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외측 반월상 연골손상의 치료

        배대경,권오수,임찬택,Bae, Dae-Kyung,Kwon, Oh-Soo,Lim, Chan-Teak 대한관절경학회 200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5 No.2

        목적 : 반월상 연골 손상은 내,외측에서 단독으로 파열되거나 인대손상과 동반되어 자주 발생하는데 지금까지 내측 반월상연골 손상에 대한 보고는 많으나 외측 반월상 연골 단독 손상에 대한 보고는 흔하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외측 반월상 연골 단독 손상의 치료 결과를 임상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0년 6월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 교실에서 외측 반월상 연골 손상으로 진단되어 수술적 치료를 받은 총 329례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했던 80례를 대상으로 임상적 평가를 후향적으로 시행하였다. 환자의 평균 연령은 30.2세(15세$\~$47세), 평균 추시기간은 1년 3개월(1년$\~$3년 3개월)이었다. 80례를 원판형 연골 손상군과 비 원판형 연골 손상군, 운동 선수군과 비 운동선수군 및 봉합술 시행군과 절제술 시행군으로 분류하고 Tegner 활동도와 Lysholm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 비 원판형 연골군에서 종파열의 빈도와 봉합술 시행의 빈도가 원판형 연골군보다 더 높았으며 운동 선수군에서 봉합술이 더 많이 시행되었다. 봉합술 시행군에서 절제술 시행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우수한 임상결과를 보였다. 결론 : 외측 반월상 연골은 절제술 시행 후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고 봉합술이 수기상 용이하지는 않으나 더 나은 술 후 성적을 얻기 위해서는 종파열뿐만 아니라 수평파열 및 복합파열에서도 부분절제술 후 가능한 한 봉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of isolated lateral meniscus injury according to discoid versus non-discoid, athletes versus non-athletes and repaired cases versus cases treated with meniscectomy.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January 1997 and June 2000, arthroscopic lateral meniscus surgery was performed in 329 cases. We reviewed 80 cases of isolated lateral meniscus injury without associated ligament injury or other pathologic condition retrospectively. The study population was composed of 54 males and 26 females with average age of 30.2 years(range, $17\~40$ years).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5 months(range, $12\~39$ months). Eighty cas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discoid group versus non-discoid group, athletes versus non-athletes, repaired cases versus cases treated with meniscectomy.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Lysholm knee score and Tegner activity. Results : Non-discoid group had higher incidence of longitudinal tear than discoid group. Athletes group had higher incidence of repaired cases than non-athletes group. The repaired group had better clinical result than patient treated with meniscectomy group. Conclusion : Although lateral meniscus has some special features including anatomic mobility which can cause instability after meniscectomy and technical difficulties in repairing, it is recommended repairing meniscus tear not only longitudinal but also horizontal and complex tear to obtain better clinical results.

      • 유골 골종의 치료

        한정수,조창현,조영린,조남수,임찬택,Han, Chung-Soo,Cho, Chang-Hyun,Cho, Young-Lin,Cho, Nam-Su,Lim, Chan-Teak 대한근골격종양학회 2000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6 No.1

        목적 : 유골 골종의 치료에서 소파술 및 절제술을 이용한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 영상증폭 장치하에 K-강선을 경피적으로 삽입후 핵을 Halo-mill로 제거하는 수술을 시행한 경우에도 양호한 결과를 얻어 치료법의 하나로 사료되어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3월부터 1998년 1월까지 유골 골종으로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4례, 여자가 6례였으며 연령분포는 7세부터 42세 까지 평균 20.8세였다. 추시기간은 최저 1년에서 최고 5년 6개월로 평균 3년 2개월이었다. 발생부위는 대퇴골이 9례로 가장 많았고, 경골이 6례, 척추 2례, 척골 1례, 상악골 1례 그리고 두개골이 1례였다. 대퇴골에 발생한 9례중 근위 골간단부는 5례, 경부가 2례, 그리고 골간부가 2례였다. 경골에 발생한 6례는 근위 골간단부와 원위 골간단부에 각각 1례 발생하고 나머지 4례는 골간부에 발생하였다. 정확한 진단과 병소를 찾아내기 위한 방사선학적 검사는 단순 방사선촬영, 골주사, 전산화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였다. 수술방법은 절제술과 소파술이외에 Halo-mill을 이용해 경피적으로 병소를 절제해 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한편 척골에 발생한 1례의 경우에는 인공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 단순 방사선촬영 소견상 골 경화의 중심부에 투명상을 나타내는 핵을 보이는 전형적인 소견을 보인 경우는 방사선 자료의 검토가 가능했던 15례중 10례였으며 나머지는 골피질의 경화소견만 보였다. 골주사는 14례에서 시행되었으며 전례에서 비정상적인 방사능 섭취의 증가가 나타났다. 전산화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각 10례와 4례 중 병소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는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1례가 있었다. 치료는 소파술 6례, 절제술 11례,Halo-mill을 사용한 경피적 절제술 2례, 그리고 인공 주관절 치환술 1례를 시행하였다. Halo-mill을 사용한 2례에서 모두 7mm 크기의 Halo-mill을 사용하여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추시 결과 모든 례에서 증상의 소실을 보였으며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조직학적 소견상, 특징적인 병소를 확인하지 못하고 과골화 소견을 보인 1례를 제외하고는 모든 례에서 특징적인 병소를 확인하였다. 결론 : 유골 골종의 완치를 위해서는 병소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한 방법으로 보편적인 소파술이나 절제술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핵의 정확한 위치 및 크기가 확인되고 경피적으로 도달가능하며 Halo-mill로 핵을 제거할 수 있는 경우에는 Halo-mill을 이용한 경피적 병소 제거술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report the results of curettage and en bloc excision as well as to introduce how to excise the nidus percutaneously with Halo-mill. Material and Methods : Twenty patients(14 men and 6 women) were evaluated, who had operative treatments after diagnosed as osteoid osteoma from March 1990 to January 1998. These patients ranged in age from 7 to 42 years(average: 20.8 years). Locations were 9 femurs, 6 tibias, 2 vertebras, 1 ulna, 1 maxilla and 1 skull. Nine femoral lesions included 5 proximal metaphysis, 2 neck and 2 diaphysis, while 5 tibial lesions included 3 diaphysis, 1 proximal metaphysis and 1 distal metaphysis. We used simple radiography, bone scan, CT and MRI for the accurate diagnosis and localization. As for surgical treatments, while excision and curettage had to need open-exposure of lesion, the percutaneous excision of nidus did not need openexposure : guided Halo-mill into K-wire inserted to nidus under image intensifier. Results : Simple radiography showed that 10 cases had typical nidus and others had only cortical sclerosis. Bone scan was performed at 14 cases and all had hot uptake except one case. We used CT in 10 cases and MRI in 4 cases as diagnostic methods, of which 1 case didn't reveal nidus at CT. Surgical treatment consisted of 6 curettages, 11 excisions, 2 percutaneous excisions with halo-mill and 1 total elbow arthroplasty. We used 7mm sized Halo-mill. During the follow-up period, all patient relieved symptoms and there were no recurrences. All had histologically typical findings except one which had hyperostosis without nidus. Conclusion : Complete removal of the nidu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treatment. We could excise the nidus percutaneously in 2 cases with the minimal injury to surrounding soft tissues. If we could evaluate the precise location, size of nidus and percutaneous acccesibility, the percutaneous excision of nidus with Halo-mill could be an alternative method as a treatment of osteoid osteoma.

      • 활액막 연골종증의 관절경적 치료

        배대경,권오수,이정희,임찬택,Bae Dae Kyung,Kwon Oh Soo,Lee Jeong Heui,Lim Chan Teak 대한관절경학회 200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6 No.1

        목적 : 슬관절에 발생한 8명(9례)의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에 대한 결과를 분석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6월부터 1999년 9월까지 활액막 연골종증으로 진단되어 관절경적 활액막 전절제술 및 유리체 제거술을 시행받은 8명 9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 6명, 여자 2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4.1세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5.9년이었다. 진찰소견에서 동통 및 종창이 주증상 이었으며, 2례에서 장김 현상, 3례에서 평균 28도의 굴곡 구축을 보였다. 결과 : 병리소견 및 관절경 소견상 Milgram 1기 1례, 2기 6례 및 3기 2례였고 부위별로 전반적인 활액막 비후를 보인 경우가 6례, 국소적인 활액막 비후를 보인 경우가 1례 였으며, 국소적 1례의 경우 후내방 및 후외방 구획의 병변을 보였다. 술후 전례에서 임상적 증상의 소실과 함께 정상적 운동범위를 보였다. 술후 재발은 1례로 1차 수술 소견상 Milgram 2기였으며 술후 11개월에 이차적 관절경 수술을 시행받았다. 결론 : 비교적 희귀한 질환인 활액막 연골종증 9례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유리체 제거술 및 활액막 전절제술로 합병증 없이 임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재발 방지를 위해 활액막 전절제술이 필요할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arthroscopic treatment of nine cases of synovial chondromatosis in the knee joints. Materials and Methods : From June 1989 to September 1999, eight patients nine cases with synovial chondromatosis involving knee joints underwent arthroscopic total synovectomy and removal of loose bodies. There were 6 females and 2 males. The average age at surgery was 44.1 years(range, 20-57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5.9 years (range, 2.5-7.3 years). All cases had pain and swelling and two cases had locking preoperatively. Flexion contracture was found in three cases. Results : Pathologic finding revealed Milgram I in one case, Milgram II in six cases and Milgram III in two cases. There were six cases of generalized synovial hypertrophy and one case of localized type. All patients had symptomatic relief by arthroscopic total synovectomy and loose body removal. Second arthoroscopic surgery was performed in one patient due to recurred lesions 11 months after the primary surgery. Conclusion : Clinical results of the synovial chondromatosis with arthroscopic total synovectomy and loose body removal were satisfactory. Arthroscopic total synovectomy was also effective for the recurred case.

      • KCI등재

        족관절 전치환술 - 평균 8년 추시 -

        배대경,김용찬,조남수,임찬택,하정한,Bae, Dae-Kyung,Kim, Yong-Chan,Cho, Nam-Su,Lim, Chan-Teak,Ha, Jeong-Ha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01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5 No.1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functional results of ankle arthroplasty and to analyze the complications in total ankl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1988 and October 1991, the total ankle arthroplasty had been performed in eight ankle joints of seven patients.. There were five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one with osteoarthritis and one with traumatic arthritis. One patient had bilateral replacement. New Jersey type of prosthesis was used in six patients and one patient was performed with Odland type of prosthesis. The average age at surgery was 42.3 years (range, 33-54 year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8.2 years (range, 6-10.5 years). Clinical evaluation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Ankle-Hind Foot Scale of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Results: The average score was 81.4 (range, 76 - 90) at the most recent follow-up. All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linical results. Relief of pain was excellent in most patients, but postopera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range of motion. One patient had arthrodesis at three year six months after total ankle arthroplasty due to deep infec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otal ankle arthroplasty is a good alternative treatment in selected cases of osteoarthritis and rheumatoid arthritis.

      • KCI등재
      • KCI등재

        비외상성 관절염에서의 견관절 치환술의 임상적 결과

        이용걸(Yong Girl Rhee),하정한(Jeong Han Ha),임찬택(Chan Teak Lim),박경준(Kyoung J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2

        목적: 비외상성 견관절 질환에 있어서의 견관절 부분 치환술과 전 치환술의 임상적 결과 및 합병증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견관절의 비외상성 질환으로 견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32명 3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이 16예(47%)로 가장 많았으며 골성 관절염이 9예, 무혈성 괴사가 4예 등이었다. 11예에서는 부분 치환술을, 23예에서는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부분 치환술의 경우 운동시 동통은 수술 전 7.09에서 0.91로 감소되었고 전방 거상은 평균 137, 외회전 및 외전은 각각 평균 55°와 131°였으며, ASES 점수는 평균 82.4점이었다. 전치환술의 경우는 동통이 수술 전 7.04에서 1.17로 감소하였으며, 전방 거상, 외회전 및 외전은 각각 평균 132, 44° 및 132°였다. ASES 점수는 평균 81.2점이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경우 부분 치환술과 전 치환술에서 ASES 점수는 각각 평균 77.8점과 78.1점이었다. 퇴행성 관절염의 경우는 각각 평균 84.7점과 90.8점이었다. 관절와 침식은 부분 치환술을 받은 3예에서 나타났으며 관절와 해리는 전 치환술을 받은 2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비외상성 환자에서의 견관절 치환술로 양호한 결과를 얻을수 있었고 부분 치환술과 전 치환술의 결과는 많은 차이가 없었다. 류마티스성 관절염 보다 퇴행성 관절염에서의 결과가 더 좋았으며, 류마티스성 관절염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and complications of hemiarthroplasty (HHR) and total shoulder arthroplasty (TSR) in non-traumatic arthritis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two patients (34 shoulders) underwent shoulder arthroplasty for non-traumatic shoulder arthropathy. There were sixtee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nine with osteoarthritis, four with avascular necrosis and etc. HHR was performed in eleven shoulders and TSR in twenty-three shoulders. Results: In HHR, the pain score decreased from preoperatively 7.09 to 0.91 postoperatively. The mean forward elevation was 137° and the mean external rotation at the side and abduction were 55° and 131°, respectively. The mean ASES score was 82.4. In TSR, the pain score decreased from 7.04 preoperatively to 1.17 postoperatively. The mean forward elevation, external rotation at the side and abduction were 132°, 44°, and 132°, respectively. The mean ASES score was 81.2. In rheumatoid arthritis, the mean ASES score of the HHR and TSR were 77.8 and 78.1, respectively. In osteoarthritis, the mean ASES score was 84.7 and 90.8, respectively. During the follow up, glenoid erosion was observed in three HHR cases, and glenoid loosening in two TSR case. Conclusion: HHR and TSR produced similar results in terms of the functional improvement. The clinical results were much better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than in those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TSR was performed on most cases of rheumatoid arthriti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