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률적 동적 계획법을 이용한 공공자전거 정비소에서의 최적 재고관리

        임희종(Heejong Lim),정광헌(Kwanghun Chung) 한국생산관리학회 2020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31 No.1

        This study develops an optimal inventory management policy for shared bicycles that need to be prepared at the maintenance center. We consider a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model with both the operation cost and the social cost caused by carbon emissions. If a shared bicycle needs maintenance, it is repaired at the workshop and a spare one is delivered to the bicycle rental station. If there are too many bicycle inventories, there will be unnecessary overage cost such as investment and insurance costs for bicycles. If too few spare bicycles are kept on inventory, there will not be sufficient bicycles to be placed in the rental station and this will incur underage cost. We estimate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repair demands caused by failure using a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Our estimated demand probability distribution is applied to the stochastic dynamic programming to derive an optimal inventory policy. 본 연구에서는 공공자전거의 운영비용 및 탄소배출량에 따른 사회적 비용과 자전거의 수리 수요 발생을 고려하여, 정비센터에서 보유해야 할 여분의 공공자전거에 대한 최적 재고관리 방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공공자전거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고장난 자전거는 정비소에서 수리를 받고, 여분의 공공자전거는 자전거 대여소로 이송된다. 만일 정비센터에서 자전거 재고를 너무 많이 유지한다면, 자전거에 대한 불필요한 투자비용과 보험료 등이 발생하게 되며, 너무 적은 자전거 재고를 유지한다면 고장난 자전거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대여소에 배치할 자전거가 부족하여 사용자 만족도 저하 및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자전거의 고장수리 요구를 수요로 고려하여, 고장에 의해 발생하는 수리 수요의 확률분포를 음이항 분포로 추정하였다. 또한, 추정된 수요의 확률분포를 확률적 동적계획법에 적용하여, 최적 재고 운영방안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기업의 디지털 전환 (DT) 경쟁력 분석 모형개발 및 적용: 공기업 10개의 사례를 중심으로

        임희종(Heejong Lim),최보름(Boreum Choi),송지희(Ji Hee Song) 한국경영학회 2021 Korea Business Review Vol.25 No.3

        최근 디지털 전환이 경영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민간 및 학계 뿐 아니라 공공부문에서도 디지털 전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에 대한 개념이 다양하며, 이에 대한 측정 지표가 없어 어떻게 디지털 전환을 이루고, 이를 관리해야 하는지 어려움이 많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0개 대표 공기업에 대해 디지털 전환 정도를 측정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과거 이론에 근거하여 디지털 전환에 대한 정의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4개 분야 12개 핵심요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요인을 바탕으로 사례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10개 공기업의 디지털 전환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운영부분과 고객경험 분야는 비교적 양호한 수준이었으나, 전략 및 조직 분야는 아직 디지털 전환 초기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을 연구하는 연구자 뿐 아니라, 향후 디지털 전환을 하고자하는 공공분야와 민간에 많은 실무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Digital transform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phenomenon in academics as well as practitioners. However, we lack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conceptualiz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Here, we seek to evaluate the current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for 10 major Korean public corporations. Based on extant literature, we have built a digital transformation framework with four areas (i.e., customer experience, operation, strategy, organization) and have identified 12 significant elements assessing the level of digital transformation. Using the case study method, 10 public corporations are evaluated with 12 elements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results indicate relatively strong performances in operation and customer experience areas, whereas significant improvements are needed for organization and strategy areas to accelerate digital transformation. Our study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in implementing digital transformation for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 KCI등재

        서울시 공공자전거 시스템 운영을 위한 효율적 관리 구역 설정

        이상복(Sangbok Lee),임희종(Heejong Lim),정광헌(Kwanghun Chung) 한국경영과학회 2018 經營 科學 Vol.35 No.1

        Like many other cities around the world, Seoul has been operating a bike sharing system since 2015, which is aiming at reducing traffic and pollution at the same time. As the use of shared bicycles increases, managerial issues such as relocation and maintenance of bicycles have been raised to offer better service to the users. In this paper, we develop a mixed-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finding optimal clusters of bike stations for the relocation of bikes. From each bike station, net demand is obtained from user pickup and return data at 210 stations in Seoul. Then, we perform computational experiments with historical data to propose better clustering for efficient management of bike sharing systems. Computational results show that optimal clusters reduce the workload deviation among clusters.

      • KCI등재

        ICT 시대의 고객-기업 간 가치 공동 창출: Co-creation 다중 사례 분석

        장우정 ( Woojung Chang ),송지희 ( Ji Hee Song ),임희종 ( Heejong Lim ),라대식 ( Dae Seek Rha ) 정보통신정책학회 2017 정보통신정책연구 Vol.24 No.1

        인터넷 등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달로 고객과 기업 간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통한 co-creation 활동이 급속히 증가 하였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이 고객과의 co-creation을 고객과 기업이 서로 협력하여 상호 간의 가치를 공동으로 창조하는 모든 활동으로 폭넓게 정의함으로써, 서로 판이하게 다른 형태의 고객-기업간 co-creation이 등장하고 결국 co-creation의 개념에 대한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 연구들은 고객-기업 간 co-creation을 co-production과 value-in-use 두 가지로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각 타입을 설명하는 개념적 핵심요소들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도출된 co-creation의 분류와 개념적 핵심요소들이 실제 기업-고객 간 cocreation 사례의 패턴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6개 실제 기업(MyStarbucksIdea.com, Threadless.com, Quirky.com, Sum of All Thrills, APT CB2, American Girl)의 고객과의 co-creation 사례를 패턴매칭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 6개 co-creation 사례들은 co-production과 value-in-use로 구분되며 각 타입의 토대를 이루는 개념적 핵심요소들은 현실 사례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사례 연구는 최근 제안된 co-creation의 분류와 개념적 핵심요소에 대한 타당성을 제공한다. 또한 향후 고객과의 co-creation을 활용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어떻게 co-creation을 할 수 있으며 어떠한 핵심요소가 강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cluding the Internet has led to a rapid increase in co-creation between firms and customers. However, since the time researchers defined co-creation with customers broadly as all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firms and customers to create mutual value, different forms of co-creation with customers have emerged, leading to confusion over the concept of co-creation. To resolve the confusion, recent research classified co-creation with customers systematically as either coproduction or value-in-use, and derived conceptual core elements that underlie each type of co-cre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theoretical classification of co-creation and the conceptual core elements reflect well the pattern of co-creation cases in practice. To this end, multiple co-creation cases from six firms (i.e., MyStarbucksIdea.com, Threadless.com, Quirky.com, Sum of All Thrills, APT CB2, American Girl) were analyzed using pattern matching techniques. The results show that the six co-creation cases are categorized as co-production or value-in-use, and the conceptual core elements are confirmed to reflect well the characteristics of real-world cases. This case study analysis validates the recently proposed classification of co-creation and the conceptual core elements. Furthermore, this study offers insights to firms aiming to gain leverage through co-creation regarding how to implement cocreation with customers and which elements of co-creation to emphasiz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