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yaluronic acid의 첨가방법에 따른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물리적 특성과 lysozyme 흡착량 비교

        임화림,김호중,전진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3

        Purpose: The hydrogel lenses have been functionalized with HA(Hyaluronic Acid) using two different methods: construction of an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and formation of CCB(Chemical Covalent Bonding). The lysozyme adsorption and physical properties such as optical transmittance and water content of the hydrogel lenses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method is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potentials in contact lens industry. Methods: HA have been added to the hydrogel lenses prepared in the Lab using the two different method, e.g. IPN and CCB. The optical transmittance was measured in the wavelength range of 300~800 nm. The water content was measured by the gravimetric method using 0.9% NaCl saline solution. The amounts of adsorbed lysozyme on the contact lenses was analyzed by HPLC after incubation for 12h in artificial tears. Results: The water content of the HA added hydrogel contact lenses was increased, and the lens made by IPN method showed higher water content than the lens made by CCB method. The optical transmittance was over 90% both before and after addition of HA. Comparing the lysozyme adsorption reduction ratio, contact lens manufactured by IPN method was 60.0%, and the lens made by CCB method was 40.4%. Conclusions: CCB method is appropriate to distribute the functional material evenly throughout the lens, whereas IPN method is effective for the case of giving the functionality on the lens surface without phase separation. 목적: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HA(hyaluronic acid)를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방법과 화학적 공유결합 방법(CCB; Chemical covalent bonding)으로 첨가하였을 때 광투과율과 함수율의 물리적 특성과 lysozyme 흡착량을 비교하여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기능성 부여를 위한 효과적인 HA의 첨가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실험실에서 제조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IPN과 CCB의 두 가지 방법으로 HA를 첨가하였다. 광투과율은 300~800 nm 범위에서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중량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Lysozyme 흡착량은 lysozyme이 포함된 인공눈물을 제조하여 12시간동안 흡착시킨 후 HPLC로 정량하였다. 결과: HA가 첨가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은 HA가 첨가되지 않은 렌즈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CCB 방법에 비해 IPN 결합에서 함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광투과율은 HA 첨가 전과 후 모두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Lysozyme 흡착 감소율은 IPN 방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는 60.0%이며, CCB 방법으로 제조한 콘택트렌즈에서는 40.4%로 나타났다. 결론: CCB 방법은 기능성 물질을 렌즈 내부와 표면 전체에 화학적으로 균일하게 분포시키기에 적절한 방법이며, IPN 방법은 상분리 없이 렌즈 표면에 기능성을 부여하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항산화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개발에 관한 연구

        임화림,김혜림,김호중,전진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11

        목적: Hyaluronic acid(HA)와 dopamine(DP)을 활용한 항산화 기능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HCL)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실험실에서 제조한 HCL에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 방법을 이용하여 분자량이 다른 두 종류의 HA(J&D CHEM, 10kDa(HCL-HA10), 100kDa(HCL-HA100))를 각각 첨가 시켰다. HA가 첨가된 HCL렌즈(HCL-HA)에 일정량의 dopamine(DP, Sigma Aldrich)을 첨가한 후 4℃ 진탕기에서 3일간 흔들어주며 유지하였다. 광투과율은 UV-Visible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5 PC)를 이용하여 300~800 nm 범위에서 측정하였으 며,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렌즈에 결합된 DP는 298nm에서 UV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렌즈의 항산화 효과는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소거능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광투과율은 HCL과 HA가 첨가된 렌즈(HA10, HA100) 모두에서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함수율은 HCL에서 45%로 나타났으며, HA가 첨가된 렌즈에서는 HCL보다 모두 5% 이상 증가 하였다. 렌즈 표면에 결합된 DP의 양은 HCL-HA10-DP과 HCL-HA100-DP에서 0.056, 0.082 mmol/cm2 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HCL과 DP 첨가 전인 HCL-HA 렌즈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반면, DP가 첨가된 HCL-HA10-DP과 HCL-HA100-DP 렌즈에서는 41.10%와 57.21%로 각각 나타나 매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HCL)에 고분자인 HA를 첨가한 후에도 90% 이상의 광투과율을 나타낸 것은 IPN 방법이 고분자 첨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첨가된 HA에 포함된 다수의 비이온성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에 의해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이 증가한 것으 로 생각된다. 도파민이 결합된 콘택트렌즈에서 높은 항산화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HA와 아마이드(amide) 결합이 더 많이 일어나는 HCL-HA100-DP에서 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 열처리 온도에 따른 용액 공정 기반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 분석

        임화림(Hwarim Im),김용상(Yong-Sang Kim)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본 논문에서는 용액 공정 기반 산화물 반도체 박막 트랜지스터의 열처리 공정 온도에 따른 소자 특성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박막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은 감소하고, 드레인-소스 전류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높은 열처리 온도 의한 oxygen vacancy의 증가로 인한 전하 농도 증가와 수산화 이온과 같은 불순물의 감소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은 열처리 온도에 의한 산화물 반도체 박막 내의 결합 변화를 전기적 측정을 통한 결함 밀도를 계산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열처리 공정 온도에 따른 소자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KCI등재

        Hydrogel contact lens에 Glycopolymer의 첨가에 따른 함수율 및 단백질 흡착 특성 연구

        임화림,정근승,서은선,김호중,오승진,전진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4 No.05

        목적: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glycopolymer인 Hyaluronic acid(HA) 및 Alginic acid(AA)를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방법으로 첨가하였을 때 렌즈의 함수율과 단백질 흡착 량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실험실에서 제조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를 HA(5g/L)와 AA(5g/L) 각각의 용액에 Polyethylenimine(PEI)(5g/L, in 30% ethanol/70% water) 용액을 섞은 다음 4일 동안 4℃에서 보관하였다. Amide 결합으로 가교시키기 위해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EDC)(5g/L, 30% ethanol in water)용액에서 48시간 동안 유지하 였다.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단백질 흡착은 lysozyme, albumine, globulin이 포함된 인공눈물을 제조하여 시간에 따라 흡착량을 측 정하였으며 HPLC로 정량하였다. Glycopolymer를 첨가한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서 함수율이 증가하였다. HA의 분자량이 감 소함에 따라 함수율은 다소 증가하였다. AA보다는 HA를 첨가하였을 때 함수율의 증가가 더 크게 나타났다. HA와 AA를 첨가하였을 때 단백질 흡착량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HA의 분 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이 낮아졌고, 인공눈물에 담궈 놓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단백질 흡 착량이 증가하였다. 결론: 표면에 glycopolymer를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가교시켰을 때 콘택트렌즈의 pore size가 작아지게 되고 glycopolymer의 비이온성 성질에 의해 단백질 변형이 방지됨에 따라 흡 착이 감소되며 glycopolymer 내의 친수성인 OH group이 많이 존재함에 따라 함수율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 KCI등재

        Hyaluronic acid의 첨가방법에 따른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함수율 비교

        임화림,전진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05

        목적: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HA(Hyaluronic acid)를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과 화학적 공유결합(terpolymerization) 방법으로 첨가한 후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함수 율과 광투과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방법: HA의 첨가는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IPN 방식으로 HA를 첨가하는 방법과 콘택트렌즈 제 조에 사용되는 HEMA 모노머에 methacrylate가 결합된 mHA를 합성시키는 화학적 공유결합 (terpolymerization)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제조하였다. 광투과율은 300~800 nm 범위에서 UV-Visible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5 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결과: 두 방법에 의해 H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은 모두 90%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 내었다. 함수율은 HA를 첨가하기 전(52.68%)보다 첨가한 후(57.60~60.88%)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공유결합을 이용한 방법보다 IPN을 이용한 방법의 함수율 증가가 조금 더 높 게 나타났다. 결론: H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에서 90%가 넘는 광투과율이 나타난 것은 HA와 콘택트렌즈 모 노머와의 결합이 상분리 없이 잘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HA의 화학구조에 하이 드록실기(hydroxyl group)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함수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mHA가 콘택트렌즈 내부에 분포되는 공유결합 방법에 비해 IPN에 의한 HA의 첨가 방법은 렌즈 표면 에 HA가 많이 존재하여 함수율의 증가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새로운 Silicone monomer를 이용한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의 제조 및 알콜 첨가에 따른 광투과율과 함수율에 대한 연구

        정근승,임화림,서은선,전진,김호중,오승진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4 No.05

        목적: 새로 합성한 silicone monomer인 3-[Tris(vinyldimethylsiloxy)silyl]propyl methacrylate(V-TRIS)를 이용하여 제조한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SiHy)와 제조 과정 에서 에탄올을 첨가하여 만든 SiHy의 광투과율과 함수율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와 chlorodimethylvinylsilane을 반응하여 Silicone을 4개 함유하는 V-TRIS를 합성하였다. Figure. 1. Reaction scheme for the synthesis of V-TRIS. V-TRIS를 전체 무게의 10%, 20% 만큼 첨가하고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Azobis isobutyronitrile(AIBN),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N-vinyl-2 -pyrrolidone(NVP) 등과 열중합하여 SiHy를 제조하였다. 에탄올은 전체무게의 15%를 첨가하 였다. 제조된 SiHy는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담가둔 후 함수율을 측정하였으며, 파장 400~1100nm 범위에서 UV spectrophotometer(JENWAY, Genova Nano)를 이용하여 광투과 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Table 1. Optical Transmittance and water contents of SiHy with ethanol dilution. V-TRIS를 이용한 SiHy의 함수율은 32~35% 정도로 나타났다. SiHy 제조과정에서 에탄올을 첨가한 경우 광투과율과 함수율이 각각 증가하였다. 결론: 친수성인 HEMA와 소수성인 silicone monomer, V-TRIS가 서로 잘 섞이지 않아 상분리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SiHy의 광투과율이 낮아지게 되는데 친수성 및 소수성 물질에 동시에 잘 섞이는 알콜기를 포함하는 에탄올을 첨가함으로서 HEMA와 V-TRIS가 상분리 현상 없이 잘 섞이게 되어 광학적으로 투명한 SiHy를 얻을 수 있다.

      • KCI등재

        Glycopolymer가 첨가된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의 함수율과 단백질 흡착에 관한 연구

        정근승,임화림,서은선,전진,김호중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4 No.05

        목적: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SiHy)에 생체친화적인 Glycopolymer인 Hyaluronic acid(H.A)와 Alginic acid(A.A)를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IPN) 방법으로 각각 첨가시켰을 때 함수율과 단백질 흡착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중합기인 methacrylate와 친수성기인 –OH기를 포함하는 Multifunctional -Polydimethylsiloxane(M-PDMS)을 신규 합성하여 전체 무게의 10% 만큼 첨가하고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Azobis isobutyronitrile(AIBN),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EGDMA), N-vinyl-2-pyrrolidone(NVP) 등과 함께 열중합하여 SiHy를 제조하였다. SiHy를 H.A와 A.A를 IPN 방법으로 첨가시키기 위해 SiHy에 10kDa, 40kDa, 100kDa 분자량의 H.A와 15kDa 분자량의 A.A(5g/L, 30% ethanol in water)와 Polyethyleneimine(PEI)(5g/L, 30% ethanol in water)을 1:1로 섞은 용액에 SiHy를 4°C에서 4일 동안 담가둔 후 가교제인 N-(3-Dimethylaminopropyl)-N′-ethylcarbodiimide hydrochloride(EDC)(5g/L, 30% ethanol in water)에 48시간 동안 담가두었다. 함수율은 SiHy를 90°C에서 6시간동안 건조한 후 측정하였다. 단백질 흡착실험은 lysozyme, albumine, globulin이 포함된 인공눈물에 SiHy를 3~24시간 동안 흡착시킨 후 HPLC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Figure. 1. Schematic representation of silicone contact lens interpenetrated with glycopolymer. Table 1. Water contents and amount of total protein absorbtion of SiHy interpenetrated with H.A or A.A. H.A 및 A.A가 첨가되지 않은 SiHy에 비해 H.A 또는 A.A가 첨가된 SiHy의 함수율이 높게 나 타났으며 단백질 흡착량은 감소하였다. H.A의 분자량 크기가 클수록 12시간 까지는 단백질 흡착량이 줄어들었으며, 24시간 지난 후 에는 분자량에 따른 단백질 흡착량 차이가 없었다. A.A 15kDa 첨가에 따른 SiHy 단백질 흡착량은 H.A 10kDa을 첨가한 경우와 비슷하였다. 결론: H.A와 A.A의 –COOH 작용기와 PEI의 –NH2 작용기가 가교제인 EDC에 의해 amide bonding(-CONH-)를 이루면서 H.A와 A.A가 SiHy에 IPN형식으로 결합되었으며, 친수성(-OH)을 띠는 H.A 및 A.A가 SiHy의 함수율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SiHy의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친수성을 띠는 비이온성 Glycopolymer의 영향으로 단백질 흡착이 감소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Synthesis and Biocompatibility of Silicone Hydrogel Functionalized with Polysaccharide

        정근성,김호중,임화림,유근창,서은선,유남호,전진 대한화학회 2015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6 No.6

        A novel methacrylated polydimethylsiloxane (mPDMS) was synthesized for the preparation of silicone hydrogel (SiHy). The SiHy was functionalized with polysaccharides such as hyaluronic acid and alginic acid by construction of an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IPN) structure composed of cross-linked SiHy backbones and polysaccharide networks. We investigated the protein adsorption resistance, toxicity, wettability, optical transparency, and surface property of the SiHy. The synthesized SiHy exhibited the transmittance of over 90% and the improved surface hydrophilicity. Importantly, the amount of protein adsorbed on the polysaccharide-functionalized SiHy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unmodified Si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olysaccharide-modified SiHy may offer potential for ophthalmic materials as well as antibiofouling coating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