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교양교육 제재로서 북한 과학환상소설 역할 연구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 수록본을 중심으로-

        임인화 ( In Hwa Im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5 문학교육학 Vol.49 No.-

        본고는 북한 문예지에 수록된 「과학환상소설」을 분석함으로서 과학환상소설이 가지고 있는 사회교육적 기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 교육의 핵심은 사회주의 체제 유지 및 공산주의 인간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에 있으며 이를 위해 당이 발간하는 문예지를 이용한다. 북한의 대표적인 문예지는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이며 이들 문예지에 수록된 작품은 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교육의 제재로 사용된다. 문예지에 수록된 다양한 장르 중 본고는 『과학환상소설』에 주목했다. 최근 북한은 당 정책을 통해 『과학환상소설』 의 창작을 독려하고 『과학환상소설』의 문예지 수록 비중을 늘리고 있는데 『과학환상소설』을 둘러싼 이러한 경향의 이유 및 과학환상 소설이 가지는 사회교육적 기능을 살피기 위해 북한의 3대 문예지인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 에 수록된 ‘과학환상소설’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문예지에 수록된 ‘과학환상소설’의 작가, 제제별 양상을 분석하는 한편 타장르와 변별되는 ‘과학환상소설’만의 독특한 역할을 살피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science fictions in North Korean literary magazines and find out socio-educational functions of science fictions. The key in North Korean education is the maintenance of socialist system and liberal education to raise communist human beings. One of the educational media that is used for this purpose is the literary magazines published by the party. North Korea ’s representative literary magazines are ‘Joseon Munhak’, ‘Cheongnyeon Munhak’, and ‘Children;’s Munhak’ and the works contained in these magazines are used for liberal education of North Korean citizens. Recently, North Korea is encouraging the creation of science fictions and increasing their portions in literary magazines. To examine the reasons for this trend regarding science fictions and to find out the socio-educational functions of science fictions, science fictions included in North Korea ’s three major literary magazines, ‘Joseon Munhak’, ‘Cheongnyeon Munhak’, and ‘Children’s Munhak’ were reviewed. This paper analyzed writers and aspects of topics of these science fictions and tried to find out science fiction-specific characteristics that are not found in other genres.

      • KCI등재

        교양교육 제재로서 북한 실화문학 역할 연구 - 김정은 시기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

        임인화 ( Im In-hw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1

        본 연구의 목적은 김정은 시기 북한 문예지에 수록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실화문학을 분석해 김정은 시기 실화문학의 교육적 기능을 살피는 것에 있다. 북한 교육은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이를 지탱할 공산주의 인간 양성을 목표로 하며 당이 발간하는 문예지 속 작품은 북한 주민에 대한 교양교육의 제재로 활용된다. 북한 문예지에 수록된 다양한 장르 중 본고는 실화문학에 주목했다. 북한은 최근 당 정책을 통해 실화문학의 창작 독려와 함께 문예지 수록 비중을 높이고 있다. 과학환상소설을 독려하던 이전 시기 흐름에서 벗어나 실화문학을 독려하는 이유와 실화문학의 문학 교육적 기능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의 3대 문예지인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에 수록된 실화문학을 검토했다. 이를 통해 문예지에 수록된 실화문학의 작가, 제재별 양상을 분석해 김정은 시기 실화문학만의 역할을 살피고자 했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Silwha literature” of Kim Jong Un, which is increasing in proportion in North Korean literary journals, to examine the socio-educational functions of the true story of Kim Jong Un. The core of North Korea's education lies in liberal arts education to maintain the socialist system and foster communist humans, which uses literary journals published by the party. North Korea's representative literary sites are Joseon literature, Cheongmyeon literature, and children's literature, and their works are used as a sanction for liberal education for North Koreans. Among the various genres included in North Korean literary journals, the main school focused on true story literature. At the same time as the Kim Jong-un regime stabilized, North Korea has recently encouraged the creation of “Silwha literature” through party policie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literary journals in “Silwha literature“. In order to examine the reasons for this trend of encouraging true stories and the social and educational functions of true stories, the three major literary magazines in North Korea, Joseon literature, Cheongnyeon literature, and children's literature, were reviewed. Through this, the author of true story literature and the aspects of sanctions included in the literary magazine were analyzed, while looking at the unique role of “Silwha literature”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genres.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전문대학 학습자의 서평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임인화 ( Im In Hwa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 Vol.0 No.73

        본고의 목적은 학습자 중심 교육 방안으로서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의를 살피고 대학 글쓰기 교육에 적용해 그 가능성과 한계를 살피는데 있다. 플립러닝은 교실이라는 특정 공간에서 교수자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기존 교육형태가 학습자를 소외시켰음을 지적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된 교육방안이다. 플립러닝은 수업의 형태를 온라인 사전수업과 오프라인 본 수업으로 확장하고 활동 중심 수업 운영으로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여 학습자 중심 교육을 지향한다. 대학에서는 개인의 기본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이나 자아성찰, 또는 공감 및 소통능력 신장이나 전문적 표현 능력 개발과 같은 다양한 목적을 바탕으로 글쓰기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글쓰기 교육이 전통적 형태의 수업방식을 따름에 따라 학습자 중심의 수업구현에 이르지 못해 글쓰기 교육이 가진 교육적 의의를 온전히 구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글쓰기 교육을 벗어나기 위한 대안으로 플립러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을 구안했다. 이를 위해 플립러닝의 교육적 의의를 살핀 뒤, 플립러닝 교육모형 중 하나인 PARTNER 모형을 글쓰기 교육에 적용해 실제 전문대학 학습자에게 글쓰기 교육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살필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피드백의 효과 향상과 같은 플립러닝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의 긍정적 면을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lip learning’ a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method and apply it to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to examin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Flip learning is an educational method proposed as a way to overcome the existing teaching patterns centered on professors in a particular space called classrooms, pointing out that they have alienated learners. Flip learning aims for learner-centered education by expanding the form of classes to online pre-classes and offline main classes and increasing th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rough activity-oriented class operation. The university offers writing classes based on various purposes, such as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s basic communication skills or self-reflection, or the development of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or professional expression skills. However, this writing education is criticized for not being able to fully realiz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writing education because it does not reach a learner-centered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traditional form of teaching. Therefore, this high school proposed writing education using flip learning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writing education. To this end, after examin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lip-learning, the PARTNER model, one of the educational models of flip-learning, was applied to writing education to actual college learners. As a result, we were able to examine the improvement of learners’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and found positive aspects of writing education using flip learning such as the improvement of feedback.

      • KCI등재

        통일문학교육 제재로서 디아스포라 문학 역할 연구

        임인화(Im, In-Hwa)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국어교육 내 디아스포라 문학의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토대로 통일문학교육에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위상과 역할을 모색함에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디아스포라 문학이 문학교육에서는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살피고 디아스포라 문학을 세대 및 시기, 지역별로 분류해 특성을 검토했다. 이후 디아스포라 문학이 통일문학교육의 제재로서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모색하기 위해 독일의 사례와 국내의 선행연구 사례를 통해 통일교육이 추구하는 교육목표와 통일문학교육 제재 선정의 방향성을 모색했다. 이상을 바탕으로 통일문학교육 제재로서 디아스포라 문학의 역할을 살펴보면 디아스포라 문학에 형상화된 북한의 모습과 탈북자의 고단한 삶, 통일 이후 디스토피아가 된 통일한국의 모습은 직접적 교류가 막힌 현 상황에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간접적 체험의 장이자 남과 북의 이질성을 최소화하고 동질성을 극대화 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 또한 디아스포라 문학은 통일문학 교육 제재로서 세계문학과의 접점 확보를 통한 한국문학의 외연을 확장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디아스포라 문학은 통일 한국 시기, 우리에게 새로운 정체성 형성의 기제로 작용할 것이다 남과 북의 통일과 함께 다문화 사회가 된 통일한국 사회가 겪을 수많은 갈등에 대해 디아스포라 문학은 ‘또 다른 나’의 시선으로 한국사회에 수많은 질문을 던질 것이며 우리는 이러한 질문에 답함으로써 인식의 지평을 확대함과 동시에 미래 한국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current aspects of diaspora literature in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status and role of diaspora literature in unified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this. To this end, we first looked at how diaspora literature is presented i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iaspora literature by classifying it by generation, time and region. Later,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Diaspora literature as a sanction for 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the government examined the direction of the selection of sanctions on 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along with the educational goals pursued by unification education. Looking at the role of diaspora literature as a sanction for 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North Korea"s image in diaspora literature, the hard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 unified Korea, which has become a dystopia since unification, will serve as a venue for indirect experiences to understand each other at a time when direct exchanges have been blocked, as well as an opportunity to minimize the heterogeneity of the South and the North. In addition, diaspora literature is a sanction for the education of unified literature, and diaspora literature will expand the scope of Korean literature by securing contacts with world literature. It will also serve as a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a new identity for us during the period of unified Korea. On the numerous conflicts facing a unified Korean society that has become a multicultural society with the unifica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Diaspora literature will ask numerous questions to Korean society in the eyes of "Another Me," and we will be able to expand the horizon of perception while at the same time forming a new identity demanded by future Korean society.

      • KCI등재

        통일문학교육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 연구

        임인화 ( Im In-hwa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본 연구는 통일문학교육과정의 핵심인 교육목표를 설정함에 있어 그 바탕이 자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는 통일문학교육의 교육이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계에서 논의되는 통일교육은 크게 통일 이전시기를 준비하는 ‘준 비교육’과 통일 이후를 준비하는 ‘대비교육’으로 나뉜다. ‘통일대비교육’이 통 일 이후 한반도에서 실제적으로 이루어질 교육이라면 통일대비 교육의 핵심인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통일문학교육과정의 여러 요소 중 본 연구자가 주목한 것은 교육이념이다. 일반적으로 교육이념은 교육목표 설정의 이론적 토대이자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올바른 교육이념은 교육과정의 설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통일문학교육의 이념 모색을 위해 그동안 이루어진 통일교육의 변화양상과 함께 통일교육이 국어과에 어떤 모습으로 투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문학교육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의’가 가진가능성 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통일문학교육의 이념으로서 ‘민족주의’와 ‘다문화주 의’가 가진 가능성과 한계를 살피고 두 이념의 한계를 보완-대체할 수 있는 ‘열린민족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통일문학교육의 이념으로 제시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a ideals of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which offer theoretical basis on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curriculum. There are two kinds of Preparing Unification Education. One is ``Preparing Educaton`` which is done before reunification. And The other is ``To Prepare Education`` Which will be done past reunification. Even though no one knows when it happen, It is essential to research about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curriculum. Among the Components of Education curriculum, What I give Attention is a ideals of education. The Ideals of education is a theoretical basis on educational objectives and is a standard of general aspects about its Curriculum. So it is important to set a good ideals of education When we design curriculum. To seek a ideals of re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Examining aspect of transition about goals of reunification, and Checking a aspect of Korean education which is influnced by transition about goals of reunification. I checked its pros and cons between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To prevent those of Cons, I suggest ‘Open Nationalism’ and ‘Interculturalism’ in place of ‘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 KCI등재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에 관한 연구

        정재찬(Chung, Jae-chan),임인화(Im, In-hwa)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5 No.-

        이 글은 북한 청소년 독자를 대상으로 발간되는 북한 문예지『청년문학』을 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시대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의 교육목표는 김일성의 사회주의 교육 테제에 따라 체제 유지 및 선전에 필요한 공산주의 인간형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해 온 것이 바로 문학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학교교육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교육 차원에서도 문학의 힘을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대표적인 교육매체 중 하나가 문학잡지이다. 북한의 잡지는 모두 당에서 출간되는데, 문학교육과 관련된 잡지로는『조선문학』, 『아동문학』, 『청년문학』 등이 있다. 이 중 『청년문학』은 주독자층을 14∼30세의 청년으로 한정하며 전문 작가만이 아니라 일반 청소년들의 작품도 수록하며, 이에 대한 전문작가의 평론까지 게시하고 있어 문학교육 측면에서 주목을 끈다. 본고에서는 201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발간된 월간 『청년문학』에 수록된 문학작품을 장르별, 주제별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청년문학』에 수록된 작품의 장르 및 작가, 주제별 양상을 분석하는 한편, 북한 청소년에게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교육의 모습을 살피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al educational aspects of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under the administration of Kim, Jong-eun by analyzing 『Cheongnyeon Munhak』, a North Korean literary magazine targeting adolescent readers in the regime. The educational goal of North Korea is to bring up communist-type individuals needed to maintain the regime and do the propaganda according to the socialist education thesis of Kim, Il-sung. It is literature that has performed its functions as an essential instrument to attain the goal. North Korea makes its efforts in the dimension of social education as well as school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 In North Korea, social education is usually provided by a network of schools, social culture agencies, and related agencies, which mainly use a literary magazine as one of their educational media. In the regime, all magazines are published by the party including 『Joseon Munhak』,『Children Munhak』 and 『Cheongnyeon Munhak』 of which 『Cheongnyeon Munhak』 mainly targets young people aged 14∼30 and publishes the works of professional writers and common adolescents and also professional writers" criticisms of works by common adolescents, thus drawing attention in the area of literary education.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literary works published in monthly 『Cheongnyeon Munhak』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4 by the genres and topics and examined the works published in the magazine by the genres, percentage of topic, and aspects and the forms and discourses of literary education provided to adolescents in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