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복잡도가 높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설계를 위한 아키텍처 패턴과 적용지침

        장정란,라현정,김수동,Jang, Jeong-Ran,La, Hyun-Jung,Kim, Soo-D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9 No.1

        안드로이드 OS, iOS 등 여러 모바일 디바이스 운영체제를 통해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 운영하는 모바일 컴퓨팅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나아가 개인용 컴퓨팅 용도뿐 아니라 엔터프라이즈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도 사용될 것으로 예상한다. 그러나 모바일 디바이스는 자원의 제한성, 모바일 무선 네트워크 지원 능력 등 이전의 피처폰이나 개인용 컴퓨터에는 없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시에 모바일 디바이스가 가진 속성을 반영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반영하는 비기능적 요구사항을 충족시켜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설계 방법이다. 아키텍처 설계를 하기 위해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으로부터 아키텍처 비기능적 요구사항인 아키텍처 드라이버를 추출한다. 기존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는 여러 패턴 제공하고 있지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용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특징을 반영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아키텍처 패턴을 정의하고, 각 패턴을 설계하는 지침을 제안한다. 먼저,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의 특징을 정의하고, 이 특징으로부터 아키텍처 드라이버를 추출한다. 그리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아키텍처 패턴을 정적 뷰와 동적 뷰 관점으로 설명하고, 각 아키텍처 패턴을 적용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설계하기 위한 적용 지침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시된 아키텍처 패턴의 사례 연구를 통해 적용 가능성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아키텍처 패턴을 아키텍처 드라이버 별로 평가하고 또한 기존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아키텍처 패턴을 평가한다. Mobile devices with Android OS and iOS have been emerged as mobile computing devices where various software applications are deployed. Furthermore, they are anticipated to be used not only for traditional personal computing but also for enterprise computing. However, such mobile devices have their intrinsic characteristics such as limited resources and flexible network capabilities, which are not revealed in traditional computers. Hence, there is high demand for methods to develop mobile applications with reflecting their intrinsic characteristics. Since those characteristics belong to non-functional requirements, they should be reflected in architecture design while designing mobile applications. To design architecture, the architecture drivers that are architecture non-functional requirements are decided from mobile application characteristics. Conventional architecture design methods do not consider those characteristics so that the methods cannot be straightforwardly applied to mobile applications. In this paper, to efficiently develop mobile applications reflecting those characteristics, we propose a set of architecture patterns and define a guideline to apply those patterns. First, we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mobile applications distinguished and derive architectural drivers from them. Then, we propose architecture patterns in terms of static and dynamic views and define an architectural guideline to apply the patterns to designing architecture for mobile application. And, we perform case studies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proposed patterns. Finally, we assess the proposed architecture patterns by proving how the patterns can fulfill identified architecture drivers and by comparing our approach with previous work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역할갈등 및 극복력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장정란,정경희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2 Nursing and Health Issues(NHI) Vol.27 No.2

        This study researched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in traditional medicine hospitals in Korea by examining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role conflict, and resili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Methods: This study designed a descriptive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179 nurses from nine traditional medicine hospital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20, 2019.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ean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18.0 program. Results: We found positive correlation U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r=.17, p=.022), and between role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r=019, p=.013). The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were role conflict (=.24, p=.001) and emotional labor (=.20, p=.013 ). The model explained 11.0 % (F=5.11, p<.001) of nurses’ turnover intention in traditional Korean hospitals. Conclusio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ospitals need to decrease the degree of emotional labor and present clear roles of nurses based on clinical experiences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외국 선교회의 한국 선교 : 독일 베네딕도회의 원산교구 시대 German Benedictines in Wonsan(1920~1949) 1920~1949

        장정란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간연구 Vol.- No.7

        독일 베네딕도회의 한국선교 제2기에 해당하는 원산교구 시대의 교육활동에 관한 연구이다. 베네딕도회는 파리외방전교회에 이어 1909년 두번째로 한국에 진출한 외국 선교회다. 한국 최초의 남자 수도회이기도 한 베네딕도회는 문화적, 간접적 선교 활동을 표방하며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내한하여 서울 백동에 한국 가톨릭 교회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인 사범학교와 실업학교를 설립하였다. 그 후 1920년 함경남북도와 만주 지역을 관할하는 원산교구가 서울교구로부터 분할, 독립되자 교구 설정과 동시에 선교를 위촉받아 수도원을 원산 부근 덕원으로 이전함으로써 원산교구 시대를 열었다. 베네딕도회는 원산교구를 위임받자 교구사목을 담당할 사제 양성을 목적으로 1921년 서울수도원에 신학교를 세웠는데 이 학교는 원산 이전과 함께 덕원신학교가 되었다. 또한 1921년 원산에서 선교를 개시하며 빈민야학교인 해성학교를 세워 교육사업을 시작하였다. 이 학교는 포교 대상 을 위한 선교 수단이라는 점에서, 또한 당시 한국 사회가 가장 필요로 하는 교육을 통한 국민 계몽에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베네딕도회는 "성당이 있는 곳에 학교가 있다"라는 칭송을 들을 만큼 교육 사업에 전념하여 한국의 교육 발전에는 물론, 교육을 통한 선교 사업에도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 논문에서는 베네딕도회의 원산교구 시대 역사를 교구의 설립으로부터, 그 발전, 1949년 공산정권에 의한 강제 폐쇄에 이르기까지 고찰하였다. 특히 일제 치하인 이 시기에 베네딕도회가 한국인의 교육에 기울인 노력과 활동을 덕원신학교와 해성학교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그 의미와 의의를 분석하였다.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German Benedictines in Wonsan during the second period of their Korea mission. The German Benedictine, being the second foreign missionary committed to Korea in 1909 after the French MEP(Socie'te' des Missions Etra'nge'res de Paris), formed the first monastery in Korea. The Benedictine missionaries, established the first advanced educational institutions of the Catholic church in Korea when they opened a teachers' school and a vocational school at Baekdong in Seoul right after their arrival in Korea, as a long-term strategy of cultural and indirect mission. However, when the Wonsan area including the whole Hamkyung Provinces and the Manchuria was separated from Seoul diocese, to form a new Wonsan diocese in 1920, this new diocese was endowed to the German missionaries, whereupon the Benedictine monastery moved to Dukwon by Wonsan, and a new era of Wonsan diocese has opened. After the commission of Wonsan diocese to the Benedictines, the German missionaries have launched a seminary in Seoul in 1921 to educate priests for the new diocese, which became later Dukwon Seminary after their move to Wonsan area. With the commencement of their missionary activities in Wonsan in 1921, they also opened Haesung night school for the impoverished population, which step was very significant as a means of mission in view of the fact that an enlightenment of the Korean people through education was most urgently needed at that time. The Benedictine missionaries, successful in their educational activities, could achieve advances not only for the general development of education in Korea, but also, in their mission in Korea, to earn a praise, "Where there is a Catholic church, there is also a school!". The present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activities of the Benedictine mission during the Wonsan period, cover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Wonsan diocese to closing thereof by the communists in 1949, by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their missionary activities in the examples of Dukwon Seminary and Haesung Schoo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