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도시공간점거와 직접행동 민주주의

        장세룡(Jang, Se-Yong) 부산경남사학회 2016 역사와 경계 Vol.99 No.-

        90년대 이래로 도시공간점거는 신자유주의 자본이 장악한 도시에 새로운 활기와 의미를 부여하는 저항 전술로서 출현했다. 2011년 9월〜11월 사이에 전지구적으로 ‘점령하라’고 외치며 전개된 공간점거 운동은 국경과 문화를 넘어서 형식에 전혀 구애 받지 않는 ‘액체 저항’의 갈등과 협력의 행동주의를 구현하는 연대의 공동체를 표명했다. 이는 ‘전지구적 차원에서 사고하고 로컬 차원에서 행동하라’는 로컬리티 연구의 기본 명제를 구성적 헤게모니 공간에서 실천한 사례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로컬과 전지구의 관계라는 공간규모에 한정 된 분석을 넘어서 시민행동, 행동주의와 개인, 후기자본주의 정치의 양상을 드러낸 공간의 정치지리학에 주목하도록 이끈다. 이 연구는 특히 주코티 파크 점령 사건을 중심 사례로 삼고서 다음과 같은 지점에 주목했다. 첫째, ‘점령하라’ 운동이 지배계급의 사적 공간을 점유해서 대안적 공유공간을 생성하고 상호차이와 유대감을 소집단회의나 총회에서 조율하며 확인한 점에 주목했다. 둘째, 공간점거 운동이 조직과 권력의 유지구조를 확보하기 보다는 극적인 수행성의 순간에 관심을 기울인 점, 곧 점거자들이 구호와 기호로서 차이를 반복하는 재현 또는 비재현적 수행성이 사회적 장소성과 공간성을 생산하는 정치적 수행성의 지리학을 성찰했다. 세째, ‘진정한 민주주의’ 실현을 목표로 삼은 활동가들의 현실 비판과 저항, 이념과 실천 행동을 검토한다. 그 결과 일상과 정치적 행위에서 실천 규범의 반복이 민주주의적 주권과 정치적 주체성을 생성하는 과정과 한계를 탐색했다. ‘점령하라’ 운동의 공간은 자본이 장악한 도시공간의 소위 ‘정상적 배치’ 곧 거래, 유통 및 공공기능 등을 전복하고 그 공간이 기존에 확보했던 논리를 ‘우회’하여 민중의 힘을 물질화하고 이를 인터넷과 트위터로 적극 선전하여 정치적 효과를 극대화했다. 점거공간은 개방된 소집회와 총회, 민중 확성기, 발언자 추첨 등으로 ‘토론 공간’을 유지하며 일상 활동에서 급진적인 평등을 실천하며 능동적이고 수행적인 직접민주주의가 실현되는 공간을 출현시켰다. 또한 지배적인 공적공간의 통제에 도전할 뿐 아니라 천막, 야영, 인터넷 배너, 예술 활동 등의 작업은 외부자와 잠재적 지원자들에게 결속력 있고 ‘자발적 질서’를 구현하는 생생한 증거로서 가시적 정체성을 제공했다. 그와 같은 조직 활동은 지도자나 계서제가 없는 비형식적이고 수평적인 형식이었다. 그러나 그 내부에는 계급, 교육수준, 종족성, 섹슈얼리티, 성별에서 구성원 사이에 숨겨진 위계와 계서제에 대한 가부장적인 물신화도 존재하는 역설도 나타났다. ‘점령하라’는 정치적으로 소위 ‘합의적’ 정당정치, 다양한 정체성의 정치, 전통적인 혁명정치 양식과 거리를 유지하고, 기존 국가구조의 통제와 장악을 목표로 삼지 않고 전체 사회정치적 구조의 정당성에 도전했다. 운동의 유지에 필요한 특수한 요구나 강령을 비롯한 이념적 구조틀의 부과를 거부하고 새로운 의식과 행동노선의 출현에 개방된 자세를 유지했던 ‘점령하라’ 사건은 ‘비실체적’ 상상의 공동체를 사고할 계기를 제공했다. Various efforts of anti-globalization movement accumulated since the 90s contributed to the rise of a specific form of action called space occupation. The Occupy movement, which occurred throughout the world between September and November in 2011, is connected to the practice of locality study in that the activism of conflict and cooperation of ‘fluid protests’ expressing new joint communities beyond borders and cultures "think globally and act locally" in a structurally hegemonic space. In addition, the Occupy movement deserves attention beyond an analysis limited to a spatial scope, namely the relation between the local and the global for its implication of political geography of space, which generated capital market ethics, citizen actions, and political aspects of post-capitalism. Analyzing the case of Occupy Wall Street in New York City"s Zuccotti Park, this study covers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is study takes note of how the Occupy Movement generated a common space by occupying the private space of the ruling class and also coordinated and confirmed differences and fellowship among occupiers through small group meetings or general meetings. Second, this study reflects on the fact that the Occupy Movement paid attention to moments of dramatic performance rather than securing of the maintenance structure of organization and power. In other words, this study examines the geography of political performance where the difference of occupiers as slogans and signs and the repeated (non)representational performance generates social placeness and spatiality. Third, this study considers the criticism and resistance, ideology and practices of activists who aimed for the realization of "real democracy". Consequently, it explores the methods through which repeated practice guidelines in everyday life and political behaviors generate democratic sovereignty and political subjectivity. The space in the Occupy Movement overturned ‘the normal placement’ of city space such as transaction, circulation and public function, materialized the power of the people by ‘bypassing’ the existing spatial reasoning, and maximized political impact. The occupied space brought into life an active and performative space of equality where direct democracy is realized by maintaining ‘discussion spaces’ with open small group meetings and general meetings, people"s mic and speaker drawing, and by practicing radical equality in everyday encounters. In addition, it not only forced war on the control of predominant public space, but its works such as tents, camping, internet banners, and art activities, as vivid proofs to cohesive and ‘autonomous order,’ provided the outsiders or potential supporters visible subjectivity. In terms of its organization activities, there was a strong voice to realize radical equality in the form of informal and horizontal organization void of leader or hierarchy. Yet, a paradoxical phenomenon was also observed as there was a patriarchal reification of hidden ranks and hierarchy among its members depending on class, educational level, ethnicity, sexuality, and gender. Politically, the Occupy Movement maintained its distance with the so-called ‘consensual’ party politics, the politics of diverse identity, and the traditional revolutionary politics. It did not aim for the control and domination of existing state structure but rather challenged the legitimacy of the whole social-political structure. The Occupy Movement, which rejected to impose specific demands or an overall ideological framework necessary to maintain the movement and rather maintained an open attitude to the emergence of new consciousness and action lines, generated an ‘insubstantial imagined community.’

      • KCI등재

        일상의 리듬분석 -쇼핑센터와 기차역을 중심으로-

        장세룡 ( Se Yong Jang ),신지은 ( Ji Eun Shi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2 역사학연구 Vol.46 No.-

        이동성(mobility)은 현대의 일상을 구성하는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이다. ``시공간 압축``으로 표현되는 교통과 통신의 이동성은 인간의 표상체계, 문화형식, 철학적 감성을 비롯한 사회적 경험과 관계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이동성은 이동(mobile)과 정지(cease)의 반복으로 구성되고, 그 과정에서 ``리듬``을 생성한다. 이 연구는 일상의 리듬을 분석하여 현대 사회의 일상성, 장소성, 시공간성을 탐구하는데 목표를 둔다. 현재 일반적인 일상의 리듬은 복합적이며, 거기에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규정력이 작용하고, 기본적으로 그것은 테일러주의로 표상되는 창조적 차이 없는 반복적 생산을 안정된 리듬으로 고착시킨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소비가 자본주의의 중심요소로 부각되면서 이동성의 리듬이 본질적 변화를 겪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앙리 르페브르의 ``리듬분석`` 이론틀을 검토하고, 둘째로는 쇼핑센터로 대표되는 소비 공간에서 일상의 리듬이 자본의 속도에 어떻게 포섭되고 반응하는지 살펴본다. 끝으로, 신기술공학이 생성한 가속도 이동은 일상의 리듬을 가속화시키고 이것은 소비자본주의의 화려한 외양과 결합한 새로운 복합리듬을 생성시키고 있다. KTX와 통근열차가 오가는 기차역에서 반복되는 이동성의 리듬이 인간과 물질, 환경에 작동하는 방식을 심리지리적 방향에서 검토한다. Our daily lives consist of complex rhythms. Concerns over rhythm are connected with the sense of dailiness, temporality, spatiality, and locality. The acceleration in mobility caused by new technologies is quickening the daily rhythm. The rhythm in capitalist consumption spaces, such as shopping malls, has been won over by the rhythm of capital, turning into a simply repetitive one without resistance or change. The capitalist production method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Taylorist conveyer belt, solidify repetition as a stable rhythm leading to no creative change at all. Fancy appearances and fast changes associated with consumerism ultimately result in boredom. This is because boredom is related not to speed but to rhythm. However, with occasional slowness and harmonious rhythm, our daily lives emerge from such boredom. In this study, we focus on reality, where the mobility of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 represented by space-time compression, creates great change in social experiences and networks, including the representation system, cultural form, and philosophical sensibility. In this study, we also examine how the human rhythm responds to the speed of capital in consumption spaces. we study how that rhythm was won over by and resist speed. In addition, taking a ``psychogeographical`` perspective, we review the effects of repetitive rhythms-found in 24-hour shopping malls and commuter train stations in particular-on human materials and environments. Lastly, we explore how local spaces that restore humanistic rhythm can be establish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