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객체 구분에 기반한 풍경화 렌더링

        이태민(Taemin Lee),이호창(Hochang Lee),장재니(Genie Jang),윤경현(KyungHyun Yoon) 한국HCI학회 201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Painterly Rendering is one area of Non-Photorealistic rendering. It is the skill that seems similar to paintings using 2D or 3D model data such as pictures. When painters draw, they observe objects in a long time. However, previous works only use single scene, so they have limit that cannot express the objects' attributes. To contrast, this paper use observative information. For this, we first analyze motions and classify the objects. And then do rendering depend on analyzed information. This skill has an advantage that express landscape. 회화적 렌더링은 비사실적 렌더링의 한 분야로 사진과 같은 2차원 영상 혹은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가가 손으로 그린 듯한 영상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회화를 그릴 때 화가는 그릴 대상을 장시간 관찰 한 후 이를 이용한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한 장만을 사용하여 대상의 느낌을 확실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찰 정보를 활용한다. 이를 위해 영상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객체 단위로 나눈 후에, 이를 객체와 움직임에 맞게 렌더링한다. 이 기법은 회화적 렌더링중 특히 풍경화를 나타내는데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