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이후 식민지 조선의 담론공간과 당대 세계·역사상, 그리고 전체주의론

        임종명 역사학연구소 2024 역사연구 Vol.- No.49

        ‘전체주의’는, 언어적으로, ‘부분에 대한 전체의 우위’를 의미한다. 하지만, 본 논문이 문제로 하는 것은 ‘역사적인’, 20세기 전반기, 특히 1930년 대와 제2차 대전기 역사를 표현하면서 그것을 만들어갔던 ‘전체주의’이다. 당시, 전체주의는, 독일과 이탈리아에서처럼, 일본의 제국/식민지에서도 1940년 전후 체제·질서의 영도 원리로 기능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일부 조선 지식인들은 1930·40년대 전반기에 성(盛)하였던 세계사적 시대 전환기 내지는 전형기성과 전체주의의 세계 지배성을 의식하면서 전체주의를 ‘수용’했다. 그 들은 독일 제3 제국에서 발달한 ‘피와 흙(血土)’론을 통해 ‘민족’을 ‘전체’로 구성하였다. 또한, 그들은 사회 유기체론을 전용해 민족·국가를 유기체로 표상하고, 그 구성원을 ‘사지’(四肢)로 정체화하였다. 그렇지만, 조선 지식인들은 전체주의에 있어 ‘국민과 민족의, 또 그것들의 외연 상 불일치’와 ‘민족 지상과 국가 지상의 상충’을 비판하였다. 나아가, 그들은 전체주의의 혈통지상주의가 당대 일본 제국 ‘동아협동체’론을 위협한다고 비판하였다. 바로 이것이 1930년대 후반 이후 일본 제국/식민지 체제 내 지배 이데올로기의 내파 현상이었다. ‘Totalitarianism’ linguistically signifies that the totality is superior to the partiality. Yet what is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istorical totalitarianism which formed, and was formed by, the history of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and, especially, of period between the beginning of the 1930s and the end of World War Ⅱ. As in Germany and Italy during the period, in Japanese empire did the totalitarianism work as the principle of leading its metropolitan/colonial regime around 1940. Facing the contemporary global situation, colonial Korean intellectuals ‘accepted’ the totalitarianism based upon their consciousness of the contemporary global history as the transformational period (chnhynggi, 轉形期)). They constructed the nation as a totality based upon the contemporary German theory of Blut und Boden meaning blood and soil in English. Their totalitarianism represented nation and state as an organic body, identifying people as a part or limb of the body. At the same time, colonial intellectuals criticized totalitarianism for its incongruence between the ethnic and the nation, and the incongruity of their extensions, exposing the problematics two supremacies of the folk and the state carried. Also, they contradicted the leading principle of totalitarianism emphasizing jus sanguinis, based upon another contemporary dominant Japanese theory of co-operative East-Asian body (東亞協同體論). This can be said to have constituted the implosion of the dominant ideologies of Japanese empire in the 1930s and the early 1940s.

      • KCI등재

        5월항쟁의 대중적 참여와 그 계기 및 의식성

        임종명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2 No.-

        The Kwangju Uprising in May 1980 was the historical event which has greatly affected the progress of South Korean history ever since. The historical event has produced a number of researches concerned which have deepened our understandings of the Uprising. Established literatures usually focus upon what socio-historically structured the Uprising, resulting in few researches which explain the popular momentums and motives of their participations in the Uprising.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examines their momentums and motives which facilitated their protests, and also their feelings such as fear which were expressed in the incipient days of 18 through 19. As well known, the Uprising started with May-18th student demonstration at the ga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Noteworthily, the demonstration began spontaneously on the spot, not with prepared plan of consciousness. Students, brutally attacked by ROK Special Warfare Command(SWC hereafter) soldiers, hurriedly moved to downtown Kwangju, and then staged demonstrations. These downtown demonstrations enabled students in Kwangju to get together, transferring protests to downtown and strengthening their demonstrations. Also, the downtown demonstrations produced the time and the space popular masses joined student demonstrations. Downtown protests exposed the brutality of SWC soldiers to the eyes of much more people around the theater. The spatial effect of demonstrations could be confirmed when people, scattered by the soldiers, moved their protests to the outskirts of Kwangju. This led the people there to witness the brutalities of soldiers. This development, in turn, promoted popular participations in the protests downtown or in outskirts. What has been briefed so far shows us the spatial effect of protestors' movements, which affected the progresses of the Uprising. Beside this spatial effect, many momentums and motives, combined with each other, brought forth the popular protests which constituted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Uprising. Among those momentums and motives, the victimhood of Kwangju people developed the protests to popular uprising. The indiscriminate violence which soldiers inflicted upon people in and around the theater made Kwangju people feel that they would be subject to the violent forces of soldiers whether they joined the demonstrations or not. Furthermore, telephones, fly sheets, rumors and others turned even people out of theater into prospective victims, who, they feared, would be victims to brutal soldiers at any time. People in Kwangju, whether on the theater or not, became the victims, real or imaginary. The victimhood of Kwangju people they sensed was interfused with their identities and communalism fashioned throughout modern Korean history, which furthered their sense of a common destiny. This consciousness they harbored led them to dauntless protests against violent soldiers, which developed May-18th student demonstrations to the historical event of the May Kwangju Uprising. 1980년 5월의 광주항쟁은 이후 남한 역사 진행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점은 광주의 5월항쟁을 한국현대사에서 “역사적 사건”(historical event)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였다. 동시에 그것은 5월항쟁에 관한 많은 연구를 낳았고, 이에 따라 5월항쟁에 대한 학문적 이해도 심화되었다. 이러한 기존연구에서 상대적으로 항쟁자체에 대한, 특히 항쟁의 확산과 대중의 항쟁참가에 대한 전면적인 해명은 미흡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대중의 항쟁참여기제와 계기 및 동기·의식에 대한, 요컨대 대중참여의 동학(動學, dynamics)에 대한 보다 주도한 파악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과 현재 연구성과에 유념하여, 본 연구는 1980년 5월 18일부터 19일까지의 항쟁초기 2일간 나타난 광주시민의 항쟁참여 동기와 계기, 태도나 감정·의식 등을 추적하고자 한다. 잘 알려져 있듯이, 5월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 전남대학교 정문 앞 시위로부터 시작되었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항쟁 시작의 ‘자생성’이다. 이러한 것은 5월항쟁이 사전에 기획된 것이 아니라 비조직적인, 즉 현장에서의 즉자적, 자생적 시위로 시작되었다는 것에서 잘 나타난다. 교문에서 시작된 전남대생의 시위는 공수부대에 밀린 전남대생들의 시내 중심부 시위로 이어진다. 학생시위의 시내 중심부로의 이동은 광주 학생들의 집결을 가능하게 하면서, 학생시위대열의 팽창과 시위의 지역적 확산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광주시내로의 학생 진출이라는 공간이동은 시민대중의 동참을 가능하게 할 시공간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시공간의 창출은 시민들의 초기 시위 ‘연루’를 가능하게 했다. 즉 시위 공간의 이동은 시내 중심부의 다중집중성(多衆集中性)으로 말미암아 경찰과 공수부대의 시위 해산과 진압에도 불구하고 시위학생의 이합집산과 재결합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나아가 그들의 시위 가담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시중심부에서의 시위는 더 많은 대중을 공수부대의 폭력성에 노출되도록, 따라서 더 많은 광주시민들로 하여금 그것을 목격하도록, 나아가 시민들을 폭력의 희생자로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시위가 역으로 광주시 외곽으로 확대되면서, 공수부대의 폭력성은 시외곽지역에서까지 노출되게 되었다. 이제, 공수부대의 폭력성은 광주 시중심부, 나아가 주변부의 사람들에게도, 심지어 집안의 가정주부에게도 분명히 감각·인식되었다. 이러한 사태의 진전은 대중의 5월항쟁 참가를 촉진시키면서, 5월항쟁을 만들어 간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공간성의 효과는 5월항쟁 발발과 깊이 연관되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위와 폭력진압의 공간성 문제 이외에도 대중항쟁으로의 발전은 다양한 계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계기 중에서 광주시민의 현재적·잠재적 희생자의식은 광주항쟁의 발전을 추동한 광주시민의 의식을 잘 보여준다. 공수부대의 무차별한 폭력행사는 현장에 있던 사람들뿐만 아니라 현장에 있지 않던 사람들까지 폭력의 잠재적 희생자로 만들었다. 즉, 전화나 ‘유언비어’, 유인물이 폭력 인지가능범위의 지역적·공간적 제한성을 해소시키면서, 폭력 현장에 없던 사람들도 공수부대의 폭력성을 알 수 있게 하였다. 공수부대의 폭력성은 공수부대의, 나아가서는 국가 존립의 정당성을 그 기반에서부터 허물었을 뿐만 아니라 광주사람들에게 그들의 근대적, 국민적 ...

      • KCI등재

        탈(脫)식민 초기(1945.8~1950.5), 남한국가 엘리트의 아시아기행기(紀行記)와 아시아표상(表象)

        임종명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2 No.-

        탈식민 시기 한국인들은 인종·지역 중심의 인식틀에서 아시아를 자신의 정체성 구성과 향후 발전전망 모색의 자원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인식은 아시아를 구주와 특히 미국의 대항적, 대안적 실체로 인식하는 것이었다. 대안적 실체로서의 아시아 인식은 전후 남한에서의 미국 패권의 구축을 인식론적으로 위협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대 남한의 지배엘리트들은 아시아를 재구성하여 주류적 아시아 인식을 수정하여야 했고, 또 실제로 다양한 문화적 사업과 그 사업물의 생산을 통해 수정하고자 시도했다. 당대의 기행문 역시, 당대 주류적 인식과 마찬가지로 아시아를 전통시대 종교·철학·문화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또 근대시기 제국주의 희생의 역사를 공유하는 민족들로 구성된, 장구한 역사의 실체로 표상한다. 나아가 관련 기행문은 공통한 역사·문화·이익을 가진, 또 순전하게 단결해야 할 실체로서의 아시아상(像)을 구축하였다. 이렇게 아세아·동양은 '장구한 역사와 자랑스러운 문화'를 가진 단일한 실체로 표상된다. 기행기는 동시에 아시아를 '서구주의적 문명론의 관점'에서, '전(前)근대·비(非)문명의 공간'으로 표상한다. 즉, 전(前)근대공간으로서의 아시아상(像)은 역사적으로 과거의 공간으로, 구체적으로는 '중세·봉건적(封建的)인, 고대적(古代的)인 공간'으로 표상된다. 전(前)근대적 아세아상(像)은 다시 한번 '고대적인 동양상(東洋像)'에 의해서도 보강된다. 즉, 관련 기행기는 東洋(the Orient)의 대표적인 나라인 이집트를 오래된 나라로, 나아가 고대의 나라로 변형시키면서, 이집트에 의해 대표된 동양을, 아시아를 고대화한다. 그런데, 아시아의 현재를 고대화하는 것은 두개의 시간, 즉 현재와 고대를 하나로 통합하면서, 동일한 시간성의, 나아가 시간이 정지한, 변화 없는, 정체(停滯)된 아시아를 표상한다. 정체된 공간으로서 표상된 아시아가 자연화되는 것은 필지(必至)의 것이었다. 이와 같이, 아시아는 세계기행기 속에서 자연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간상으로 원시적 공간으로, 또 문화·문명론상에서 비(非)문화적 공간으로 표상되고 구성된다. 이로써, 아세아는 시간상으로 원시적 공간으로, 또 문화·문명론상에서 비(非)문화적 공간으로, 따라서 문화·문명이 없는 자연의 공간으로 표상되고 구성된다. 이와 같이 자연화된 아시아는 관련 기행기에 의해 자신의 단일성 마저 부인될 운명에 처하게 된다. 다시 말해 각종 기행문은 서양에 대(對)해서 단일한 실체로서 구축했던 아시아상(像)을 스스로 부인한다. 즉, 관련 기행기는 상호 생면부지(生面不知)인 나라들로 구성된 "亞細亞"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아세아·동양은 각각 "자기 나라 고유의 문화"를 갖고, 따라서 다양한 생활문화를 가진 나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의 만남조차도 '미안함과 창피함, 불만, 그리고 어색함과 당황스러움, 또 불만과 낙심(落心)'이, 나아가 쌈판 같은 소란이 동반(同伴)하는 곳이 아시아이었다. 나아가 기행기는 아시아를 인종적으로도 순일(純一)한 공간이 아닌 것으로 표상하고 있었다. 이러한 속에서 앞서 구축된 아시아상(像), 즉 '단일한 실체로서의 아시아'는 의심되고 동요되어진다. 뿐만 아니라, 그것의 공동한 이해(利害)와 단결의 필요성조차 의심되고 반박된다. 아시아 기행기의 '순일한 아시아'의 부인은 당시 상상되던 구미, 특히 미국의 대안적 실체로까지 인식되던 아시아를 해체시키는 것이었다. 단일한 실체성 부인은 당대의 상황에서 동시대 한국인의 구미(歐美), 특히 미국과 경쟁할 수 있는 대안의 존재를 원인 무효화하는 것이었다. 바로 이러한 것이 당대 남한국가 엘리트들의 아시아기행기가 갖고 있는 정치적 함의의 하나라 한다면, 또 다른 정치적 의미는 그 기행기가 구주와 미국, 특히 미국의 헤게모니를 남한사람으로 하여금 수용하도록 촉진하는 것과 관련된다. 다시 말해서, 아시아기행기의 아시아상 구축은 독자로 하여금 당대 '최고의 문명국'으로 인식되던 미국문명의 실현을, 달리 말해서, 미국의 문명적 지도를, 요컨대 미국을 수용하도록 하기 위한 사전작업이었다. 이러한 점에 유의할 때, 우리는 당대 남한국가 엘리트의 아시아 기행기가 남한국가와 미국의 '유대', 또는 탈식민지 남한에 작동하는 미국의 패권을 인식론적으로 정당화하는 문화작업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우리는 그 기행기가 초(超)인종·지역적인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표상된 냉전의 초기 진행에서 미국 블록(bloc)의 일원이 된 남한국가를 민주주의 이념·담론과, 또 마찬가지로 초(超)인종·지역적인 이념·담론인 근대주의와 문명주의로 정당화하는 작업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것이 탈식민 초기 남한 지배엘리트의 아시아기행기가 갖고 있는 역사적 의미였다. From the race-and region-oriented view of the world, not a few post-colonial South Korean texts conceived the Aisa as the foundational entity for their own identification and development. This meant that the Asia was imagined as an entity alternative to the contemporary hegemon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imagination threatened to nullify the epistemology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ates as a hegemon over East Asia and also South Korea. Faced with this problematics, ruling elite of contemporary South Korean state had to reconstruct the major imagination of the Asia shared by multitudes of South Korean people and actually did so with a veriety of cultural projects and products such as travelogues to the Asia written by South Korean elite in governmental, political, cultural and other realms. As the major imaginations concerned did, the travelogues also spatialized the Asia as the long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That is, the texts represented the Asia as the entity of long history which shared the common traditional religion, philosophy and culture, and the modern experience that Asian people got victimized by Western colonialism, and accordingly were to unite for their common interest. In a word, The travelogues identified the Asia as the entity of common interests caused by history and culture. At the same time, the travelogues represented the Asia, in terms of 'civilization', the space with no civilization. This civilizational representation was followed by historical representation. That is, the Asia was represented as what it historically belonged to the past, in other words, the ancient or feudal. This temporalization was illustrated in the representation of Egypt, where the country was presented as the old state, and, one step farther, as the ancient one. The imagination of Egypt rendered ancient the Orient represented by Egypt, and the Asia in extension. This series of temporal identification of the Asia meant that the area has stagnated with no historical development. This temporalization of the Asia, in turn, was to represent it as an ahistorical space, and accordingly as the space of no culture insofar as contemporarily culture was conceived as historical achievement of humans. This constructed Asia, however, was never stable nor settled, it was always contested within the text per se. The text contained the fissures and collisions within itself. That is, the text denied the imagined homogeneity of the Asia against its other of the West/Oxident, and even within the self of the Asia. The text represented Asia as the space composed of different races with different cultures. This representation meant that they had no common interest which united them. Ultimately it led to nullification of the Asia as an entity and accordingly the contradiction of the necessity of their solidarity. This nullification and contradiction epistemologically de-constructed the Asia which was contemporarily imagined as the entity alternative to hegemonic America. It is this de-construction that determined one of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Other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could be confirmed in their politics that they had the cultural potentials of persuading South Korean masses to embrace the hegemony of the "highly modernized" States in terms of civilization and modernism. In this sense, what the travelogues constructed constituted the preliminary work for the ultimate construction of the American hegemony over South Korea and the East Asia in extension. With this in mind, we can conclude the travelogues were the cultural products for the ideational justification of the 'alliance' of South Korean state with regionally new hegemon in the post-colonial era, the States. Also we can say that the travelogues meant to ideologically justify the positioning of South Korean state in the American bloc with the seemingly trans-racial and -regional ideologies of modernism and civilization. These justifications constituted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travelogues to the Asia produced by the contemporary ruling elite in post-colonial and post-War era.

      • KCI등재

        1946년 10월 대구·영남 사건의 명명 작업과 그것의 정치성: 사건·사태, 소요·소동, 민요·민란을 중심으로

        임종명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4 No.-

        The October Incident in 1948 Taegu and Yŏngnam was a historical event.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emporary competitions of Naming the Incident and its politics. The competition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ntemporary problematics of language. The competitions carried with themselves the problems that the words developed to name the Incident did not have clear meanings, a reflection of the post-colonial amorphousness. The post-colonial South Korea brought forth the instability of the words exploited to name the Incident. In general, contemporary newspapers called the Incident a value-free ‘incident’(사건). The naming necessitated the signification of the Incident. Thus, the newspapers signified the Incident as anti-nationalist one even though they called it as an incident. This strategy could be witnessed also in the naming of the Incident as ‘a disturbance’(소요). A disturbance was a-political naming, so it was problematic to the contemporary political newspapers. Thus, newspapers developed every means to prevent their readers’ deviation from the messages newspapers encoded in the naming. The naming of the Incident as ‘a popular revolt’(민요) was problematic, too. The popular-revolt naming subjectivized the popular people, favoring them. At the same time it objectified the people, de-subjectivized them. Furthermore, there followed the meeting between popular revolt and riot which constituted an another aspect of a popular revolt. 1946년의 10월 대구·영남사건은 ‘역사적 사건’이었다. 본 논문은 10월 사건의 진행 과정에서, 또 그 직후 이루어진 명명 문제와 함께 그것의 의미화에 유의하면서, 명명 작업과 그것의 정치성을 파악한다. 해방 직후 언어 형태의 명명을 둘러싼 경쟁은 당대 언어 의식과 관련된다. 10월 사건을 둘러싼 명명 작업에서 해방 직후 당대 무정형성 등이 반영되어 명명의 자료가 되는 관련 단어의 의미조차 분명치 않았다. 탈식민화라는 해방 직후 상황은 당대 언어의, 따라서 10월 사건 명명에 동원된 단어들의 불안정성을 낳았다. 10월 사건의 명명 작업에 있어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된 것은 ‘사건’이었다. 10월 사건의 가치중립적인 ‘사건’ 명명은 10월 사건에 대한 의미화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대 우익지는 10월 사건을 ‘사건’이라고 명명하지만 기사 제목이나 본문의 서사를 통해 그 사건을 정치적으로 반(反)민족적인 ‘폭동’으로, 또는 ‘민중·인민 봉기·항쟁’으로 의미화하였다. 명명과 의미화 작업은 10월 사건의 ‘소요·소동’과 관련해서도 확인된다. ‘소요·소동’은 ‘사건’이나 ‘사태’(事態)와 마찬가지로 사전적 의미상 ‘비정치적’ 언어였다. 그렇기 때문에 ‘소요·소동’은 10월 사건을 명명하는 데 있어 명명자가 독자들의 의제 이탈 방지 장치를 마련해야 했고, 또 실제로 10월 사건을 ‘폭동’ 또는 ‘항쟁’으로 의미화하였다. 10월 사건의 명명 작업에 있어 문제적인, 그러나 다른 측면에서 그러한 명칭으로는 ‘민요·민란’이 있었다. ‘민요·민란’ 명명은 ‘민(民)’을 주체화하는 ‘민 친화적’인 것이었다. 동시에 그것은 ‘민(民)에 반(反)’하거나, 최소한 ‘민을 대상화’하는 것이기도 하였다. 이러한 속에서 민요·민란 명명은 폭동 명명과 만난다. 바로 양자가 만나는 것이 민요·민란 명명의 다른 모습이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