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료 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재규(Lee Jae Kyu),김법종(Beob Jong Kim),황순혁(Soon Hyunk Hwang),유상영(Sang Young Ryu),김종훈(Jong Hoon Kim),김병기(Byoung Gie Kim),박상윤(Sang Yoon Park),이의돈(Eui Don Lee),이경희(Kyung Hee Lee),최창운(Chang Woon Choi),임상무(Sa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9

        목적: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재발의 조기 진단방법으로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후 혹은 방사선치료 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FDG-PET scan을 시행하여 재발의 조기 진단에 있어 FDG-PET scan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자궁경부암으로 원자력 병원에서 수술 후 혹은 방사선치료 후 임상적 무병 상태로 추적 검사 중인 환자 중 전신 FDG-PET scan을 시행한 101명을 대상으로 이학적 검사, 종양표지자, 컴퓨터 단층촬영 등의 기존의 추적 관찰방법과 FDG-PET scan의 영상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신 FDG-PET scan의 촬영은 GE advance scanner를 이용하였고, 370-555MBq(10-15mCi)의 FDG를 주사한 후 50분 후부터 촬영을 시작하였으며, 전신 영상을 얻은 후 20분간 국소 영상을 얻었다. 국소 관심 영역의 표준 섭취 계수를 구하여 값이 3.0 이상이거나 주변조직에 비해 높은 섭취율을 보인 경우에 양성으로 판정하였으며 CT, MRI 및 가능한 경우에 경피적 천자술을 시행하여 재발여부를 확인하였다. 결과: PET scan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17명(16.8%)중 8명(47.1%)에서 추후 임상적 소견 및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재발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2명에서 조직학적으로 재발이 확인되었다. PET scan에서 양성소견을 보인 부위는 종격동 림프절에서 5예, 폐실질에서 5예, 골반림프절에서 4예, 중앙병소에서 3예, 쇄골하 림프절에서 2예로 종격동 림프절과 폐실질에서 가장 많았다. 무병상태로 추적관찰중인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조기재발을 진단하는데 있어 PET scan의 민감도는 100%였으며, 특이도는 90.3%이었다. 양성 예측율(positive predictive value, PPV)은 47.1%(8/17), 음성 예측율(negative predictive value, NPV)은 100%(84/84), 위양성율(false positive rate)은 52.9%(9/17)였다. 결론: FDG-PET scan은 기존의 방사선 검사나 종양 표지자로서 발견하지 못한 전이 또는 재발을 임상적으로 무병상태인 환자의 7.9%(8/101)에서 발견 할 수 있었다. FDG-PET scan은 높은 위양성율에도 불구하고 전신 영상을 함께 얻을 수 있으며 작은병소 혹은 여러 부위에서 전이 또는 재발한 경우 진단이 쉽고 예상치 못한 부위의 원격전이를 찾아낼 수 있어 자궁경부암 환자의 재발의 조기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을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sibility of FDG-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scan in patients with clinically no evidence of disease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Methods: One hundred and one patients with clinically NED(no evidence of disease) state after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underwent PET scan. FDG-PET scan was obtained with a GE Advance Scanner, beginning at 50 minutes after injection of 370-555 MBq(10-15 mCi) of 18F FDG. Regional scan was also obtained with emission image. Uptake exceeding 3.0 SUV was determined as a positive finding. Recurrence was confirmed by CT, MRI, and needle biopsy if possible. Results: Among 101 patients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17 patients(16.8%) showed abnormal PET scan findings. Clinically, 8 patients(7.9%) were confirmed to have recurrent lesion by CT, MRI or by needle biopsy. PET scan could detect recurrent lesions in the mediastinum or lung(10/17), pelvis(7/17), and supraclavicular lymph node(2/17).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PET scan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were 100% and 90.3%,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false positive rate were 47.1%, 100% and 52.9%. Conclusion: PET scan could detect 7.9% of early recurrence in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ith NED status. FDG-PET scan may be a useful method in detecting metastases or recurrence of a cervical cancer showing no evidence of disease by routine conventional imaging studies.

      •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연구의 경향분석 : 2006~2014년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2 No.2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 그리고 그 자녀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생애주 기별 특성의 변화로 다양한 문제와 욕구들이 발생하고 이것이 사회문제로까지 넓혀짐에 따라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학교적응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교육프로그램들이 연구 개발되었다.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 의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면 초기의 연구는 ‘다문화’라는 새로운 사회변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 해의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이들의 적응문제와 자녀의 양육․ 교육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다문화에 대한 정책등도 빠르게 변화되어 갔다. 이에 발 맞추어 교육적인 연구도 빠르게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여전히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총 600여 편을 검색하였고, 논문 들의 초록을 중심으로 살펴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과 연관성이 깊은 연구들을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160편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논문을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게재년도, 연구방 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앞으로의 교육의 방향성을 제 시하기 위해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Today, im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children are steadily increasing. As they grow up, their characteristics develop in each stage facing varieties of problems and desires. Since multiculturalism has expanded into one of the main society issues, pass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dapt in Korean society and Korean School programs have caught society’s attentions. Therefore, different kinds of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horoughly to solve problems shown above. Until today, looking at the flow of the research of The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 the first attempt was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s a new change in the society. However, policies on multiculturalism have rapidly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ir possible adaptability and their children education became the main social problems. Even though educational research also has developed alongside, many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ontinuously battle through the new society today. The Multiculturalism Family Education Program officially began to grasp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since 2006, which brought us to uncover around 600 pieces of study from domestic scientific journal until 2014. Those pieces of articles were centrally investigated by examining studies that had correlation with The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 Finally 160 articles have been selected to be the most efficiently related to The Multiculturalism Family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n the selected pieces,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date, method of study, target of study, subject of study, and content of study. Therefore,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his trend analysis is attempted to propose direction of researc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