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군의 ‘삼전(三戰)’을 통해서 본 북한군의 인지전과 대응방안

        임상욱 국방정신전력원 2024 정신전력연구 Vol.-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군이 수행하는 인지전인 ‘삼전’의 개념과 사례를 통해서 북한군의 인지전을 이해하고 한국군의 대응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인지전은 중국과 러시아같은 공산당 독재체제 기반의 권위주의 국가에서 발전된 개념으로, 상대방의 국민과 군인에게 ‘인지 오류’를 일으켜 궁극적으로 싸우지 않고 승리하기 위해 수행된다. 북한도한국을 향해 인지전을 수행하고 있으나 그들의 폐쇄성으로 인해 그 개념과 특징 등을이해하는데 제한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과 유사한 당, 군 구조를 갖춘 중국의 인지전인 ‘삼전’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북한군의 인지전 개념과 수행 방향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 최근 보여준 대남 도발과 행위, 발언 등을 통해 볼 때삼전과 유사한 인지전을 수행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응방안으로는 인지전에대한 개념 인식을 바탕으로 한 교리를 확립하고 통합 기구를 설치하며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한편, 정신전력 개념을 확장하여 군사력의 한 부분으로 발전을 시킬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military’s cognitive warfare through the concept and examples of ‘three warfare’. a cognitive war performed by the Chinese military,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Cognitive warfare is a concept developed in authoritarian countries based on the communist dictatorship, such as China and Russia, and is carried out to win without fighting the other party’s people and soldiers. North Korea is also carrying out cognitive warfare toward South Korea, but due to their closed nature,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dict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North Korean military’s cognitive warfar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ree warfare, a cognitive war in China that has a similar party and military structure to North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orth Korea carried out a cognitive war similar to that of three warfare in view of the recent provocations, actions, and remarks against the South. As a countermeasure,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octrine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concept of cognitive warfare, install an integrated organization,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and expand the concept of mental power to develop into a part of military power.

      • KCI등재

        동학의 정체성 형성 과정에 미친 서학의 영향 : 동학의 성장과 몰락

        임상욱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8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사상을 이루는 개념들 중 다분히 서학의 자산으로 간주할 수 있는 핵심 요소는 무엇일 수 있는지를 살피려는 데에 있다. 최제우는 동학의 창시자였음에도 당시 조선 왕조는 그를 서학도로 몰아 사형에 처했다. 이에 동학이 수용한 서학적 요소는 초기 동학의 정체성 형성과, 최제우 사후 동학의 정체성 변화에 과연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종교별 인구 통계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동학의 독자적 정체성을 둘러싼 논란에 대해서이다. 여기엔 동학의 종교 정체성에 관련한 이슈와, 실천적 삶의 방식에 주안점을 둔 동양적 시각이 서로 맞물려 있다. 둘째, 최제우의 동학이 추구했던 핵심 가치는 바로 나라를 바로 돕고 인민을 편안하게 만드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것이었다. 그 방법이 종교적인지, 그렇지 않은지의 여부는 최제우에게 부차적인 문제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최제우의 동학은 서양의 종교적 특성과 동양적 삶의 방식이 불분명하게 서로 혼합된 형태로 자리 잡았다. 전자가 요구하는 신비적 체험은 후자에 자연스러운 삶의 방식과 필연적으로 충돌하게 되었다. 둘째, 최시형의 동학은 일상에서 신비로운 색채를 모두 걷어내고, 지기일원론에 가장 충실한 정체성을 보였다. 역설적이지만, 최제우 동학에 내재 된 모순 덕분에, 이제 모든 만물은 천주처럼 대접받아야 할 존귀한 존재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e elements that can be regarded as assets of Seohak among the concepts that make up the Donghak ideology. Even though Choi Je-woo was the founder of Donghak, the Joseon Dynasty at that time drove him to Seohak and put him to death.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discuss how the elements of Seohak that Donghak accepted had on the formation of Donghak's identity in the early Donghak and the change of Donghak's identity after Choi Je-woo's death. For this purpose, literature studies and demographic statistics by religion were us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controversy surrounding Donghak's independent identity. Here, the issues related to Donghak's religious identity and the Eastern perspective that focuses on a practical way of life are intertwined. Second, the core value pursued by Je-Woo Choi's Donghak was about what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help the country right away and make the people comfortable. Whether the method was religious or not was a secondary question for Choi Je-wo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e-woo Choi's Donghak was established as a form in which Western religious characteristics and Eastern way of life were unclearly mixed with each other. The former mystical experience inevitably collided with the latter's natural way of life. Second, Choi Si-hyung's Donghak removed all mystical colors from normal life, and showed the most faithful identity to the Jigi-monism. Paradoxically, thanks to the contradictions inherent in Choi Je-woo's Donghak, all things are now a precious being that should be treated like a heavenly lord.

      • KCI등재

        평등만물학의 조건

        임상욱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9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핵심 가치인 평등을 실현하는 현실적인 조건은 과연 무엇인지를 탐색하려는 데에 있다. 지기일원론에 따라 평등은 인간을 비롯한 만물 전체에 적용되는 가치라는 점에서, 동학은, 다름 아닌, 평등만물학이기도 하다. 이의 실현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다양한 분야의 통계 지표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인간과 인간 간에 요구되는 평등의 조건에 대해서이다. 여기엔 부의 불평등 문제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불평등이 존재한다. 둘째, 인간과 인간 아닌 만물, 즉 인간과 생태계 간에 요구되는 평등의 조건에 대해서이다. 여기에서 인간은 양자 간의 불평등을 야기한 가해자이자 동시에 피해자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인간과 인간 간 평등을 위한 전략이다. 즉, 시민의 민생 관련 권리를 적극적으로 강화해가는 포지티브 전략과, 기득권의 특권과 반칙을 원천 배제하는 네거티브 전략이다. 둘째, 인간과 생태계 간 평등을 위한 전략이다. 즉, 개인으로서 좀 더 생태 친화적인 식단을 선택하거나, 사회 구성원으로서 편향된 과잉 생산 구조의 개선을 위한 연대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listic conditions for realizing equality, the core value of Donghak. According to Jigi-ontology, equality is a value that applies to all beings, including human beings, and thus Donghak is also the science of everything for equality. Literature studies and statistical indicators in various fields were used as a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conditions for this realiz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rst, about the conditions of equality required between human beings. There are various types of inequality, including the problem of wealth inequality. Second, it is about the conditions of equality required between humans and non-human creatures, that is, humans and ecosystems. Here, humans are both the perpetrators and victims of the inequality between the tw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a strategy for human-human equality. In other words, it is a positive strategy that actively strengthens citizens' rights related to people's livelihood, and a negative strategy that fundamentally excludes privileges and fouls of the vested interests. Second, it is a strategy for equality between humans and ecosystems. That is, as an individual, choosing a more eco-friendly diet, or as a member of society, solidarity for the improvement of the biased structure of overproduction.

      • KCI등재

        동학의 대통령- 동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제20대 대통령 후보 비교

        임상욱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o can be the ‘President of Donghak’ closer to the ideal of Donghak on the occasion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Since the ideal of equality pursued by Donghak has not yet been fully realized, it is necessary to find the link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inequality and interpret it in a modern way.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literature research and statistical indicators in various fields were us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rst, about the qualifications required for the president of Donghak. This again includes the question of ‘why do you want to become president?’ and the level of human rights awareness of each candidate. Second, as the president of Donghak, it is about what and how he wants to change. For this, concrete methods to eliminate the evils of our society and clear measures to alleviate economic inequality are nee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irst, that the ruling party candidate ran for president for the public good, and he had a genuinely good attitude.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why the opposition candidate ran for president is unclear and shows anti- human rights characteristics. Second, one candidate recognized the reform of the prosecution and the other recognized the strengthening of the prosecution power as reform tasks. To alleviate economic inequality, the ruling party candidate proposed a new land tax and basic income, and the opposition candidate proposed various tax cuts. 이 연구의 목적은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즈음하여 동학의 이상에 더 가까운 ‘동학의 대통령’은 과연 누구일 수 있는지를 탐색해보려는 데에 있다. 동학이 지향하는 평등의 이상이 아직 온전히 실현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과거와 현재 불평등의 연결고리를 찾아 현대적으로 해석해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다양한 분야의 통계 지표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동학 대통령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격에 대 해서이다. 여기엔 다시 ‘왜 대통령이 되려고 하는가?’의 물음과 함께 각 후보의 인권 의식 수준이 포함된다. 둘째, 동학의 대통령으로서 무 엇을 어떻게 바꾸고 싶은가에 대해서이다. 여기엔 우리 사회의 폐단을 없애는 구체적인 방법과 경제 불평등을 완화하는 뚜렷한 방안이 요구 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여권 후보의 출마 이유는 공공의 이익을 위 해서이고, 진정성 있는 태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야권 후보의 출마 이유는 불분명하고, 반인권적 특성이 보인다. 둘째, 여야 후보는 각각 검찰개혁과 검찰권 강화를 개혁 과제로 인식했다. 경제 불평등 완화를 위해선 여권 후보는 토지세 신설과 기본소득 지급, 야권 후보 는 다양한 감세 공약을 내놓았다.

      • KCI등재

        동학의 현대화- 동학 문헌의 현대어 변환 현황 -

        임상욱 동학학회 2022 동학학보 Vol.- No.63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 문헌의 현대어 변환 현황을 진단하고, 필요 한 대안을 모색하려는 데에 있다. 동학의 현대화는 동학의 핵심 가치 가 일반 대중에게 다가갈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다. 그중에서도 동학 문헌의 현대어 변환 작업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 로는 문헌 연구 및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데이터, 그리고 통계 및 일부 언론 보도 등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국내에서 활동하는 주요 종교의 경전 번역 현황에 대해서이다. 여기엔 천주교와 불교, 그리고 이슬람 및 일부 민 족종교의 경전 한국어화 현황이 포함된다. 둘째, 동학 경전 언어의 현 대화 현황에 대해서이다. 여기엔 천도교 교단에서 제공하는 경전 번역 과 개별 연구자들이 내놓은 번역 성과물 사이에 놓인 각각의 차이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동학 경전의 현대어 변환 작업은 글로벌 종 교의 경전 번역 현황과 비교할 때 지속적이지 않고, 조직화 된 상태도 아니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그럼에도 개인 차원의 다양한 현대화 연구는 고무적이다. 비록 문헌 전체는 아니더라도, 동학의 주요 개념에 대한 현대적 해석을 통해 대중과 함께 동학의 핵심 가치에 대한 공유가 가능할 수 있다.

      • KCI등재

        장애인 1인가구의 형성과 사회적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장애인 1인가구를 중심으로 -

        임상욱,전지혜 서울연구원 2021 서울도시연구 Vol.22 No.4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orming a single-person household with a disability and to suggest a social support plan. This study used the subject analysis method as a qualitative study, and nine participants with disabilities who lived in a single household for more than two yea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In some cases, the formation of a single-person household with a disability appeared as a voluntary choice or inevitable choices due to family relations and circumstances such as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isabled and lack of proper care. They were found to b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independent living due to lack of social awareness, accessibility problems, and economic difficulties. Ironically, the satisfaction of life was high in enjoying freedom from the family, and even if there were difficulties in independent living.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olicy fo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disabilities and a comprehensive housing and support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xpansion of pensions for the disabled, improvement of awareness in the region, reconstruction of family roles, and the need for countermeasures in an emergency.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는 사회적 현상 속에서 장애인 1인가구도 늘어나고 있다. 최근 장애인 정책이 탈시설·자립생활 지원으로 전환되면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장애인 1인가구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지만, 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애인 1인가구의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사회적 지원방안은 무엇인지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질적연구로 주제어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로는 서울에서 2년 이상 1인가구 생활을 하는 장애인 9명을 선정하여 개별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는 4개의 상위범주, 1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되었다. 장애인 1인가구는 자발적 선택으로 형성된 경우도 있었지만, 대부분 가족의 장애인 이해 부족, 적절한 돌봄의 부재 등 가족관계와 상황에 따른 선택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1인가구 형성 이후 이들은 사회적 인식 부족, 접근성 문제,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자립생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동시에 가족에게서 벗어나 자유를 누린다는 점에서 삶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자립의 어려움이 있다고 하더라도 1인가구를 유지할 계획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역 내 장애인을 위한 종합주거와 지원체계, 장애인 연금 확대, 지역 내 인식개선, 가족 역할의 재구성, 긴급상황 시 대응책 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동학의 이상과 현실

        임상욱 동학학회 2023 동학학보 Vol.- No.6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what realistic factors hinder the ideal of Donghak, and to explore what practical actions can promote the ideal of Donghak.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literature research, digital data in various fields, statistics and some media reports were us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ideal of Donghak is hindered by the inequality caused by humans in human society. The biggest contributors to inequality in our society are the 1% vested interests and pro-Japanese groups. Second, the ideal of Donghak is hindered by the inequality caused by humans in the ecosystem. At this time, the perpetrator is us, and the victim of inequality is the entire ecosystem, including huma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that a complete reduction in carbon emissions is necessary to alleviate inequality in human society. Second, to reduce inequality in the entire ecosystem, the world population must be reduced to a maximum of 1 billion. In addition to this, the way to perform ‘living like the sky’ on an individual level is the beginning of a vegan diet.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이상을 저해하는 현실적 요인들은 과연 무엇인지를 살피고, 동학의 이상을 촉진해갈 수 있는 실질적 행동은 과연 무엇일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 및 다양한 분야의 디지털 데이터, 그리고 통계 및 일부언론 보도 등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동학의 이상은 인간사회 안에서 인간이 초래하는 불평등 현상에 의해 저해된다. 우리 사회에서 불평등의 최대원인 제공자는 1% 기득권과 친일파이다. 둘째, 동학의 이상은 생태계안에서 인간이 초래하는 불평등 현상에 의해 저해된다. 이때 가해자는우리 인간이고, 불평등의 피해자는 인간을 포함한 생태계 전체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인간사회의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탄소배출의 완전 감축이 필요하다. 둘째, 생태계 전체의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해 세계 인구를 최대 10억 명 수준으로 낮추어야 한다. 이 외에, 개인 차원에서 ‘하늘처럼 살아가기’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은 비건 식단의 시작이다.

      • KCI등재

        로버트 켈리의 관점에서 바라본 동학의 팔로워십

        임상욱 동학학회 2015 동학학보 Vol.0 No.34

        Der vorliegende Aufsatz befasst sich mit folgender Frage: Sollte es eine Tatsache sein, dass ein einzelner Leader wirklich nicht sämtliche Arbeit allein verrichten kann, was ist dann die zentrale Triebkraft die den Erfolg oder Niedergang einer Organisation hervorruft und bestimmt? Ausgehend von dieser Fragestellung soll auch darauf eingegangen werden, wie ein effektives Verhältnis zwischen Leader und Follower in der Donghak-Gemeinschaft aussehen könnte. Durch Robert E. Kelleys positivistische Forschung können vier Arten von nicht-idealen Follower-Typen differenziert werden. Darunter sind für die Donghak-Gemeinschaft der Entfremdungstypus und der Adaptionstypus am bedeutungsvollsten. Der Entfremdungstypus ist deshalb interessant, weil er über die Notwendigkeit der Ziele der Gesamtheit der Donghak-Gemeinschaft evoziert. Zusätzlich ist der Adaptionstyp ist von Interesse, weil er eine Veränderung innerhalb der Donghak-Gemeinschaft fordert, die zum Paradigmenwechsel der heutigen Zeit passt. Was heute von den Followern der Donghak-Gemeinschaft eingefordert wird, ist dass die Grenze zwischen Follower und Leader soweit verschwimmen soll als das ein freiheitliches über- und zurückschreiten ermöglicht werden kann. Einen solchen Idealtypus von Followership ist folglich ein Partnership, der das Zusammenleben der einzelnen Mitglieder der Gemeinschaft fördert. Aber, um einen solchen zu realisieren, dafür ist das Konzept des “Donghaklichen Menschen” noch zu sehr in der Theorie verhaftet. Die Realiserung hängt letztlich einzig von den Mitgliedern der Donghak Gemeinschaft selbst ab. 본 연구는, ‘만약 리더 혼자 모든 일을 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라면, 한 조직의 성패를 좌우해온, 혹은 좌우하는 핵심 동력은 과연 무엇일까?’ 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통해 동학 공동체의 ‘리더-팔로워’ 간에 설정될 수 있는 효과적인 관계성은 과연 무엇일 수 있는지를 논의해보려 한다. 켈리의 실증 연구로부터 도출된 네 가지 비 모범형 팔로워 유형 중 동학 공동체에 유의미한 것은 소외형과 순응형 팔로워 유형이다. 전자는 동학 공동체 전체에 대한 공동 목적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기 때문이며, 후자는 오늘날의 달라진 패러다임에 걸맞은 동학 공동체의 변화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동학 공동체의 팔로워들에게 요구되는 것은 리더와 팔로워의 경계를 자유로이 넘나드는 모범형 팔로워십, 즉 공동체 구성원들 간 상생의 삶을 촉진하는 파트너십이다. 다만, 이를 구현해 낼 수 있는 동학적 인간은 아직 이론적 수준에 머물러 있을 뿐이고, 이를 현실화 시키는 관건은 오직 동학 공동체 구성원 각자의 의지에 달려 있다.

      • KCI등재

        21세기 동학적 유무상자(有無相資)의 실천 과제

        임상욱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hat the practical tasks of the Donghak faithful to the spirit of Umusangja can be. In the sense of ‘helping each other’, we can find various practical ways to improve our lives. As a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ology was basically adopted, and various empirical data and statistical indices were used.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about the meaning of Umusangja which meets personal aspect. This is to look at what practical tasks can be carried out independently when the subject is ‘I’ who helps each other. Second, it is about the meaning of Umusangja in accordance with social aspect. This is to see what social system is necessary for coexistence when the subject is ‘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scape from eco-destructive global marketing strategy. In other words, the individual who practices Umusangja can personally select his or her diet in an eco-friendly manner. Second, it is the enhancement of community consciousness for win-win life. In other words, escape from infinite competition that accelerates the phenomenon of the rich-richer and poor-poorer, and then a more fair and equitable social system can be realized. 이 연구의 목적은 유무상자의 정신에 충실한 동학의 실천 과제는 과연 무엇일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데에 있다. ‘서로 돕는다.’는 의미 안에서 우리 삶을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실천 방안들이 모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 문헌연구방법론을 채택하였고, 그에 더해 각종 실증 자료 및 통계 지표 등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개인적 측면에 부합하는 유무상자의 의미에 대해서이다. 이는 서로 돕는 주체가 ‘나’일 경우, 독자적으로 수행 가능한 실천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피려는 것이다. 둘째, 사회적 측면에 부합하는 유무상자의 의미에 대해서이다. 이는 서로 돕는 주체가 ‘우리’일 경우, 상생을 위해 필요한 사회적 시스템이 무엇인지를 살피려는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생태 파괴적인 글로벌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서 벗어나기이다. 즉, 유무상자를 실천하는 개인은 주체적으로 자신의 식단을 생태 친화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둘째, 상생을 위한 공동체 의식의 제고이다. 즉, 부익부빈익빈 현상을 가속화하는 무한경쟁과 각자도생의 방식에서 벗어나 좀 더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 시스템을 구현해갈 수 있다.

      • KCI등재

        지기(至氣)의 관점에서 바라본 윤리적 리더십의 단초

        임상욱 동학학회 2012 동학학보 Vol.0 No.25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lues of ethical leadership with regarding Giki, Donghak’s ontological foundation. The goals of my efforts are two-folded: firstly, I try to identify the clues of ethical leade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Giki, and consider the modernized implication of ethical leadership based on Giki ontology. Massages of ethical leadership anchored in Giki’s monism are ‘Win-Win’ and ‘Change’. Win-Win principal has been originated from organic relations of any living objects, and the leadership would be a methodology by which Win-Win can be realized. So, the ethical leader -ship can incorporate ethical universality and timely specialty. The Giki’s ethical leadership can effectively suppress the vicious circle of distortion, and stimulate Win-Win corporation. To do so, whole members of Donghak society should share the team spirit and try to find efficient communication channel to the outer society. Also, the solution pursuing the ‘Change’ should be based on ‘Win-Win’ corpo -ration rather than ‘Win-Lose’ conflict.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존재론적 토양인 지기가 어떤 원리와 방법을 통해 오늘날 우리 사회에 적용 가능한 윤리적 리더십으로 접목될 수 있는가의 고찰에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핵심 내용은, 첫째, 지기의 관점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단초가 어떻게 마련될 수 있는지를 살피고, 둘째, 이에 따라 지기 존재론에 기반을 둔 윤리적 리더십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현대적 의미는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이다. 지기 일원론의 윤리적 리더십이 던지는 화두는 상생과 변화이다. 상생의 원리는 개별 존재자들 간의 유기적 관련성으로부터 필연적으로 도출되며, 이를 현실화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론은 변화를 키워드로 갖는 리더십에서 찾을 수 있다. 이로부터 지기의 윤리적 리더십은 윤리적 보편성과 시의적 특수성을 모두 담보하게 된다. 지기의 윤리적 리더십은 우리 사회에서 차이가 차별로 왜곡되는 악순환을 억제하고 상생의 삶을 촉진하는 노력에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내부 에너지를 집약하고, 외부와의 소통을 위한 효율적 매개 수단을 강구하는 작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단, 변화를 추동해가는 모든 내ㆍ외부적 문제 해결 방안은 상대를 무너뜨리려는 대결 의식이 아닌, 상생의 원칙 안에서 모색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