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주대(周代) 토지봉건(土地封建)의 실상(實狀)과 공자(孔子)의 방국(邦國) 이해

        임태승 한국유교학회 2020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81

        Bang-guo (邦國: city state) is the substance or concept of areas firmly established in Zhou (周) dynasty by the combination of land and feudalism. The characteristics of Bang-guo state shown in Analects can be summarized in three ways: First, there are 48 Bang (邦) and 10 Guo (國) in Analects. Bang comes out five times more than Guo. Confucius thought Bang more universal in the meaning of 'state'. Second, most Bang and Guo mean the common 'state'. Third, nevertheless, in some examples, Bang and Guo clearly refer to Lu (魯). The people in the state of feudal lord were only involved in feudal lords or doyen, and neither were they aware of the concept of the world nor Zhou dynasty. But Confucius, a servant of Lu as a state of feudal lord, showed a different aspect. Recalling that Confucius refers to Zhou's system throughout several places of the Analects and links Lu and Zhou in the same context, Bang-guo in Confucius' conception was not a common 'self-country' but a state of feudal lord under Zhou's institution and system. The reality was not already Zhou's world, but Lu in Confucius' mind was not his own country far from Zhou, but a state of feudal lord, which was still or should be intertwined with that far-off feudalism of the Western Zhou (西周) period. This is Confucius' view of Bang-guo. 토지와 봉건제가 맞물려 주대(周代)에 확고하게 정착된 영역의 실체 혹은 관념이 바로 방국(邦國)이다. 『논어』에 나타난 방국(邦國)의 성격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논어』에서의 방국(邦國)의 용례는 방(邦)이 48차이며 국(國)이 10차이다. 방(邦)이 국(國)보다 5배가량 많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공자의 인식에선 대개 ‘나라’를 지칭하는데 방(邦)이 훨씬 보편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부분의 방(邦)⦁국(國)은 구제적인 지목이 없는 일반적인 ‘나라’를 의미한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용례에서는, 방(邦)⦁국(國)이 분명하게 노(魯)나라를 지칭한다. 제후국 안의 사람들은 제후 혹은 대부에게만 연루되었을 뿐, 그들에게 천하라는 관념이나 주(周)라는 실체는 의식되지도 않았고 안중에도 없었다. 그런데 제후국으로서의 노(魯)나라의 신하인 공자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였다. 공자가 『논어』의 전편(全篇)에 걸쳐 주(周)의 전장(典章)질서를 따지고 노(魯)나라와 주실(周室)을 같은 맥락으로 연계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할 때, 공자 관념 속의 방국(邦國)은 일반적인 ‘자기 나라’가 아니라 철저하게 천하[周] 체제와 주례(周禮) 아래의 제후국이었다. 이미 세상은 주실(周室)의 천하가 아니었지만, 공자의 염두 속 노(魯)나라는 주실(周室)과 이미 멀리 이격된 자기 나라가 아니라 여전히 저 먼 서주(西周) 시기의 토지봉건과 엮여있는 혹은 엮여져야만 하는 제후국이었던 것이다. 이것이 공자의 방국관(邦國觀)이다.

      • KCI우수등재

        儒家의 審美機制 : 참여의지와 초월의지의 共有

        임태승 한국철학회 2002 철학 Vol.72 No.-

        유가미학은 예술과 도덕이 동일하다는 명제를 산출한다. 예술가의 상상력을 항상 專一하게 해주고 이로써 생산된 예술이 다시 관조자의 상상력을 오직 한 방향으로 더욱 강화시켜 주는 이러한 유가미학의 내재원리는, 주관성 내에서 참여의지와 초월의지가 共有되게끔 하는 機制로부터 생산된다. 초월의지는 예술과 미의식 특유의 것이지만, 유가사유에서는 經義가 일종의 상징적 권능이 됨으로써 주관성 내에 참여의지를 초월의지에 공유시킨다. 이로부터 미의식 내에서의 주관성은 항상 공공성을 유념하게 된다. 따라서 유가적 초월은 入世的 초월이다. 내면과 자연의 교류라는 場에서, 심미주체는 德의 지향이라는 지평을 가지고 히에로파니적 기능을 하는 전통이라는 지평과 융합하는 것이 곧 유가심미체험의 구조이다. 유가미학의 영역 안에서 주관성과 공공성의 결합 및 참여의지와 초월의지의 적절한 평형이 없다면, 심미주체와 심미대상이 결합될 수 없고 그럼으로써 궁극적으로 심미체험은 불가능한 것이다.

      • KCI등재

        Ridicule through Lotus: The Anti-Confucian Discourse in Shin Yun-bok’s Painting Language

        임태승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Korea Journal Vol.52 No.2

        Shin Yun-bok’s (1758-?) satire, which pointed out the hedonistic social aspect in the capital of Joseon, constituted a blow to the noblemen’s moral authority. We can see in his paintings tha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uling ideology, Confucianism, became sullied and collapsed in its faculties as both mental principles and basis for social order. Shin’s genre paintings show by way of ridicule that he rejected the traditional structure of Confucian aesthetics and devalued the fixed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text. The two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Shin’s style of genre paintings are “one icon representing two codes” and “leverage of ideology and mentalité.” Shin’s genre paintings are a meaningful landmark because they showed and established a new order of mentalité. The mentalité established in inverse proportion to that situation, however, was also not sound. Even though Shin disclosed the moral collapse by satirically criticizing the hedonistic life of the yangban class in his paintings, the very depictions expressed in Shin’s works also captured the social changes and emergences of modernity. This is a significant virtue of Shin’s paintings

      • KCI등재
      • KCI등재

        “欲去告朔餼羊”에 대한 공자 비판의 함의

        임태승 한국동양철학회 2018 동양철학 Vol.0 No.50

        The most distinctive aspect of the chaos in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was the collapse of the proprieties. A case in point in Analects is the  abolition of gao-shuo(告朔: the inauguration of the first day of each month). The  essence of the difference between Confucius and Zi-gong(子貢) over gaoshuo is, ultimately, a confrontation between realism and fundamentalism.  Zi-gong was known to be a very good student of Confucius, who especially  had excellent management skills. So, he defined the execution of gao-shuo  at the time as already futile and took realistic steps to save. On the other  hand, Confucius emphasized the symbolism of the execution of gao-shuo  as a cause. Gao-shuo was a very important ritual that involved agriculture,  calendar, and feudal order. Confucius strongly advocated the system of the  proprieties of Xi zhou(西周) period, which combined the patriarchal clan  system and feudalism, and hoped that the tradition and modalities of gaoshuo would be revived. Confucius considered the symbol necessary to  maintain and strengthen the proprieties. For Confucius, the proprieties are  not just a ritual such as order and procedure, but a comprehensive system  that encompasses the symbolic effects of effectively demonstrating and  achieving the values and goals it intends to achieve. The symbolism is then realized by the symbol of form. Therefore, observance of form is the key  in the proprieties. This is why Confucius was so mindful of xi-yang(餼羊:  the offering of a sheep). 東周시기인 춘추전국시대의 가장 특징적인 양상이자 그 혼란의 직접적 표현양상은  禮法의 붕괴였다. 『論語』에 나타난 禮法 붕괴의 대표적 사례는 告朔禮의 폐지에 관 한 것이다. 孔子와 子貢의 사이에 告朔禮를 두고 견해차가 드러난 것의 본질은, 궁 극적으로 현실주의와 원칙주의의 대립이라 할 수 있다. 子貢은 공자의 제자 가운데  상업적인 자질이 매우 뛰어난 이로 알려진 만큼, 당시 告朔의 行禮를 이미 실질이  없는 虛禮로 규정하고 節省이라는 현실적인 조치를 취했다. 반면 공자는 명분의 차 원에서 行禮의 상징성을 중시했다. 告朔禮는 농업·曆法·봉건질서 등이 함께 맞물 린 매우 중요한 儀式이었다. 공자는 종법제와 봉건제가 결합된 西周시기의 典章禮 儀制度를 강력히 옹호하였기 때문에 告朔禮의 전통과 양식이 부활되기를 소망했다.  공자는 儀式을 유지·공고·강화하는데 상징을 중요하게 여겼다. 공자에게 禮라는  것은, 단지 순서와 절차 같은 儀式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의도하고 있는  가치와 목표를 효과적으로 발휘하고 달성케 만드는 상징작용까지 포괄하는 총체적 인 체계이다. 이때 상징작용은 형식이라는 상징에 의해 실현되는 것이다. 따라서 禮 에서는 형식의 준수가 관건이다. 이것이 공자가 그렇게 餼羊에 유념했던 연유이다.

      • KCI등재

        ‘醜’ 개념의 미학 계보와 미학사적 의의

        임태승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동양예술 Vol.54 No.-

        미학개념으로서의 ‘醜’의 의미는 철학 담론 뿐 아니라 書畫나 문학 같은 예술 분야에서도 널리 표현되었다. 미학적 의미의 면에서 초기에 醜의 묘사대상은 인물이었으며, 외형의 추함을 통해 의외의 내적 정신미를 드러내려는 것이 醜라는 미학개념의 효용이었다. 醜라는 미학개념의 설정과 활용은 철저히 도가에서 선종으로 이어지는 脫儒家 체계의 산물이다. 미학적으로 醜와 연관된 개념은 蚩(어리석음), 澀(어눌함), 麤(거침), 拙(졸렬함), 枯(시들함), 生(서투름), 簡(단순함), 奇(기이함), 怪(괴이함), 狂(상궤를 벗어남) 등을 거론할 수 있다. 이러한 醜의 연관 개념들의 성격은, 형상의 추함을 극적으로 전환하여 내면의 질박한 아름다움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醜가 구축한 이러한 새로운 심미방식은 ‘審醜’라 명명할 수 있다. 이러한 醜의 연관 개념의 系譜史的 의의는 동양미학에서 가장 현시적 특징인 審醜 방식의 설정과 구현이다. ‘審醜’ 방식은 이전까지 美를 소재와 기준으로 삼아 예술적 체험과 창작을 했던 ‘審美’ 방식과는 완전히 달리 醜象을 소재와 매개로 삼아 진정한 아름다움, 즉 ‘大美’를 표현하고자 한다. 醜의 양식과 審醜 방식은 궁극적으로 문인예술의 성격을 결정지은 逸의 미학에 가장 결정적인 예술양식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