측정방법의 결과 기초선단계와 개입단계에서 향상되는 기울기가 대체로 일관성 있게 나타났으며, 셋째, 일상생활기능과 대인관계기능에 관한 사전사후 검사결과, 실험대상의 경우 각각 사전 평균점수보다 사후 평균점수가 향상되어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단일체계설계를 활용한 인지행동접근의 효과성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많은 활용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중국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장정연,오인수,반지윤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dult attachment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Beijing, China, and the data from 358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a path model. The bootstrapping method and phantom variables were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overall and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respectively. This study deriv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secure adult attach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emotional clarity, and self-concept clarity. Second, emotional clarit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while completely mediated that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Third, self-concept clarity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on proneness, but did not mediate that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self-concept clarity in the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SNS addiction proneness and the pedagogic implication of adult attachment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