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간질 발작후의 혼란상태 Ⅰ예

        장광철,박민철 圓光大學校 醫科大學 神經精神科學敎室 1991 圓光精神醫學 Vol.7 No.1

        Authors reported a case of postictal confusional state which suffered from confusional mental state, auditory and visual hallucination, loosening of association, incoherent thinking and impulsive and destructive behavior etc. after a few times of continuous convulsion abruptly and summarized diagnosis and treatment of it. We reported this case for the purpose of attempting to solve some difficult problems with its diagnosis and treatment in psychiatric emergency.

      • KCI등재

        퇴적물의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를 활용한 북극 고환경 복원

        장광철,남승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23 Ocean and Polar Research Vol.45 No.2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Arctic Ocean due to global warming have been linked to extreme climate change in mid-latitude regions,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requir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Arctic climate system based on the paleo-analog. This review introduces three paleoenvironmental research cases using neodymium isotopes (143Nd/144Nd, εNd) measured on two different fractions of marine sediments: silicate-bound ‘detrital’ and Fe-Mn oxide-dominated ‘authigenic’ fractions. In the first case, detrital εNd in core HH17-1085-GC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northern Svalbard was used for tracing changes in sediment provenance and associated glacier behavior over the last 16.3 ka. The second case showed the potential use of authigenic εNd as a quasi-conservative water mass tracer. Three prominent εNd peaks and troughs observed in core PS72/410-1 from the Mendeleev Ridge in the western Arctic Ocean over the past 76 ka suggested episodic meltwater discharge events during 51~46, 39~35 and 21~13 ka BP. The last case proposed the 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authigenic and detrital εNd as a proxy for reconstructing glacier fluctuation. The idea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nhanced glacial erosion during glacier advances can supply sufficient freshly-exposed rock substrate for incongruent weathering, potentially leading to greater isotopic decoupling between bedrock and dissolved weathering products as recorded in detrital and authigenic εNd, respectively. Thus, it would be worthwhile to take advantage of sedimentary εN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past environmental changes in polar regions.

      • KCI등재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다면적 인성검사 특성

        은헌정,이선미,장광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4 신경정신의학 Vol.33 No.2

        본 연구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 정상인을 의미있게 구별하여 주는 다면적 인성검사 반응 특성을 확인하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 내의 다면적 인성검사 프로화일 특성을 분류하고자 시도하였다. 연수 대상은 1991년 1월부터 1993년 3월까지 전주 예수병원에 입원 또는 외래로 내원한 외상후 스트레서 장애 환자 45명과 정상인 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이 L척도를 제외한 모든 척도에서 정상집단보다 의미있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2) 판별 분석에서 두 집단을 잘 판별해주는 척도는 D, Mf, Pt,Si척도이고, 이 척도들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을 88.9% 정확헤게 판별해 주었으며, 정상 대조군은 94.5% 정확하게 판별해주었다. 3)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의 다면적 인성검사 반응을 군집 분석한 결과 3개의 하위 집단이 추출되었다. a. 첫번째 집단은(54.3%) L, F, K척도의 프로화일이 역전된 'V' 형태이고 Hs, D, Hy, Pd , Pt, Sc척도의 점수가 60년에서 71점 사이의 점수를 보이고 있다. b. 두번째 집단은(36%) L, F, K척도의 점수가 47점에서 56점 사이의 범위를 보이고 있고, 모든 임상 척도가 42점에서 59점 사이의 점수를 보이고 있는 정상 프로화일이었다. c. 세번째 집단은 (11.1%) L, F, K척도가 56점에서 70점의 점수에 속하고, Mf척도를 제외한 모든 임상척도들이 60점에서 80점의 점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면적 인성검사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군을 구별하는데 신뢰할만한 판별력을 가진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MMPI responses which significantly discriminate between the PTSD and the normal on the basis of MMPI scores. And it was designed to classify the types of MMPI profiles in the PTSD. Subjects were 55 healthy control and 45 PTSD who were inpatient or outpatient in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91 to March, 1993.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MMPI subscales, except L scale, PTSD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normal group. 2) In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D, Mf, Pt, ans Si that discriminate these two groups. Also, it classified 88.9% of PTSD group and 94.5% of normal group correctly. 3) Three subgroups were extracted from the PTSD by cluster analysis of MMPI. a. The first subgroups(54.3%) showed a profile which T score of L, F scale configured a reverted "V" pattern, and T scores of Hs, D, Hy, Pd, Pt, and Sc scale belonged to the range of 60 to 71 point. b. The second subgroup(36%) showed a normal profile which had L, F, and K scale with normal range of 47 to 56 T score and all clinical scales with 42 to 59 T score. c. The third subgroup(11.1%) showed a profile which had L, F, and K scale belonged to the range of 56 to 70 T score and all clinical scales belonged to the range of 60 to 80 T score except Mf scale. These findings suggest MMPI has a remarkable discriminant power in PTSD group.

      • KCI등재

        입원한 정신분열증 환자의 우울과 불안 : Longitudinal Study According to the Level of GAF 전반적 기능평가 척도 수준에 따른 종단적 연구

        박민철,장광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2 신경정신의학 Vol.31 No.3

        Forty schizophrenics who had been admitted to Wonkwang University Neuropsychiatric Hospital from August 1990 to February 1991 were rated for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three times longitudinally, when their GAF scores reached 30 and below, 31 and over and 40 and below, and 41 and over. At each time, the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were assessed by using self rating scales (SCL-90-R, SDS, and STAI-I) and objective scales(BPRS, HDS, and HA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or the depression, the schizophrenics showed significantly low depression scores on the self-rating scale(SCL-90-R : DEP) and all of the objective rating scales(BPRS : DEP, HDS) according to their GAF scores reached the above levels(p〈0.01). 2) For the anxiety, the schizophrenics showed significantly low anxiety scores on the self-rating scale(SCL-90-R : ANX) and all of the objective rating scales(BPRS : ANX, HAS) according to their GAF scores reached the above levels(p〈0.01).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as the functioning level improved depression and anxiety also improved.

      • 성분별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 차이를 활용한 스발바르 빙하 거동 복원 연구

        장광철(Kwangchul Jang),안영규(Youngkyu Ahn),조영진(Young Jin Joe),손영주(Yeong Ju Son),김정현(Jung-Hyun Kim),남승일(Seung-Il Na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퇴적물 내 자생성(authigenic)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는 과거 해수순환 변화의 추적자로서 최근 20년간 널리 활용되어 왔다. 이들 연구는 일반적으로 풍화과정동안 모암과 풍화산물 간에 동위원소적인 분별작용이 없음을 전제로 하는데, 실제 극지방에서 수행된 필드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과는 상반된 예외적인 결과가 몇 차례 보고된 바 있어 보다 면밀한 검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극 스발바르군도 육상에서 채취된 암석과 피오르드에서 획득한 표층및 코어퇴적물에서 성분별(leached vs. residual phases)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를 분석하여, 극지방에서의 독특한 풍화 과정이 모암과 풍화산물내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였다. 암석 내 성분별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는 대부분 1:1라인에서 벗어나는 디커플링 현상을 보였는데, 이는 광물 스케일에서 차별적 풍화(incongruent weathering)가 발생하는 경우 모암과 풍화산물 간 네오디뮴 동위원소 차이가 유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제, 표층 퇴적물 내 자생성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는 모든 경우 쇄설성(detrital)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보다 높게 나타나고, 일부의 경우 주변 해수의 값에 비해서도 높게 관찰되기에 스발바르 내 차별적 풍화 현상은 실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때문에, 스발바르 딕슨 및 우드피오르드에서 획득한 코어 퇴적물 내 성분별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 차이 기록은 시간에 따른 차별적 풍화양상을 대변한다고 볼 수 있다. 차별적 풍화양상은 두 지역 모두에서 빙하가 확장하였던 시기 크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빙하 침식에 따라 암석 표면에 노출된 labile한 광물들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풍화되며 나타난 결과로 해석된다. 따라서, 극지 피오르드 환경에서의 성분별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 차이 변화는 빙하 거동을 복원할 수 있는 프록시로 활용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