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회복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장세린(Chang, Se rin),정윤경(Chung, Yun-kyoung)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초등학교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과 그 회복과정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권침해 교사의 경험을 통해 교권침해 문제해결을 어렵게 하는 학교의 구조적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공론화를 통해 학교 차원에서 교권침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연구방법은 경험 당사자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들려줄 수 있는 자문화기술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침해경험과 회복과정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침해경험은 교권침해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는 학교 시스템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보여주고, 학부모와 학생에 의한 교권침해 경험을 보여준다. 교권침해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은 첫째, 관리자 교체와 더불어 공론화를 위한 연구자의 노력으로 학교 차원의 연대 형성이 가능했고, 둘째, 학부모와 관계 회복 셋째, 교사로서의 권위와 수업권 회복이 필요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침해 문제를 공론화하고 학교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을 가진 관리자가필요하다. 둘째, 암묵적 능력주의에 젖은 교직 사회의 분위기와 교사들의 인식이 변화할 필요가있다. 셋째, 교권 보호를 위한 절차 중심의 해결 방식이 수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권 회복의 최종 목표는 수업의 정상화이며, 교사의 원활한 수업을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고민해 볼필요가 있다 This papers aims to shed light o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and its recovery process.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the structural mechanisms of schools that make it difficult to solve problems of teachers’ rights infringem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ers’ rights violations,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at the school level through public discussion, not by individual teachers. For the research method, autoethnography was adopted as it could effectively speak the voices of experienced pa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argely described as damage experiences and recovery processes. The damage experience shows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school system that make it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and shows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by parents and students.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the challenge against teaching authority implicated first, it was possible to form a solidarity at the school level with researchers’ efforts to make public discussions along with the replacement of managers, second, restor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hird, recover the authority and teaching rights of teach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manager with transformative leadership is needed to have public discussion on and resolve the issue at school level. Second, the attitude relying on implicit competence in teaching society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need to change. Third, procedure-oriented solutions to protect teaching rights should be revised. Lastly, the final goal of restoring teachers’ rights is normalization of classes, and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support is needed to help teachers lead their classes seamles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