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남극 지의류 Ramalina terebrata로부터 분리된 라말린의 미백효과

        장윤희 ( Yun-hee Chang ),류종성 ( Jong-seong Ryu ),이상화 ( Sang-hwa Lee ),박선규 ( Sun Gyoo Park ),하리다타바타라이 ( Hari Datta Bhattarai ),임정한 ( Joung Han Yim ),진무현 ( Moo Hyun Jin ) 대한화장품학회 201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8 No.3

        남극 지의류인 Ramalina terebrata에서 분리 정제된 라말린(γ-glutamyl-N'-(2-hydroxyphenyl)hydrazide)은 이전 연구에서 강력한 항산화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라말린의 추가적인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암세포 세포주인 멜란에이 세포를 이용하여 라말린의 멜라닌 합성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라말린은 세포 독성이 없는 농도에서, 멜란에이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이러한 효과는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백제인 알부틴보다 우수하였다. 라말린은 무세포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을 직접 저해했을 뿐만 아니라, 세포 내의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다. 라말린의 이러한 멜라닌 합성 저해의 기전 연구를 위하여,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타이로시네이즈, TRP-1, TRP-2의 mRNA와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mRNA양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0.2 % 라말린을 포함한 제형을 사람피부에 도포하였을 때, 3주 후에 피부 밝기가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라말린은 타이로시네이즈의 직접적인 저해뿐만 아니라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효과를 인체시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라말린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Ramalin (γ-glutamyl-N'-(2-hydroxyphenyl)hydrazide) isolated from the Antarctic lichen Ramalina terebrata has been shown to have strong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previous study. To investigate additional activities of ramalin, we studied the effects of ramalin on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a non-tumorigenic melanocyte cell line. At a non-cytotoxic concentration, ramalin dramatically decreased melanin synthesis in melan-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which was more potent than arbutin, a well-known tyrosinase inhibitor. Ramalin inhibited cell-free tyrosinase activity directly an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s well. Its inhibitory mechanisms on melanin production were further assessed, and we found that ramali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tein levels of melanogenic enzymes such as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However, the mRNA levels of these enzymes were not altered. In a clinical study, application of 0.2 % ramalin on human skin significantly improved the degree of skin brightness after 3 weeks. In conclusion, ramalin has strong anti-melanogenic activity that is exerted both by the direct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by down-regulation of melanogenic proteins. Furthermore, ramalin showed skin brightening effect in a clinical study.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amalin may be a useful inhibitor for melanogenesis in skin.

      • SCOPUSKCI등재

        하퇴절단자용 단축식 발과 스포츠용 에너지 저장형 발 보행 특성 비교연구

        장윤희(Yun Hee Chang),배태수(Tae Soo Bae),김신기(Shin Ki Kim),문무성(Mu Seong Mun)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09 한국정밀공학회지 Vol.26 No.2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spatio-temporal parameters, joint angle, ground reaction force(GRF), and joint power according to the changes of gait speed for trans-tibial amputee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the energy-storing foot for sports. The subjects walked at normal speed and at fast speed, wearing a single-axis type foot (Korec) and an energy-storing foot for sports (Renegade)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Renegade yielded faster gait speed as well as more symmetric gait pattern, compared to Korec. However, as gait speed was in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inematics, ground reaction force, and joint power between two artificial foots. This was similar to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regarding the energy-storing foot, where the walking velocity and gait symmetry have been improved. Nevertheless, the result of this study differed from the previous ones which reported that joint angle, joint power, and GRF increased as the gait speed increased except spatio-temporal parameters.

      • SCOPUSKCI등재

        외측웨지인솔이 대퇴절단자의 무릎내전모멘트에 미치는 영향

        장윤희(Yun Hee Chang),이완희(Wan Hee Le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2 한국정밀공학회지 Vol.29 No.2

        The prevalence of knee osteoarthritis was higher people with lower limb amputation. This was identified that transfemoral amputees have a greater external knee adduction moment than ablebodied subjects by biomechanical studies. Therefore, they need rehabilitative intervention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knee osteoarthrit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lateral wedge insole used in th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This study was participated in fourteen unilateral transfemoral amputees and we were analyzed the difference gait variables between without lateral wedge insole and with 5° and 10° lateral wedge insole during gait. Our results showed that step length ratio was more symmetrical and, hip adduction and ankle inversion angle were more close to normal value, and knee adduction moment was decreased as the wedge angle increases. We proposed that these data would be utilized conservative treatment of knee osteoarthritis in lower limb ampute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오이로부터 분리된 cucurbitacin B의 미백 효능 연구

        장윤희 ( Yun-hee Chang ),추정하 ( Jung-ha Choo ),이소영 ( So-young Lee ),김태윤 ( Tae-yoon Kim ),진무현 ( Mu-hyun Jin ),장민열 ( Min-youl Chang ),이상화 ( Sang-hwa Lee ),이천구 ( Cheon-koo Lee ),박선규 ( Sun-gyoo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4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0 No.4

        효능이 우수한 신규 미백 소재 개발을 위하여, 민간 및 전통 미백 처방에 사용되어 온 오이(Cucumis sativus L.)에서 활성 물질 분획 추적 연구를 통하여 cucurbitacin B를 분리 정제하고, cucurbitacin B의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효과를 B16F1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해 확인하였다. Cucurbitacin B는 세포 독성을 보이지 않는 농도에서 실험한 결과, 멜라닌 생합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Cucurbitacin B는 mushroom tyrosinase의 활성은 직접적으로 저해하지 않았지만, 세포에 처리했을 때 세포 내의 tyrosinase의 활성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cucurbitacin B의 이러한 멜라닌 합성 저해의 기전 연구를 위하여, 멜라닌 합성에 중요한 단백질인 tyrosinase와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발현을 조사한 결과, cucurbitacin B가 tyrosinase와 MITF의 단백질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cucurbitacin B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암 발생 억제인자(tumor repressor) 및 Wnt/β-catenin 신호전달 과정에 대한 억제 기능이 밝혀진 WW domain-containing oxidoreductase (WWOX)의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킴을 추가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오이에서 분리 정제된 cucurbitacin B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s)에서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피부 미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 develop an effective skin whitening agent for cosmetics, we isolated cucurbitacin B from Cucumis sativus L. which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skin lighting regimen by the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and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ucurbitacin B on melanogenesis. At a non-cytotoxic concentration, cucurbitacin B reduced melanin contents of B16F1 melanoma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Cucurbitacin B did not directly inhibit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but it inhibited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ts inhibitory mechanism on melanin biosynthesis was further assessed, and we found that cucurbitacin B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tein level of tyrosinase, a major melanogenic enzymes and MITF, a master transcriptional factor of melanogenesis. In addition, cucurbitacin B increased the expression of WW domain-containing oxidoreductase (WWOX) which is known to function as tumor repressor and inhibits Wnt/β-catenin pathway.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curitacin B from C. sativus could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for skin whitening.

      • KCI등재

        사회적 경제조직과 CSV 관점의 소셜 비즈니스 사례 제안 연구: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장윤희 ( Yun Hee Chang )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社會科學硏究 Vol.41 No.3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경제조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민국은 2007년 사회적 기업 육성법의 제정을 시작으로 다양한 정책적 시도를 하고 있다. 기업의 CSV 활동은 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영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시장과 비즈니스 모델을 찾는 과정에서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으로, 취약계층 및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 연계, 공유, 창의적인 마인드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남한 국민들의 사회적 인식과 경제적 자립도에서 매우 열악한 탈북민을 대상으로, 그들의 강점을 활용하고 주변의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사회적 미션을 공유하여 성공시킬 수 있는 소셜 비즈니스 사례들을 개발하고, 분석 프레임워크에 대입하여, 비즈니스 핵심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탈북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ICT 기반의 소셜 협업 플랫폼 비즈니스, 유기농업 비즈니스, 북한 음식업 비즈니스 등 3개의 상이한 비즈니스 모델들이 제시되었다. 이는 정부, 지자체, 기업, 대학 및 전문가 멘토 등이 함께 자원을 연계하고 공유, 협력하여 시도 가능한 것으로서, 성공적인 사회적 경제조직 비즈니스 모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통일한국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탈북민들이 주체가 되어 경제적 자립도를 높이도록 하는 경제적 가치와,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사회적 가치를 제시하는 것으로서, 사회적 경제조직과 기업의 CSV 활동을 통해 소셜 비즈니스를 독려하고자 하는 탐색적 연구로서 의미를 갖는다. As interest in social-economic organization and CSV increases globally, this research focuses on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annually increasing in number but receive poor social acceptance and economic independency. It aims to utilize their strengths and with the support of various stakeholders, share social mission, develop social business models and substitute the cases in the business analytic framework, resulting in the deduction of core business factors. The research suggested 3 business scenarios: social cooperation platform based on ICT, organic farming business, and North Korean food busines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ith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These social business scenarios can be successful models of social-economic organization through the connection, cooperation and sharing the resources of the Korean government, local government, universities and expert mentors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e following research proposes social business models that promote social and economic values as an exploratory study. Economic value is to increase economic independency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would serve to accelerate reunification of Korea. Social values include promotion of positive social interest in vulnerable social groups, creation of social-economic organization in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contribute towards social unification, and offering CSV perspective social businesses.

      • KCI등재
      • KCI등재

        U-City 사업의 핵심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장윤희(Yun-hee Chang) 한국경영사학회 2010 經營史學 Vol.55 No.-

        최근 U-City 사업은 대한민국 성장동력 산업의 일환으로 전국 39개 지자체, 52개 지구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U-City 사업의 성공은 IT와 건설산업을 융합하여 발전시키고, 관련 산업들의 동반 성장을 가능하게 하며, 나아가 수출산업으로서 대한민국의 IT 현주소를 각인시킬 수 있는 잠재 가능성을 키울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U-City 본연의 성공적인 모습을 제시하는 성공사례가 부족하고, 제도적 및 관계자들의 의식의 문제로 큰 성과를 기대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구축되었거나, 구축 중인 국내의 6개 대표 U-City 사례들을 U-City의 핵심 부문인 개발방법론, 서비스 모델 및 통합 플랫폼, 그리고 도시 통합운영센터의 관점에서 면밀하게 사례분석 함으로써 U-City 사업의 주요 성공요인을 도출하여 U-City 사업의 지속적인 성공을 돕고자 하는것이다.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해 도출된 성공요인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U-City 사업 이해관계자들간의 합의와 적극적인 협력을 도모하는 일이다. U-City 사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즉 발주처, 운영 지자체, 건설사, SI 업체, 다양한 시설물 협력업체 등이 함께 수행하여야 하는 사업인 만큼, 그들이 함께 프로젝트를 관리해나갈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둘째, 다양한 U-City 민간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되며, 이를 현실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셋째, 건설과 IT를 융합하는 표준화된 U-City 개발방법론과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필요하다. 더불어 일정관리와 품질관리,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관리에 초점을 맞춘 프로젝트 관리가 정착되어야 한다. 넷째, 다양한 U-City서비스들과 구도시의 서비스들을 연계 및 연동시킬 수 있는 표준화된 통합 플랫폼이 조속히 제시되어 각 지역에서 상이하게 개발되고 있는 통합 플랫폼의 향후 문제 가능성을 차단하여야 한다. 다섯째, 향후에는 공공과 민간에서 제공하여야 할 서비스들을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U-City 서비스가 보다 활발히 수행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시통합운영센터가 본래의 취지대로 도시의 각 서비스 영역들을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자체의 센터 운영비 확보가 가능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과 다양한 유관기관들간의 조직적, 업무 프로세스적, 의식적 변화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U-City의 취지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보다 혁신적인 제도적 마련과 지원을 수행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바이며, U-City 관계인들에게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the six U-City implementation cases with focus on the framework of Development Methodology, U-City Service Models and Integrated Platform, U-City Management Center, in order to investigate major issues of concern and to provide core success factors. Devised success factors are as follows; firstly, achieving a census and complete cooperation among the stakeholders to ensure flowing progress of U-City project is crucial. Secondly,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and advanced U-City service models specifically designed for location of concern. Thirdly, provision of standardizedand organized U-City development methodology and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development industry and IT telecommunication industry as an integrated industry. Furthermore, Enhancement of schedule management and quality control via the means of officializ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s between U-City enterprises and urban development enterprises. Moreover, Promotion standardization of integrated platforms in order to link and ensure compatibility between U-City services and those of pre-generation cities as well as calibration of legal systems to optimize and secure operation costs of UMC(Urban Management Center). Also, ensuring of appropriate business backgrounds for private business enterprises and manageable divisionof roles of the public organizations and private enterprises should be emphasized. Finally, merging of various publicservices to ensure they function as one integrated UMC resulting in increased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he research, given the extensiveinvestigation into the varying perspectives of the stakeholders; U-City ordering body, SI enterprises, local governments, succeeds to provide effective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피부 마찰 소음 측정을 통한 피부 상태 연구

        장윤희 ( Yun Hee Chang ),서대훈 ( Dae Hoon Seo ),고아름 ( A Rum Koh ),김선영 ( Sun Young Kim ),임준만 ( Jun Man Lim ),한종섭 ( Jong Seup Han ),이상화 ( Sang Hwa Lee ),박선규 ( Sun Gyoo Park ),김양한 ( Yang Han Kim ) 대한화장품학회 2016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2 No.2

        화장품 사용 전후의 피부 상태는 주로 시각과 촉각 및 피부 구조에 기초한 정성적, 정량적 방법에 의해 평가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할 때 문지름으로 인한 마찰 소음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기반으로, 피부 문지름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여 청각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피부 상태 평가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무향 조건에서 고감도의 계측용 마이크로폰을 사용하여 피부를 문질렀을 때 발생하는 소리를 계측하였으며, 주파수 영역(1/3 옥타브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세정 전, 세정 후, 화장품 도포 후의 세 가지 피부 조건에 따른 소리의 스펙트럼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정 전보다 세정 후에 피부 문지름에서 발생하는 소리의 세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화장품 도포 후에는 문지름 소음의 총 세기가 가장 작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화장품 도포 후는 도포 전과 비교해볼 때, 2 kHz 미만의 저주파 대역의 에너지는 증가하며 반대로 2 kHz 이상의 고주파 영역의 에너지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변곡점이 발생하였다. 화장품 도포 후에 변곡점 근처에서 에너지 차이가 반전되는 이러한 현상은 피부의 물리적 모델인 풍선으로 해석되며, 저주파 영역에서의 소리 세기의 증가를 설명하기 위해 “유연함 지표”를 도입하고, 고주파 영역에서의 소리 세기의 감소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부드러움 지표”를 도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소리 측정을 통한 유연함 증가와 부드러움 증가는 각각 cutometer와 primos을 사용한 피부 유연함 측정과 피부 거칠기 측정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유연함과 부드러움 지표를 사용하는 청각에 기초한 평가 방법은 새로운 피부 상태 평가법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icacy of cosmetics has been mainly evaluated by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ased on visual sense, tactile sense and skin structure until now.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novel evaluation method for skin status based on sound; measuring and analyzing the rubbing noise generated by applying cosmetics. First, the rubbing noise was measured at a close range by a high-sensitivity microphone in anechoic environment, and the noises were analyzed by 1/3 octave band analysis in frequency-domain. Three conditions, 1) before washing, 2) after washing and 3) after application of cosmetics, were compared. As a result, sound pressure level (SPL) of rubbing noise after washing was larger than that of before washing, and the SPL of rubbing noise after cosmetic application was the smallest. Furthermore, the energy of rubbing noise after applic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before and after washing conditions in a low frequency band (lower than 2 kHz region). Conversely, the energy of rubbing noise after application was much lower than the others in a high-frequency band (upper than 2 kHz region). This change of energy distribution was described as a balloon-skin model. High SPL in the low frequency region after the cosmetic applications was due to the increase of “flexibility index”, while SPL in the high frequency region significantly decreased because of the attenuation which is related to “softness index”. Therefore, we developed two indices based on the spectrum-energy difference for evaluating skin conditions. This proposed method and indices were verified via skin flexibility and roughness measurement using cutometer and primo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oustic measurement of skin friction noise may be a new skin status evaluation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