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승우의 『생의이면』에 나타난 자기실현의 의미

        장순덕 ( Soon Deok Jang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0 No.-

        본고는 이승우의 『생의 이면』을 대상으로 분석심리학의 관점을 적용하여, 주인공이 유년의 상처를 극복하고 자기실현하기까지의 면모를 개성화 과정으로 고찰하였다. 『생의 이면』는 겹이야기 구조이다. 겉이야기의 서술자는 소설가 ‘나’이고, 속 이야기의 초점화자는 또 다른 소설가 박부길이다. 겉이야기 서술자 ``나``는 박부길의 삶과 문학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박부길을 인터뷰한 내용 및 그의 작품 등을 참고하여 성장담을 재구성한다. 개성화의 개념은 『생의 이면』에서 주인공 성장기의 전환점마다 겪는 문제에 대해 타당하고 이유 있는 해석적 근거를 마련해 준다. 이 과정의 첫 관문은 그림자 인식이다. 다음 단계로 남성에게 내재한 여성혼 아니마를 만나게 된다. 아니마는 자아가 무의식의 중핵인 자기와 통합하도록 이끄는 매개로써 성숙한 인격으로 성장하는데 핵심 역할을 한다. 박부길이 사랑한 김종단은 아니마 원형으로, 박부 길을 어둠의 세계에서 밝음의 세계로 이끌어준 구원의 여성상이다. 이에 박부길은 내면의 깊은데서 부정했던 아버지를 인정하고, 잠재된 창작의 능력을 발휘하여 작가로 거듭나, 불화했던 세상과도 화해하게 된다. 이로써 『생의 이면』은 박부길이 유년의 상처를 치유하고, 성숙한 인격으로 고 유한 정체성을 찾게 된 개성화과정 이면에, 신성한 빛이 내장되었음을 넌지시 보여준다. 더불어 자기실현에 이르기까지 종교적 인간 구원의 진리를 구현하려는 작가의 글쓰기 전략도 알 수 있게 된다. This article, focused on Black Side of Life written by Lee, Seung-woo and applying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is to study and contemplate the whole aspects as individuation process for an individual to overcome his infancy``s wounds, go through and endure not a few hardships and then achieve self-realization as a writer later in life. The structure of Black Side of Life is that of the metadiegetic narrative depicting a secondary narrative(intradiegetic) embedded within the primary, conscious narrative(extradiegetic). The extradiegetic narrator here is narrating ``I``, a novelist and the focualizor of intradiegetic narrative is Bak, Bu-gil, another novelist. To find out and reveal their correlations of Bak``s life and literature world, the narrating ``I`` reorganized his growth story through the contemplated and reflected process based on interviewed dialogues and with reference to his known literature, etc. The hero of Black Side of Life as a specific individual is showing Bak, Bu-gil``s growth story, its perspective supports and builds up the interpretative rationale which can explain in depth growing process of universal human beings. The first pass of this process starts from the shadow consciousness. In the next step, a man meets an anima, a female archetype, who helps make the conscious ego in the unconscious and the self of a nucleus in the unconscious integrated totally and in harmony. In the inside novel Kim, Jong-dan, loved by Bak, can be referred to as an anima archetype of internal personality. Kim functions an ministering woman who guides Bak, Bu-gil, situated in the darkness into the world of light. After Bak who rejected his father in the unconscious understands and admits him, his psychic stability subsequently helps him to be born again as a writer and to effect a reconciliation with the outside world. Thus, behind his individuation process it is shown that the sacred light is built-in indirectly and allusively by a way of implication. Furthermore the author``s strategy though process of completing self-realization the truth of religious human salvation is revealed in the black side of it.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버지 찾기’의 신화적 의미 분석 - 이승우 소설의 ‘아버지와 아들 관계’를 중심으로 -

        장순덕 ( Jang Soon Deok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4 No.-

        본고의 목적은 이승우 소설에서 ‘아버지와 아들 관계’에 나타난 갈등 양상에 주목하고, 이승우가 다루는 ‘아버지 찾기’ 모티프를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조명하여, 그 문학적 의미를 해명하는 데 있다. 작가는 아버지와 아들의 문제를 신과인간의 문제에 반영하여 메타포와 상징으로 그려내고 있다. 이와 같은 주제 분석에 앞서 소설의 인물들이 보이는 병리적 현상을 관찰하고, ‘앓는 자’의 자각과 남성의 내면에 활성화된 아니마 원형의 개념을 확인하였다. 이승우 소설에서 ‘부자의 갈등 관계’를 다루고 있는 대상 작품을 선정하여, 아버지를 기피하는 아들과 아버지를 찾아가는 아들의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부정적인 아버지상에 지배받아 아버지를 기피하는 아들을 다루는 작품은 「일식에 대하여」와 「터널」을 들 수 있다. 「일식에 대하여」의 아버지는 정신분열증자로 아들의 우울증과 두통의 원인이었다. 「터널」의 아버지는 방탕한 세월을 보낸 인물로, 아들은 아버지로 인한 울화 때문에 공황장애를 앓고 있다. 아버지와 아들이 대극적 관계에 놓이는 상황에서, 아들의 내면에 활성화된 아니마는 부자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화해하는 매개로 기여하였다. 아니마는 종교적 구원을 상징하는 여성성으로 앓는 자의 자각을 유도하며 존재의 변화를 이끌어냈다. 「풍장-정남진행2」에 등장한 아들의 죽음의례는 리비도 변환을 유발하여 작품의 전환점을 보여주고 있다. 아버지를 찾아가는 아들의 변모는 『한낮의 시선』과 「칼」에서 볼 수 있다. 정신적 성숙에 도달한 아들이 찾는 아버지는 육화된 관념으로 노인의 이미지로 그려내고 있다. 분석심리학적 이해에서 노인의 이미지는 무의식의 신상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무의식의 대면에서 아니마의 활성화는 분열된 자아가 아버지(신상)와 합일을 지향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이로써 ‘앓는 자’가 온전한 자기를 찾는 원리는, 신화적 상상력을 통해 ‘아버지찾기’가 인간의 신성(존엄성) 회복을 암시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This thesis focused on patterns of conflict seen in the Father-Son Relationships from Lee, Seung-woo``s Novels, reviewed Finding Father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and aimed at explaining its literary meanings. The Author in them depicts metaphors and symbols reflecting problems between father and son into those between god and human. Prior to such thematic analyses, pathological phenomena between characters were in-depth viewed and then the concept of the Anima Original vitalized within the moaning man``s perception and man``s inner side was identified. For its main discussion, other related novels by Lee, Seung-woo portraying father-son relationship conflicts were selected and then the divided aspects into the son avoiding father and another searching for father were analyzed. The chosen works that describe the son avoiding father under the control of the negative father image are About Eclipse and The Tunnel . The father in About Eclipse , a schizophrenic, is the cause of tristimania and headache. Another in The Tunnel having led a dissolute life has caused his son to suffer panic disorder arisen from his anger and resentment caused by father. Under the father-son``s opposite relationship, the vitalized anima within the son``s inside contributed as the mediacy to overcome their conflicts and effect a reconciliation. The anima as womanhood symbolizing the religious salvation, inducing the moaning``s perception, led to drawing change of existence. The son``s death ritual shown in Sky Burial: Toward Jeong-nam-jin Ⅱ , by effectuating the libidinal transformation, reveals the turning point in it. The son``s changed reflections searching for father are seen from 『Hannaje Siseon (Mid-day``s Gaze) 』and The Knife . The father being sought by the son in full maturity is portrayed as an old man image, the notion of carnification. From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the old man image was interpreted as an unconscious god image. It was observed that the anima``s vitalization in unconscious confrontation was aiming at the divided ego``s unity with father(the divine image).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inciple that the moaning man finds his complete self indicates that finding father through mythological imagination is reflecting humans beings`` restoration of the god image(the divinity).

      • 韓國産 天然沸石의 開發에 關한 硏究 (Ⅰ) : 天然沸石의 土壤改良劑로서의 利用 Utilization of natural seolite as the soil conditioner

        張南日,崔炡,張淳德 慶北大學校 새마을硏究所 1978 農村과 科學 Vol.1 No.-

        本校 演習林에 材積表를 만들기 위하여 標本点法으로 標準木을 求하고 이들의 算出 材積을 가지고 材積式을 만들어 보고자 하였고 이것을 다시 山林廳 材積表와 比較 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演習林의 材積式은 V=0.0000499·D^2.2396·H^0.5023이다. 2. 山林廳式과 연습림式에 依한 材積 차이는 극히 작으나 演習林의 材積式을 他 林分에 適用하면 一定한 直徑에 對하여 樹高가 작으면 過大値, 反對로 樹高가 크면 過小値를 가져다 주므로 演習林에 서만 使用 해야된다. 그러나 地位가 良好한 곳에 있어서는 어디서나 使用이 可能할 것으로 생각 한다. Enormous amounts of natural zeolitic rocks has been found in the wide areas covering Yongil and Wolseong Gu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natural zeolite, considering it's high capability to adsorb cations and water, to be used as the soil conditioner. With 1 ton/10a application of zeolite powder, Milyang 21, rice variety, increased its yield by 4-7%, and yield of apple fruit by 21%. Further, the price of zeolite powder is not so expensive that zeolite can have good qualification to be used the good soil conditioner to improve the poor conditions of sandy soils.

      • 감의 利用에 關한 硏究 (第七報) : 品種에 따른 炭酸가스 脫澁에 對한 條件調査 Investigation of the Conditions in the Varieties on the Removal of Astringency by Treatment with Carbon dioxide

        孫泰華,成宗煥,張淳德 慶北大學校 새마을硏究所 1978 農村과 科學 Vol.1 No.-

        慶北地方에서 많이 生産되고 있는 品種中 7個品種의 澁枾를 選定하여 品種에 따른 炭酸가스 脫澁에 對한 適性調査로서 脫澁中 可溶性 tannin의 變化, 硬度 및 糖의 變化와 아울러 脫澁後의 品質에 對하여 調査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고령수시를 除外한 모든 品種의 可溶性 tannin含量은 200∼300mg%였으며 脫澁所要日數는 고령수시, 경산반시, 대구반시가 3日, 고종시 수종시가 4日, 그리고 둥시와 먹시는 5日 所要되었다. (2) 脫澁後 硬度는 대구반시와 경산반시가 가장 높았으며, 먹시, 둥시는 脫澁 5日 經過後 2.0 kg/㎠이하였다. (3) 糖의 含量은 品種間에 많은 差異가 있었으며 脫澁에 따라 減少하는 傾向이었다. (4) 脫澁後 軟化現象은 먹시, 둥시, 수종시에서 일어났고 黑斑發生은 먹시가 4日 고종시와 둥시는 5日부터 發生하였다. 이상의 結果 대구반시, 경산반시, 고령수시는 脫澁에 따른 品質維持가 良好하였으나 먹시, 둥시, 수종시, 고종시에 대해서는 氣本組成을 달리한 脫澁最適條件 調査가 要求되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reseach the different conditions in the varieties on the removal of astringency with carbon dioxide, using seven varieties selected in private, which were all produced in Kyung pook District, and the changes of their soluble tannin, hardness and sugar content, as well. In addition, we observed the changes in quality on the removal of astringency. The result wers as follows; In all varieties investigated but Goryung Susi, soluble tannin content were 200mg% to 300mg%, and under the atmosphere containing 60-70% CO_2 and 6-8% O_2, the time required for the removal of astringency were 3days in Goryung Susi, Kyungsan Bansi and Daegu Bansi, 4 days in Gojongsi and sujongsi, 5days in Dungsi and Muksi, respectively. Two varieties, Daegu Bansi and Kyungsan Bansi, were stronger in hardness than the others, as the astringency was removed. That of Muksi and Dungsi determined by the hardness meter was less than 2.1kg/㎠, 5days after the removal of astringency. Sugar content was found different withe the varieties,and decreased after the removal of astringency. Partial-softening following the removal of astringency was recognized in Muksi, Dungsi and Sujonsi. Black spots were found in 4 days on the fruit of Muksi varieties, 5days in Gojongsi and Dungsi, respectively. Under these Astringency-removing treatments, it was shown that Daegu Bansi, Kyungsan Bansi and Goryung Susi were more suitable than the other. So, in the other varieties, different treatmonts should be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