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정적 고반복을 위한 지연시간 제어회로가 적용된 커패시터 충전용 전원장치

        임태현,황선묵,국정현,임동우,Lim, Tae Hyun,Hwang, Sun Mook,Kook, Jeong Hyeon,Yim, Dong Woo 대한전기학회 2017 전기학회논문지 Vol.66 No.1

        Capacitor Charging Power Supply(CCP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a pulsed power system. The CCPS is widely used in source of lasers, accelerators and plasma generators. This paper presents design of a dead time control circuit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for stable high repetition rate of high voltage CCPS. The CCPS consists of battery, high voltage transformer and controller with a dead time control circuit. A dead time control circuit was simulated by PSpice. The performance test of the CCPS was carried out with a 7[nF] load capacitor at output voltage of 50[kV] and a pulse repetition frequency of 100[Hz]. As a result, we can verify that charging and discharging waveform is stable at 100[Hz].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 that 3[ms] dead time made it possible for stable high repetition rate of 100[Hz]. This paper paves the way for designing an advanced CCPS which is more applicable outside experiments.

      • KCI등재

        道敎의 ‘形’, ‘氣’, ‘神’ 론 - 葛洪 『抱朴子內篇』에 나타난 ‘形’, ‘氣’, ‘神’ 론을 중심으로 -

        임태현,임소영 인문사회 21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form’, ‘energy’ and ‘spirit’ of Thought of health caring among Chinese Taoism culture and aims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them in the human body. In Taoism, ‘form’, ‘energy’, and ‘spirit’ have the meaning as the fundamental essence of human body and the embodied concept of cosmic law, and penetrate the entire Taoism Thought of health and caring culture. In this article, I first discuss the meaning of ‘form’, ‘energy’ and ‘spirit’ as the fundamental essence, examine how the interpretation of Ge Hong considers them, and provide clues to the understanding and extended introspection of Taoism Thought of health and caring and Taoism culture. To do so,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logic in the representative texts of the ancient Taoist schools and the structural relation to ‘form’, ‘energy’ and ‘spirit’, examines theories about them and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form’, ‘energy’ and ‘spirit’. Thereafter, this article will provide a field of discourses in the study of the Taoism Thought of health caring of a human body and the Taoism human body. 본 논문은 중국 도교사상문화 중, 소위 養生사상에 나타난 ‘形’, ‘氣’, ‘神’ 개념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것이 인체관에서 가지는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만약 사람의 인체에 관한 도교양생사상의 전모를 파악하려 하거나 또는 그 사상적요체에 관한 정확한 이해를 도모하려 한다면, 당연히 도교인체관의 핵심 개념인 ‘形’, ‘氣’, ‘神’에 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도교의 인체관에서 ‘形’, ‘氣’, ‘神’은인간의 신체를 구성하는 가장 근원적 본질로서의 의미를 가지는 동시에 우주법칙의 체현적 의미를 가지며 이는 도교인체관의 중심개념으로서 전체 도교양생사상문화를 관통하고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근원적 본질로서의 ‘形’, ‘氣’, ‘神’의 의미와 그것이 가지고 있는특징에 대해 논하고, 또 그에 대한 葛洪의 해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고찰하였으며, 나아가 ‘形’, ‘氣’, ‘神’ 사상이 도교인체사상의 최고 핵심 범주이자 宗旨로서 기능한다는 것을 파악하여 향후, 중국 도교양생사상 및 그 문화에 대한 보다 확장된 성찰과 이해의 단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는 향후, 도교양생사상연구 및 인체관 연구에 적지 않은 담론의 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중국의 ��天符經��연구에 대한 소론(小論) -국희(鞠曦) 교수의 ��天符經��論을 중심으로-

        임태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선도문화 Vol.5 No.-

        초록/요약 ��天符經��은 지금까지 주로 민족정신의 원류를 찾는 연구자들에 의해 높이 평가되고 그 의미에 관해 다양한 해석이 시도되었다. 또 한 ��天符經��의 표현방식이 고도의 추상적 사유를 함축하고 있고 또 대단히 상징적인 비유를 통해 그 논지를 전개하고 있는 관계로 비 교적 자유롭고 창의적인 접근을 연구자들에게 제공해 왔었다. 그러나 이 글은 기존 국내의 ��天符經��연구와는 전혀 다른 각도와 시각이라는 차원에서 기획된 것으로 우리와 여러 면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의 ��天符經��연구에 대한 시각과 현황을 개략적으로나 마 소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작성된 글이다. 또한 중국의 어느 동양철학자인 鞠曦교수의 ��天符經��論을 통해 중국인이 이해하는 ��天 符經��의 사상과 문화에 접근할 수 있으며 국내의 ��天符經��연구에 대 한 새로운 해석과 이해를 제공하는 측면에도 그 의의가 있다고 판 단되어 작업된 글이기도 하다. 우리는 본 文을 통해 그 동안 한국 내에서만 연구되어진 줄 알았던 한국 고대의 민족경전인 ��天符經�� 이 비록 그 예는 미비하지만 중국에서도 연구되어졌다는 사실을 새 롭게 인식하고 ��天符經��연구에 대한 새로운 동력과 동기를 찾아나 가야 하는 필요성을 새삼 認知하게 될 것이다. 鞠曦교수는 한국의 고대 민족경전인 ��天符經��의 사상과 철학이 중국의 三敎사상문화와 內性的으로 그 원리가 통일되어 있다고 주 장하며 이러한 ��天符經��의 사상과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인류 의 보편적 가치와 의의를 지닌 경전으로 거듭 조명할 것을 주문한 다. 또한 그는 우리의 ��天符經��이 중국의 ��易經��에서 말하는 “形而 上者謂之道”적 사상형식과 “窮理盡性以至于命”의 명제를 동시에 함 축하여 중국 老子의 道學이나 孔子儒學의 정신 및 사상과도 서로 상통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天符經��이 비록 실증과 고증 측 면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오고 있으나 결코 僞書나 改作書가 아닌 眞 書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天符經��의 사상과 연계해 崔致远이 말한 “玄妙之道”의 근원을 檀君의 정신과 사상, 그리고 그 영혼의 역사에서 찾아내야 하며, 그러한 “玄妙之 道”는 근본적으로 歸一性과 統一性을 갖춘 것으로서 최종적으로 소 위 “一”의 철학과 원리, 즉 ��天符經��사상을 지향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 중국의 <天符經>연구에 대한 소론(小論) -국희(鞠曦) 교수의 <天符經>論을 중심으로-

        임태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선도문화 Vol.5 No.-

        r 『天符經』은 지금까지 주로 민족정신의 원류를 찾는 연구자들에 의해 높이 평가되고 그 의미에 관해 다양한 해석이 시도되었다. 또 한 『天符經』의 표현방식이 고도의 추상적 사유를 함축하고 있고 또 대단히 상징적인 비유를 통해 그 논지를 전개하고 있는 관계로 비 교적 자유롭고 창의적인 접근을 연구자들에게 제공해 왔었다. 그러나 이 글은 기존 국내의 『天符經』연구와는 전혀 다른 각도와 시각이라는 차원에서 기획된 것으로 우리와 여러 면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의 『天符經』연구에 대한 시각과 현황을 개략적으로나 마 소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작성된 글이다. 또한 중국의 어느 동양철학자인 鞠曦교수의 『天符經』論을 통해 중국인이 이해하는 『天 符經』의 사상과 문화에 접근할 수 있으며 국내의 『天符經』연구에 대 한 새로운 해석과 이해를 제공하는 측면에도 그 의의가 있다고 판 단되어 작업된 글이기도 하다. 우리는 본 文을 통해 그 동안 한국 내에서만 연구되어진 줄 알았던 한국 고대의 민족경전인 『天符經』 이 비록 그 예는 미비하지만 중국에서도 연구되어졌다는 사실을 새 롭게 인식하고 『天符經』연구에 대한 새로운 동력과 동기를 찾아나 가야 하는 필요성을 새삼 認知하게 될 것이다. 鞠曦교수는 한국의 고대 민족경전인 『天符經』의 사상과 철학이 중국의 三敎사상문화와 內性的으로 그 원리가 통일되어 있다고 주 장하며 이러한 『天符經』의 사상과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인류 의 보편적 가치와 의의를 지닌 경전으로 거듭 조명할 것을 주문한 다. 또한 그는 우리의 『天符經』이 중국의 『易經』에서 말하는 “形而 上者謂之道”적 사상형식과 “窮理盡性以至于命”의 명제를 동시에 함 축하여 중국 老子의 道學이나 孔子儒學의 정신 및 사상과도 서로 상통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天符經』이 비록 실증과 고증 측 면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오고 있으나 결코 僞書나 改作書가 아닌 眞 書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天符經』의 사상과 연계해 崔致远이 말한 “玄妙之道”의 근원을 檀君의 정신과 사상, 그리고 그 영혼의 역사에서 찾아내야 하며, 그러한 “玄妙之 道”는 근본적으로 歸一性과 統一性을 갖춘 것으로서 최종적으로 소 위 “一”의 철학과 원리, 즉 『天符經』사상을 지향하고 있다고 주장 한다.

      • KCI등재

        분광광전류법에 의한 실리콘 계열 박막 반도체의 광흡수스펙트럼 측정

        임태현,박혁렬 한국물리학회 2011 새물리 Vol.61 No.8

        The constant photocurrent method (CPM) and the constant light-intensity method(CLM), among several spectroscopic photocurrent methods, were investigated to obtain the subgap optical absorption spectra (α) of amorphous-silicon (a-S;H) based semiconductor films. The μΤ product independence of the scanning wavelength,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a correct α spectrum measurement, held for the CPM, but not for the CLM. This limitation for CLM spectrum could be solved by normalizing it to the power spectrum with a photocurrent-light intensity power-law dependence. We measured the α spectra of a-Si:H,n^+ a-Si:H p^+ a-Si:H, a-Si:H, μc-Si:H, and a-SiGe:H thin films and of c-Si. 실리콘계 박막 반도체의 밴드갭 이하 광흡수스펙트럼을분광광전류법(SPM, spectroscopic photocurrent method)으로 측정하는기술을 소개한다. SPM 중에서 일정 광세기법(CLM, constant light-intensity method)과 일정 광전류법(CPM, constant photocurrent method)에 전제된 조건이 유효한지를 확인하여 어떤 방법이 더 유효한광흡수스펙트럼을 측정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CLM법을사용하여 광흡수스펙트럼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비정질 실리콘(a-Si:H), n^+ a-Si:H p^+ a-Si:H, a-Si:H 미세결정실리콘(μc-Si:H), 비정질 실리콘-저매늄(a-SiGe:H) 박막 그리고결정질 실리콘(c-Si)에 CPM법을 사용하여 광흡수스팩트럼을 측정하였다.

      • KCI등재

        공기분자 흡착에 의한 미세결정 실리콘의 불안정성

        임태현,최지애,박혁렬,정양준 한국물리학회 2015 새물리 Vol.65 No.9

        We added new findings for and interpretations of the behaviors of dark electrical conductivity upon adsorption of atmospheric molecules in microcrystalline silicon films. Among several components of air, such as nitrogen, oxygen and carbon dioxide, the oxygen molecule was confirmed as the main contributor to adsorption. The change in the sub-gap light absorption spectrum upon air adsorption was investigated. The absorption spectra showed a reduced defect absorption for films that were exposed to air compared with those that were thermally annealed. Through a corresponding experiment with a-Si:H thin-film transistor, we confirmed that this phenomenon appeared after the formation of an electron depletion layer by the adsorbed molecules. The behaviors of the dark conductivity upon oxygen adsorption-desorption in microcrystalline silicon are similar to there of a metal-oxide semiconductor such as SnO2. 미세결정 실리콘 박막을 공기 중에 노출시켰을 때 나타나는 물성의 변화 혹은 불안정성에 대한 새로운 실험적 사실과 설명을 소개한다.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등의 주요 공기 성분 중에서 산소분자가 흡착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공기분자 흡착에 따른 박막의 광흡수스펙트럼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공기분자가 흡착된 박막은 흡착되지 않은 박막에 비해 광흡수스펙트럼의 결함흡수구간에서 크기가 감소한다. 이것이 흡착된 분자가 박막 표면에 전도전자 결핍층을 형성하여 나타나는 현상임을 비정질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에 대한 대응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미세결정 실리콘 박막에서 산소 흡착-탈착에 따른 암전기전도도의 변화는 금속산화물 반도체에서 산소 흡착-탈착에 따른 암전기전도도의 변화와 유사한 현상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미세결정 실리콘박막에서 공기 분자 흡착에 따른 전기전도도의 거동

        임태현,박혁렬 한국물리학회 2014 새물리 Vol.64 No.9

        We added some new findings and interpretations on the behaviors of electrical conductivities upon adsorption of atmospheric molecules in microcrystalline silicon films. The photo-conductivity followed similar decay-recover processes upon air exposure - thermal anneal cycles as did the dark conductivity. Some films showed a thermal quenching and/or a negative photo-conductivity effect in a specific range of temperature. The time dependence of the conductivity's decays upon air exposure could be represented by using a stretched-exponential function. A rate equation and a dispersion factor were suggested for the stretched exponential decay. 미세결정 실리콘 박막에서 공기분자의 흡착에 따른 암 전기전도도와 광전기전도도의 거동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설명을 소개한다. 박막의 암 전도도와 광 전도도는 공기분자의 흡착에 따라 그 크기가 감소하는 열화현상을 보인다. 공기 분자의 "흡착-탈착''의 순환과정에서 광전도도는 암 전도도가 보여 주는 것과 비슷한 "열화-복원''의 거동을 보인다. 특정 온도 구간에서 "열적 감퇴'' 혹은 "마이너스 광전도도'' 현상을 보이는 시료들도 발견되었다. 전도도는 공기분자 흡착의 진행에 따라 "늘어진 지수함수 꼴''의 시간 의존성을 가지고 감소한다. 늘어진 지수함수 꼴의 변화를 유도하는 분산과정에 대한 변화식과 분산계수에 대한 정성적 모형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중국의 󰡔天符經󰡕연구에 대한 소론(小論) -국희(鞠曦) 교수의 󰡔天符經󰡕論을 중심으로-

        임태현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08 선도문화 Vol.5 No.-

        초록/요약 󰡔天符經󰡕은 지금까지 주로 민족정신의 원류를 찾는 연구자들에 의해 높이 평가되고 그 의미에 관해 다양한 해석이 시도되었다. 또 한 󰡔天符經󰡕의 표현방식이 고도의 추상적 사유를 함축하고 있고 또 대단히 상징적인 비유를 통해 그 논지를 전개하고 있는 관계로 비 교적 자유롭고 창의적인 접근을 연구자들에게 제공해 왔었다. 그러나 이 글은 기존 국내의 󰡔天符經󰡕연구와는 전혀 다른 각도와 시각이라는 차원에서 기획된 것으로 우리와 여러 면에서 경쟁관계에 있는 중국의 󰡔天符經󰡕연구에 대한 시각과 현황을 개략적으로나 마 소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작성된 글이다. 또한 중국의 어느 동양철학자인 鞠曦교수의 󰡔天符經󰡕論을 통해 중국인이 이해하는 󰡔天 符經󰡕의 사상과 문화에 접근할 수 있으며 국내의 󰡔天符經󰡕연구에 대 한 새로운 해석과 이해를 제공하는 측면에도 그 의의가 있다고 판 단되어 작업된 글이기도 하다. 우리는 본 文을 통해 그 동안 한국 내에서만 연구되어진 줄 알았던 한국 고대의 민족경전인 󰡔天符經󰡕 이 비록 그 예는 미비하지만 중국에서도 연구되어졌다는 사실을 새 롭게 인식하고 󰡔天符經󰡕연구에 대한 새로운 동력과 동기를 찾아나 가야 하는 필요성을 새삼 認知하게 될 것이다. 鞠曦교수는 한국의 고대 민족경전인 󰡔天符經󰡕의 사상과 철학이 중국의 三敎사상문화와 內性的으로 그 원리가 통일되어 있다고 주 장하며 이러한 󰡔天符經󰡕의 사상과 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 인류 의 보편적 가치와 의의를 지닌 경전으로 거듭 조명할 것을 주문한 다. 또한 그는 우리의 󰡔天符經󰡕이 중국의 󰡔易經󰡕에서 말하는 “形而 上者謂之道”적 사상형식과 “窮理盡性以至于命”의 명제를 동시에 함 축하여 중국 老子의 道學이나 孔子儒學의 정신 및 사상과도 서로 상통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天符經󰡕이 비록 실증과 고증 측 면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오고 있으나 결코 僞書나 改作書가 아닌 眞 書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天符經󰡕의 사상과 연계해 崔致远이 말한 “玄妙之道”의 근원을 檀君의 정신과 사상, 그리고 그 영혼의 역사에서 찾아내야 하며, 그러한 “玄妙之 道”는 근본적으로 歸一性과 統一性을 갖춘 것으로서 최종적으로 소 위 “一”의 철학과 원리, 즉 󰡔天符經󰡕사상을 지향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