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 능력의 암묵적 믿음 구성 타당도 검증: 청소년 남자 축구선수 대상 심리구인의 차원성 및 변별력 검토

        장도진(Jang, Dojin),황수웅(Hwang, Soowoong),김용세(Kim, Yongse),박일혁(Park, Ilhyeok)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20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능력 믿음 척도에 내재한 두 가지 구성개념(증진믿음 혹은 실체믿음)의 차원성을 검증하고, 이론적으로 가정된 두 가지 상반된 개념이 암묵적 믿음의 개인차를 변별하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차원성 검증을 위해 수집된 설문자료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관찰된 속성에 따른 측정대상의 분류의 타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암묵적 이론의 차원성은 상반되는 2가지 요인을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인적 요인분석모형의 관찰변인으로 실시한 군집분석 결과 3개의 군집 중 1개의 군집에서 증진믿음과 실체믿음이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고, 나머지 2개의 군집에서는 두 가지 암묵적 믿음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능력 믿음 척도의 구성개념에 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해당 측정 도구의 실제적 유용성을 내포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mensionality of the two constructs (incremental or entity belief) implied in the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Athletic Ability Questionnaire,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two conflicting constructs would discrimin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licit theory about athletic ability. For this purpos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mensionality of the variable, and then a cluster analysis was followed to examine whether the conflicting multi-dimensional beliefs can discriminate personal differences.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dimensionality of implicit theory implies two conflicting factors.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in one of the three clusters, the incremental and the entity belief showed opposite results, and in the other two clusters, the two implicit beliefs were not clearly distinguish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factors and clusters using the data can be used as a evidence for the validity of the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the athletic ability questionnaire, which may propose a follow-up study that implies the practical usefulness of the measurement tool.

      • KCI우수등재

        축구 지도자의 코칭행동 중 확증 편향의 경험과 대처 탐색

        장도진 ( Jang Dojin ),권성호 ( Kwon Sungho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3

        이 연구에서는 지도자의 확증 편향을 코칭행동을 중심으로 한 의사결정의 맥락에서 경험하게 되는 하나의 과정으로 보고, 지도자의 코칭행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확증 편향적 의사결정에 대한 경험과 대처 등의 상호작용방식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성인 및 청소년 축구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지도자 11명을 대상으로, ‘코칭행동 중 확증 편향에 대한 인식과 그에 대한 대처, 그리고 그것이 지도자 및 선수에게 미치는 영향’이란 주제에 관한 반구조화된 개인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뒤,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인과적 조건은 기존 지식과 가치에 따른 고정관념으로써, 이는 성공경험 강화, 리더십에 대한 주변의 기대, 위기의식의 부재와 같은 맥락적 상황에서 확증 편향이라는 중심현상을 발생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기존신념 강화 및 신규정보 탐색 중지로 구성된 축구 지도자의 확증 편향은 인간이 지닌 보편적인 인지적 편향으로써 스스로 그 자체를 자동적으로 지각하기는 어렵지만, 주요타자의 조언,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 신규정보에 대한 접근성, 실패 경험에 직면과 같은 중재 조건에 따라서 이에 능동적 대처 혹은 수동적 대처와 같은 상호 전략으로 대처하게 되며, 그 결과는 확증편향이 극복되거나 지속된다. 제시된 연구 결과는 축구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내재된 확증 편향의 존재와 그 심리적 기전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스포츠 현장에서 역동적으로 진행되는 코칭행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요한 인지적 편향에 대해서 지도자 스스로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이는 확증 편향 극복의 전제이자 시발점(start-point)이 될 것이며, 지도자 의사결정의 정확성과 합리성을 더욱 도모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confirmation bias is experienced from the view point of the coaching behavior in coaches who have been making judgement and decision making in their sports tea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 from 11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been coaching football players on the fiel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grounded-theory of Strauss & Corbin(1998). According to the evidence of the grounded-theory, it consists of the 13 core-categories extracted from the result that is divided into 155 concepts words and 27 sub-categories, and these constructed the paradigm model of the research. In the contextual situation such as a reinforced experience of success, an others’ expectation to coaches’ leadership, and a lack of sense of crisis, the coaches’ stereotype based on their philosophy in soccer and coaching is the causal condition that makes the phenomena of confirmation bias in coaching behavior. The coaches’ confirmation bias, which consists of sticking to pre-existing beliefs and stopping the search for new information, is a universal cognitive bias that human-being has. With the intervening condition, however, such as an advice from others, a democratic system of decision making in teams, and an accessibility to new information, coaches can cope with the phenomena of confirmation bias by using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active or passive responses), and the result is that the confirmation bias is overcome, or sustained. The research findings could stimulate sport coaches in field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confirmation bias in coaching behavior and explore the more effective coping strategy with it.

      • KCI등재

        운동선수의 절실함과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 검증

        권성호 ( Sungho Kwon ),장도진 ( Dojin Jang ),이도흥 ( Doheung Lee ),이승주 ( Seungjoo Lee ),김태우 ( Taiwoo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0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1 No.4

        목적: 본 연구는 운동선수의 절실함과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429명의 운동선수를 대상으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최종 418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26.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절실함의 하위요인 중에서 인내와 극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운동선수의 절실함은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몰입 또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절실함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에서 운동몰입을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운동선수의 절실함이 높을수록 운동상황에 더 몰입하게 되어 자신의 경기력 수준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perception of athlete Julsil, flow,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athletes. Method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factor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and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data of 418 athletes excluding missing values. The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Perseverance and overcoming, the sub-factor of Julsil, was identified to be higher than the other sub-factors of Julsil. Second, Julsil of an athlete had a positive correlation on flow and perceived performance, and also flow and perceived perform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Third,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ulsil and perceived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flow was also noted. Conclusion: Julsil was a source of flow in the context of sport, and it could be a prior variable for peak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