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서 단토의 컨템퍼러리 아트에 대한 분석 – ‘예술 패러다임’의 이후에 나타나는 세 가지 특징

        장민한 현대미술학회 2019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3 No.2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Arthur Danto's concept of 'contemporary art' is more persuasive than the other 'Contemporary Art' argument, that focus on a topic or trend. Danto defines the contemporary art as art after the ‘end of art.’ I explain the "end of art" that Danto claims as a kind of paradigm shift. Introducing the concept of ‘paradigm’ could help clearly explain what he calls the ‘contemporary art’ and easily understand what is different from modern art. First, I explain why Danto's ‘contemporary art’ is defined as art after the end of the fine art paradigm. His argument calls for a different way of looking at art from the 1960s. I explain the objective basis for this paradigm by linking it with the concepts of ‘narratives,’ and ‘artworld.’ Seco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meaning of ‘the end of the fine art paradigm, I compare Duchamp's Readymade and Warhol's Pop Art. Although Duchamp has produced the work of art which is perceptually indiscernible from real object, he believes it is still dominated by the fine art paradigm. On the other hand, Warhol knew that even though they were perceptual unidentifiable objects, artworks give different experiences from real objects. Warhol moved away from the fine art paradigm and created an artwork. Third, the contemporary art era calls for a different art practice from the era of the fine art paradigm. It calls for changes in the art production, art criticism, and museum system. In the age of contemporary art, artists who are freed from the burden of history are free to produce art in any way they wanted. while criticism in the age of the ‘fine art’ paradigm was constrained by the theoretical reflections of what art is, criticism today can be said to be the work of ascertaining what role it plays in the art world. Museum of art in the contemporary art age should be a communication space that can give insight into the various values of life. 본 논문에서는 아서 단토의 ‘컨템퍼러리 아트’ 개념에 대해 분석했다. 아서 단토의 경우 컨템퍼러리 아트를 ‘예술의 종말’ 이후의 미술로 정의하고 있다. 연구자는 단토가 주장하는 ‘예술의 종말’을 일종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규정했다. ‘예술 패러다임’ 개념을 도입하게 되면, 그가 말하는 ‘컨템퍼러리 아트’가 함축하는 의미가 무엇인지, 그리고 컨템퍼러리 아트가 모던 아트와 무엇이 다른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첫째, 연구자는 단토의 ‘컨템퍼러리 아트’를 예술 패러다임 종말 이후의 미술로 규정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그의 주장은 60년대 팝아트 이후의 미술에 대해 그 이전에 미술을 바라보던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바라보도록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 패러다임의 객관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 ‘예술 패러다임’을 ‘서사’와 ‘예술계’ 개념과 연결시켜서 설명했다. 둘째, ‘컨템퍼러리 아트’ 시기의 미술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를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 뒤샹의 레디메이드와 워홀의 팝아트를 비교했다. 워홀은 ‘예술’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서 미술 제작을 했다고 볼 수 있고, 이에 반해 뒤샹은 실제 사물로 미술을 제작했지만 ‘예술’로서 경험은 실제 대상의 경험과 다르다는 점을 여전히 믿고 있었다. 셋째, 컨템퍼러리 아트 시대에는 ‘예술 패러다임’ 시대와는 다른 미술 실천을 요구한다. 미술제작, 미술비평, 미술관 제도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컨템퍼러리 아트의 시대에는 역사의 짐에서 벗어난 미술가들은 자신이 원하는 어떤 방식으로든 자유롭게 예술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예술 패러다임’ 시대의 비평이 ‘예술이 무엇인가’라는 이론적 반성에 구속된 비평이었다면, 컨템퍼러리 아트의 비평은 한 대상이 어떤 이유로 예술계의 구성원이 되었는지 확인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컨템퍼러리 아트 시대의 미술관의 전시는 삶의 다양한 서사에 의해 결정된다. 이 시기의 미술관은 삶의 여러 가치를 통찰할 수 있는 소통 공간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한국 동시대 극사실 회화의 평가 방식과 서사 유형 분석

        장민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An Analysis of the Evaluation Method and Narrative Typesof Korean Contemporary HyperrealismMinhan J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value of Korean contemporary hyperrealism paintings and to explain how they can be evaluated with examples. At first glance, hyperrealism paintings look like photographs, but in order to gain artistic value, they must create an illusion different from the representations created by the actual object. In order to evaluate the value of hyperrealism painting works, it is impossible to use the ‘practiced eye’, which is an evaluation standard in the modern era, and a new evaluation standard is urgently required. As a research content, it i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success value’ and ‘narrative’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value of hyperrealism painting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 philosophy of criticism, and explains how actual value evaluation is possible through case studies of Korean contemporary hyperrealism paintings since the 2000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argued that the concepts of ‘success value’ and ‘narrative’ can reasonably explain the objectivity and diversity of evaluation of hyperrealism paintings. It presents three types of narratives that can evaluate Korean contemporary hyperrealism paintings.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providing an appropriate standard for evaluation of hyperrealism paintings that are popular in art fairs. Key Words: Hyperrealism Painting, Evaluation, Criticism, Success Value, Narrative 한국 동시대 극사실 회화의 평가 방식과 서사 유형 분석장 민 한* 요약: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동시대 극사실 회화의 가치평가 방법론을 제시하고 실제 어떻게 평가가 가능한지 그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데 있다. 극사실 회화는 언뜻 보면 사진처럼 보이나 예술적 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실제 대상이 만들어낸 표상과는 다른 환영을 만들어내야 한다. 극사실 회화작품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더니즘 시대의 평가 기준인 ‘훈련된 눈’으로는 불가능하고 새로운 평가 기준이 시급히 요구되는 상황이다. 연구 내용으로 비평철학 문헌 연구를 통해 ‘성공 가치’와 ‘서사’ 개념이 극사실 회화의 가치 평가에 유용하다는 점을 제시하고, 2000년대 이후 한국 동시대 극사실 회화 작품들의 사례 연구를 통해 실제 가치 평가가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한다. 연구 결과, ‘성공 가치’와 ‘서사’ 개념이 극사실 회화작품 평가의 객관성과 다양성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한국 동시대 극사실 회화 작품을 평가할 수 있는 3가지 유형의 대표 서사를 제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아트 페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극사실 회화에 대한 가치 평가의 적절한 기준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극사실 회화, 가치평가, 비평, 성공 가치, 서사 □ 접수일: 2022년 5월 30일, 수정일: 2022년 6월 10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조선대학교 부교수(Professor, Chosun Univ., Email: watch55@naver.com)

      • KCI등재

        고등학교 교과서 『미술 감상과 비평』에 대한 비판적 분석

        장민한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2

        This paper aims to critically analyze whether the high school textbook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is described to meet the goals of the subject. Today is the time when anything can be a work of art. Aesthetic properties are not essential elements that art works should have. The currently publishe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textbooks of the three publishers do not fit the practice of art criticism in this era. I point out the parts of these textbooks that are not suitable for art criticism today, and I explain what the problem is through examples of works, and present solutions. As a result,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oday, it is essential to correctly understand contemporary art works to distinguish and describe aesthetic objects and artworks. Second, it was suggested that although today is an era when anything can be an art work, it can still secure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Thir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 should be divided into surface interpretation and deep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students understand contemporary art criticism correctly.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 『미술 감상과 비평』이 해당 교과의 목표에 충족되도록 기술되었는지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그 목표를 두고 있다. 동시대 미술은 모더니즘 미술과는 다른 원리로 제작된다. 오늘날은 무엇이든지 미술작품이 될 수 있는 시대이다. 미적 속성이 미술작품이 갖추어야 할 필수 요소는 아니다. 현재 출간된 세 출판사의 『미술 감상과 비평』은 무엇이 든지 미술이 될 수 있는 시대의 미술비평 실천에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이 교과서들의 내용 중 오늘날 미술비평에 적합하지 않은 부분을 지적하고, 어떤 점이 문제인지를 작품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그 해결책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위해 출간된세 교과서를 분석하고, 비평철학의 관련 문헌을 연구하여 해결책을 도출한다. 그 결과, 첫째, 오늘날은 미적 대상과 미술작품을 구분하여 기술하는 것이 동시대 미술작품을 올바로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라는 점, 둘째, 오늘날이 무엇이든지 미술작품이될 수 있는 시대이지만 여전히 가치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 셋째, 작품의 해석을 작가의 의도에 의해 구성되는 표층 해석, 그리고 다양한 방법론에 따라 추가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는 심층 해석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가 다음에 출간될 개정판 『미술 감상과 비평』에 반영된다면 학생들의 동시대 미술비평을 이해하는데 일말의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한국 동시대 인터랙티브 아트의 평가 근거로서 서사에 대한 연구

        장민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at 'narrative' is a useful concept as an objective basis for evaluating the value of Korean interactive art, and to present three representative narrative types of interactive art. Unlike traditional media works, interactive art is complet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audiences and works. The excellence of the work is determined by the success value of determining whether the goal of the work has been achieved. This paper explains that narrative is suitable as a frame to confirm the existence or absence of success value of interactive art, presents the representative narrative types of Korean interactive art, and explains how actual value evaluation is possible with this. For this study, the literature on philosophy of criticism was analyzed, and suitable works among Korean interactive works were studied as example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narrative' is a useful concept for confirming the success value of interactive art in that it can explain both the objectivity and relativity of evaluation. Second, three representative narrative types that can evaluate the value of Korean interactive art were presented: "Insight of the world through interaction," "Self-styling through interaction," and "Expansion of Play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appropriate criteria and critique methodology for actually determining the aesthetic value of interactive art works.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인터랙티브 아트의 가치평가를 하기 위한 객관적 근거로서‘서사’가 유용한 개념이라는 점을 설명하고, 인터랙티브 아트의 세 가지 대표 서사 유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전통적 매체의 작품과 달리 관람객과 작품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작품이 완성된다. 해당 작품의 탁월성은 작품의 목표가 성취되었는지의 유무를 따지는 성공 가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랙티브 아트의 성공 가치의 유무를 확인해 줄 수 있는 틀로서 서사가 적합하다는 점을 설명하고, 한국 인터랙티브 아트의 대표 서사 유형을 제시하고 이것으로 실제 가치평가가 어떻게 가능한지 설명한다. 이 연구를 위해 비평철학 문헌을 분석하고, 한국 인터랙티브 작품 중 적합한 작품을 그 사례로 연구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평가의 객관성과 상대성을 모두 설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서사’개념이 인터랙티브 아트의 성공 가치를 확인하는 데 유용한 개념이라는 점을 제시했다. 인터랙티브 작품에 대한 반응은 감상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감상자의 경험을 가지고는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없고, 그 작품이 특정 서사의 목표를 성취했는지의 여부에 따라 작품의 예술적 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한국 인터랙티브 아트의 가치평가를 할 수 있는 세 가지 대표 서사 유형으로‘상호작용을 통한 세상의 통찰’ 서사, 그리고‘상호작용을 통한 자기 스타일화’서사,‘상호작용을 통한 유희 경험의 확장’서사를 제시했다. 본 연구가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의 미학적 가치를 판단하는데 적절한 기준과 비평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미술비평에서 다원주의와 가치 평가의 문제

        장민한 한국미학회 2003 美學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ne pluralism and evaluation in art criticism. One of its important issues is the justification of an artwork's evaluation. In the age of modern art there was such a strong belief that artworks have their own unique value. However the advent of artowrk which borrows an image from others or non-artistic things leads us into the doubt about artworks' unique value and reliable criteria. The first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re is a crietrion n the evaluation of artworks. I argue that there ar various criteria. The appropriation of images frustrates the attempt to find out a unique value in art's form or its content. Due to the diversity of values in artworks, they should be evaluated on the basis of how well they achieve their objectives. I conclude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artworks in the same way and that it is far more reasonable to evaluate in the pluralistic way, rather than in the monistic one. The second question is about how to evaluate artworks in the pluaralistic way. I examine the pluralistic way through A. Danto's thesis. His "End of Art"thesis does not allow unique values of artworks. Therefore contemporary art is considered as a free state of arts. I assert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artworks only when one creates artworks with the same objective and the same mode of representation. Finally I emphasize that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artworks only with perceiving the appearance of artworks.

      • KCI등재

        순수미술의 위기와 단토에 있어서 미술의 종말

        장민한 한국미학회 2002 美學 Vol.3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Danto's end of art thesis and to evaluate his diagnosis of visual art of the day. I regard a situation of visual arts today, especially pure arts as a crisis. Because the advent of the artwork which borrows an image from other artworks or mere real thing brought about the confusion of an artwork's evaluation, and then the crisis of the identity of a pure art which is distinguished with applied arts, since the advent leads to a doubt about the reliable criterion in an artwork's evaluation, and the loss of the peculiarity of pure art. According to A. Danto's end of art thesis, he looks on the loss of the peculiarity of pure art not as a crisis, but as a free state of arts, in which anything you like becomes an art, we need to examine A. Danto's end of art thesis to evaluate his diagnosis of visual art today. We above all need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end of art in his thesis, and then to define the critical points of his thesis. A. Danto sees art history as the master narrative of an internal development of art, and after the invention of Pop art the narrative had come to an end. Today is the pluralistic state in which there are no more progress in visual arts. I show you that his thesis is not philosophical assertion, but empirical assertion, so soundness of his assertion depends upon constructed models which narrate art practices. finally if there are more proper models which have not the end of art, today is not the situation of the end of art which A. Danto assert.

      • KCI등재

        애양원(愛養園) 한센병 환자 자치조직의 형성과 공동체의 성격 변화(1910-1940)

        장민한,유연실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10 No.1

        애양원은 1909년 광주에서 한센병 치료를 목적으로 설립된 나요양소를 모체로 한다. 광주 나요양소는1909년 선교사 포사이트가 나주 남평에서 발견한 한센병 환자를 광주로 이송하면서 치료를 시작했으며, 1912년11월 15일 한센병 환자 전문 수용기관으로 정식 개원하였다. 광주 나요양소는 1926년 도시민들의 반발로 여수 율촌면의 신풍반도로 이전하였다. 1962년 이후 애양원은 한센인 정착촌의 형성과 소아마비 중심의 진료체제로의 전환 속에서 환자공동체가 점차 해체된다. 애양원은 일제시기 기독교 나요양소의 대표적인 모델로서 환자 자치조직의 운영과 자활 노동을 통한 경제적 자립이 두드러진 특징으로 나타난다. 본고는 애양원의 환자 자치조직의 운영에 주목하여 크게 두 가지 측면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 애양원 환자자치조직과 교회 권력의 관계를 시기별로 검토하여, 환자공동체의 성격 변화를 고찰하였다. 애양원은 광주 나요양소시기(1910-1926), 여수 애양원 시기(1926-1934), 일심회 사건과 김응규 목사 퇴진 운동 이후 시기(1934-1940)까지의 역사적 변천 과정을 겪는 동안 그 성격이 ‘선교사 중심의 신앙공동체’에서 ‘환자 중심의 생활공동체’로 변화하였다. 이는 애양원이 운영지도부(병원ㆍ 교회)와 환자 자치조직의 관계에 따라 공동체의 성격이 변화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주 나요양소의 환자 자치조직은 선교사의 지도하에 성장했으며, 환자들의 우두머리인 회장도 병원장에 의해 임명되었기 때문에 독립적인 권력을 형성하지 못했다. 1926년부터1934년까지는 집행위원회(부장회)를 중심으로 환자 자치조직이 성장하면서, 교회 권력과 자치조직이 서로 대립하는 일도 벌어졌다. 이는 1934년 반교회적 일심회 사건과 1938년 김응규 목사 퇴진 운동으로 표출되었다. 그러나 일심회 사건 이후 1936년 환자 자치조직이 재편되고, 병원장이 일부 집행위원에 대한 임명권을 확보한다. 이를 통해 병원장의 환자 자치조직에 대한 견제와 통제가 강화되고, 교회 권력과 환자 자치조직의 운영이 일원화되면서 신앙공동체적 성격이 회복된다. 둘째, 애양원 한센병 환자들의 주체성을 검토하였다. 애양원 내에서 환자들은 신앙을 통해 교회 권력에 접근하였고, 11개 부서(시기에 따라 변화)의 장을 환자들이 선출하여 집행위원회(부장회)를 구성하였다. 환자가 자치조직의 대표(집행위원/ 부장)를 직접 선출하여 애양원의 운영에 참여했다는 점에서, 환자들은 교회 권력에 대한 견제가 가능했다. 또한 환자들은 노동 자활을 통해 경제적 자립을 도모하고 가정사를 구축하여 가족단위의 삶을 영위할 수 있었다. 환자 자치조직의 자율성은 교회 권력의 견제 속에서 축소되기도 하였지만, ‘부장회’와 같은 환자 자치조직의 자율적 운영은 환자들이 ‘투표권’을 행사하며, 주체적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중요한 경험을 제공했다.

      • KCI등재

        한국 동시대 추상회화의 가치평가 근거로서 서사 구분

        장민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Narratives as the Basis forEvaluation of Contemporary Abstract Paintings in KoreaMinhan J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at “narrative” is a useful concept as a basis for evaluating the artistic value of contemporary abstract painting works and to present two representative narrative types that can explain the value of contemporary abstract painting works in Korea. Today,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new forms of abstract painting are being produced, and digital technology is capable of reproducing, transforming, and generating abstract images with development. Now, it is impossible to evaluate abstract painting only with “practiced eyes”, an evaluation standard in the modernist era, and new standards are required.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tudy of critical philosophy literature asking the objective possibility of evaluation, and a case study of representative works among contemporary abstract paintings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narrative” is a useful concept in that it can reasonably explain the diversity of critics’ evaluations of a work while providing minimal objective evidence. And as representative narratives of contemporary abstract painting in Korea, first, the narrative of the invisible structure of the world, second, the narrative of the inner formation through spontaneity. Through this study, it contributes to providing a useful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artistic value of various abstract painting works produced in various media, including digital media. Key Words: Abstract Painting, Criticism, Philosophy of Criticism, Narrative, Evaluation 한국 동시대 추상회화의 가치평가 근거로서 서사 구분장 민 한** 요약: 본 논문의 목적은 동시대 추상회화 작품의 미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근거로서 ‘서사’가 유용한 개념이라는 점을 설명하고, 한국 동시대 추상회화 작품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는 두 가지 대표 서사 유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오늘날은 다양한 매체의 발달로 새로운 형식의 추상회화가 제작되고 있을뿐더러 디지털 기술이 발전에 따른 추상 이미지의 복제, 변형, 무한 생성이 가능한 시대이다. 지금은 모더니즘 시대의 평가 기준인 ‘훈련된 눈’만 가지고는 추상회화의 평가가 불가능하고, 새로운 기준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 연구는 가치평가의 객관적 가능성을 묻는 비평철학 문헌 연구, 그리고 한국 동시대 추상회화 중 대표 작품에 대한 사례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서사’ 개념이 한 작품에 대한 평가의 다양성을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면서도 최소한의 객관적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개념이라는 점을 제시했다. 그리고 한국 동시대 추상회화의 대표적 서사로서 첫째, 세계의 비가시적 구조의 형상화, 둘째, 자발성을 통한 내면의 형상화를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매체를 포함한 다양한 매체로 제작되는 추상회화 작품들의 미학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기준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핵심어: 추상회화, 비평, 비평철학, 서사, 가치평가 □ 접수일: 2022년 3월 11일, 수정일: 2022년 4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20년 조선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 조선대학교 문화콘텐츠학부 부교수(Professor, Chosun Univ., Email: watch55@naver.com)

      • KCI등재

        ‘미술의 종말’ 이후의 미술관 역할과 정책

        장민한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role and policy of museums of the day. The role of museums keep paces up with times, especially the idea of visual arts of those days. The idea of contemporary arts has changed after the erosion of modernism's values. We need a proper idea of contemporary arts to define the role of museums of today. We analyze Arthur Danto's idea of contemporary arts to find a valid concept of arts and museums of the day. His theory of arts not only adequately explains arts of today as the pluralistic scenes of contemporary arts, but also demands changes of art museums. First of all, We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the idea of visual arts and museums of those days. Second, We elucidate Danto's theory of arts and then draw the idea and role of museums of today from his theory. Thirdly, according to his concepts of contemporary museums, we try to define the policy in connection with the exhibition and collection in museums of today. I conclude that the proper roles of today's museums can be found through A. Danto's end of art thesis and their policies can be carried out in the pluralistic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