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 관련 Dewey 연구논문에 대한 동향 분석

        임상도 ( Rim Sang-d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4

        본 연구는 1986년부터 2016년까지 발간된 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에서 Dewey와 관련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회지 및 학위논문에 게재된 총 76편을 대상으로 유아교육에서 Dewey 관련 연구의 연도별 현황, 연구주제 분류, 연구주제·연대별 현황, 연구방법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육에서 Dewey 관련 연구논문은 1995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되었고, 연구주제는 활동(교과), 사상가와 비교가 상대적으로 많은 편수를 차지하였다. Dewey의 유아교육론, 사상가와 비교의 주제는 1985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연구되었고, 활동(교과)의 주제는 2000년 이후에 집중되었다. 반면에 Dewey 관련 유아교육철학, 아동중심교육 및 아동존중, 아동철학교육, 종교에 대한 주제는 소편에 그치고 있고 연구방법에서도 문헌연구에 한정되어 있었다. 유아교육에서는 Dewey 관련 연구주제를 유아 철학교육, 종교, 놀이, 공간 등으로 확대하여 유아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더불어 연구방법의 다양화를 통해서 Dewey의 유아교육 아이디어를 검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유아교육에서 Dewey관련 연구를 지속하여 유아교육철학을 정립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d tren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Dewey published in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from 1986 to 2016. To accomplish this, yearly state of the study, categorization of the subject of study, yearly state of the subject of study, and trends of research methods of Dewey-related stud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in 76 total theses and academic journals. The results found that in stud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studies related to Dewey began to be significantly researched around the year 1995, and the subjects that were relatively numerous were activities(subject), and comparisons to thinkers. The subjects of Dewey`s theorie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mparisons to thinkers were continuously researched on from 1985, and activities(subject) were focused on after 2000.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hilosophies related to Dewey, education centered on children and respect for children, teaching philosophy for children, and subjects about religion are small in number and were limited to literature reviews in method. The basics of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need to be provided by expanding Dewey-related research subjects to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religion, recreation, and space. Dewey`s ideas on childhood education have to be verified by varying the methods of research, and be applied in sites of childhood education. Dewey-related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need to be continued to establish the philosoph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아철학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임상도 ( Sang Do R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1991년부터 2013년까지 발행된 유아교육 관련 학회지 및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철학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회지 및 학위논문 총 73편을 대상으로 유아철학교육에 대한 연구현황,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철학교육의 전반적인 연구현황은 2000년부터 활성화되기 하였다. 유아철학교육의 연구주제는 방향, 교사 인식, 교수?학습법,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자료 개발, 저서 및 학자 등 6개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세부 영역별로 다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주제는 유아철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적용이 가장 높은 비율 차지하고 있었다. 연구방법별 분석은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 방법, 자료분석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방법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은 물적대상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유형은 문헌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가운데 양적연구, 질적연구도 증가하고 있었다. 자료수집 방법과 자료분석 방법은 문헌연구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가운데 다양한 자료수집 방법과 자료분석 방법이 시도되고 있었다.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유아철학교육의 활성화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esented between 1991 and 2013 in an effort to determine research trends in early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73 articles,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analyzed to grasp the state, themes and methods of research in early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As a result, it`s found that lots of studies on early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had started to be conducted since 2000. Their research themes we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directions, teacher awareness, teaching/learning methods, development and effect of programs, development of materials, and books/scholars. When the six categorized were subcategorized, the most common research theme was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programs and verification of their effects. The research methods of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subject, research type, methods of data gathering and methods of data analysis. As for subjects, material things were most widely investigated. Concerning research type, literature review was dominant, a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other hand. In regard to methods of data gathering and data analysis, literature review was prevalent, but a variety of methods were attempted at the same time.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right direction for early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was discussed and suggested.

      • KCI등재

        유아교육역사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임상도(Sang-Do RIM),이도경(Do-Gyeong LEE),윤다람(Da-Ram YOON)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4

        본 연구는 유아교육역사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1984년부터 2020년 6월까지 학내학술지에 게재된 유아역사연구 관련 논문 61편을, 10년 단위로 연대별, 연구장소별, 내용주제별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자료 수집을 통해 예비연구, 본 연구,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역사연구의 전체적인 연구 동향은 1990-1999년 이후부터 연구 편수가 증가하였고 연구주제가 연구 다양화된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장소에 있어서는 서양보다는 동양이, 동양 중에서는 한국이, 한국 중에서는 통사적 연구가 상대적으로 편수가 많았다. 내용주제는 한국 유아교육사학, 타국의 역사, 법령·정책 순으로 연구가 많이 되었다. 유아교육역사 연구 활성화 방안으로 유아교육학계 차원의 논의 장 마련,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유아교육역사 교과목 신설, 유아교육문화사로 연구주제 확대, 한국 유아교육 정체성 확립을 위해 유아교육역사를 분과 학문으로 정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explored 61 papers related to early childhood history researc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1984 to June 2020. The papers were investigated by chronology, sites of the research, and content topics on a 10-year basis. Through two rounds of data coll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order of the preliminary study, the main study, and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research trend of early childhood history research has increased and research topics have been diversified since 1990’s. For the sites of the research, there were more analyses in the East than the West, and the most treated in Korea. There were relatively more syntactic studies in Korea. Content topics were studied in the order of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the history of that in other countries, and laws and policies about it. As a way to revitalize research on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thesis suggested following studies in order to prepare a forum for discussion at the level of academ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stablish a course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history in the training course for prospective pre-school teachers, to expand research topics to the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lture, and to form the ident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세계도회(世界圖會)』 내용구성이 「누리과정」의 내용구성과 교육방법에 미치는 시사점 탐구

        임상도 ( Rim Sang-d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누리과정의 내용구성과 교육 방향을 개선하기 위해서 Comenius의 세계도회, 「독자에게의 서언」편과 「입문」편 153개의 그림주제를 분석하였다. 비판적 탐구의 연구방법에 따라 자료 수집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누리과정의 내용구성은 신의 존재와 유아종교교육을 도입하여 진정한 전인교육을 지향해야 하며, 9개 전통적인 교과(학문)를 초월한 유아철학교육과 정치에 대한 기초 교육을 도입함으로써 삶의 가치와 지식의 형식을 확대해야 하며, 유아외국어교육은 모국어와 동시에 제시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누리과정의 교육방법은 감성적 인식을 강화하기 위해 감각적 영역을 더 강조하고, 매체의 속성에 따른 교육적 효과를 고려한 매체 활용 방안과 사물을 설명할 때 과정적인 관계로 접근해야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content construction and the education direction in Nuri-Curriculum, thereby having analyzed 153 picture themes in the volume of 「Preparatory Remarks to Readers」 and the volume of 「Introduction」 in Comenius's Orbis Sensualium Pictu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arried out depending on a research method of critical inquiry. As a result, there were suggestions such as what the content construction in Nuri-Curriculum needs to point to the truly whole-person education through adopting god's existence and the early-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and as what the value of life and a form of knowledge should be expanded by introducing the Early Childhood Philosophy Education and the early childhood political education beyond 9 traditional curricular subjects(learning). The early-childhoo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s presented foreign language and mother tongue at the same time. A plan was proposed that the education direction in Nuri-Curriculum is further emphasized the sensory area in order to stress the sensible cognition and the necessity of the approach with a procedural relationship was proposed when explaining a plan of utilizing a medium, and an object, in consideration of an educational effect according to property of medium.

      • KCI등재

        ‘아동중심교육’에서 ‘유아중심교육’으로의 표기를 위한 고찰

        임상도(Rim, Sang-Do),송영화(Song, Young-Hw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8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아동중심교육 대신에 유아중심교육으로 표기를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비판적 탐구(critical inquiry) 양식에 의해 아동중심교육의 개념을 분석하였고 아동중심교육으로 표기하고 있는 실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에서 아동중심교육은 내용 및 방법에서 아동에게만 집중될 때 과오를 범할 수 있음을 간과하였고 관습적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유아교육사상사적 측면에서 아동중심교육 대신에 유아중심교육으로 표기할 것을 제안하였다. 유아중심교육의 개념으로는 유아와 유아교사는 지식을 공유하면서 통합적․발현적 교육과정을 지향해야 하며, 유아교사는 권위를 사용하되 합리성을 함양할 수 있는 놀이 환경을 구성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유아교육에서 유아중심교육이라는 표기방식을 사용하기 방안으로는 유아교육의 공동체가 논의의 장을 통해서 유아중심교육이라는 표기방식을 사용하는 문법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replace child- centered education, which has currently been u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preschooler-centered education. The concept of child-centered education was analyzed, and how much this term was actually in use was analyzed. As a result, the fact that concentration on children only might result in making errors was found to have been overlooked in child-centered education, and this term was in conventional use. In this study, it’s suggested that child-centered education be replaced with preschooler-centered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though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luding Froebel’s thought and Dewey’s and on the basis of initial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1910s. As for the concept of preschooler-centered education, it’s suggested that preschoolers 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 who teach them should share knowledge and seek after an integrated/emergent curriculum, and that the early childhood teacher should be authoritative and prepare the kind of play environments that could foster rationality. In order to introduce the term preschooler-centere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should have a discussion to build a system in which this term is used.

      • KCI등재

        유아교사의 권위 상실에 대한 원인 분석과 권위 정당화 방안 탐색

        김치영 ( Chi Young Kim ),임상도 ( Sang Do R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4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 일환으로 유아교사의 권위 상실의 원인 분석과 권위를 정당화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유아교사의 권위 상실을 비판적으로 접근하는 비판적 탐구방식으로 수행하였다. 유아교사는 유아교육에 대한 지적 능력과 유아교육에 대한 감식력을 갖춘 유아교육관이 부재하면 권위가 상실된다. 유아교사가 유아교육의 중요성과 특수성에 상응하는 존경과 인정을 받지 못하더라도 주체적으로 권위를 확립하려고 하지 않을 때 권위가 상실된다. 유아교사가 권위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실행연구자로서의 지적 권위를 가져야 한다. 둘째, 유아교사는 시대정신을 반영한 도덕적 권위를 소유해야 하면서 전문적 돌봄과 결부된 가르침 속에서 ‘애정 어린 권위자’가 되어야 한다. 셋째, 유아교사는 인격적 특성이 반영된 카리스마적 권위도 가져야 한다. 다섯째, 유아교사의 권위 정당화를 위해서는 주변인들은 유아교사의 지적 공동체 활동에 협력해야 한다. 정부는 유아교사 처우개선을 위한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해야 하며, 언론은 유아교사의 모범적 사례도 보도를 해야 한다. 학부모에게는 유아교육 참여권을 보장하는 장치를 마련해야 주어야 한다. 유아교사의 유아교사직에 대한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권위 정당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e of the lo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ity as part of establishing early childhood teachers’ identity and to search the method to justify the authority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manner of critical inquiry that critically approaches the lo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it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lose the authority when they lack of an intellectual capacity and when view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s satisfied with discernment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absent. Also,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lose the authority when they do not try to establish the authority of their own independently even when they are not respected and recognized with the importance and speciality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 are various things to be satisfied so that the justification of the author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can be fulfilled. First of all,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t be equipped with the intellectual authority that can perform the role of knowledge creation. Secondl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hould own the moral authority that reflect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become ‘loving authority’ with professional support and guidance. Thirdl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have charismatic authority that mirror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y need to cooperate in the intellectual activities in the community with other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government reflects the voice for the improvement of labor conditions to the policy and the press should report an exemplary case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the parents need to contribute to justifi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uthority through the system that guarantees the right to participat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육의 논리적 사고교육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 분석

        박기홍(Kee-Hong PARK),임상도(Sang-Do R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3

        본 연구는 1988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교육의 논리적 사고교육 관련 연구논문 52편을 10년 단위로 일반적 연구동향(연대별, 연구영역별)과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의 연구동향(연구유형별, 연구대상별, 자료수집방법별, 자료분석방법별, 연구결과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자료주집에 이어 예비연구, 본 연구, 자료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육의 논리적 사고교육 관련 연구는 제3기(2000-2009년)에 급격히 증가하였고, 영역에서는 비판적 사고가 상대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적연구의 실험연구와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또한 상대적으로 가장 많았고, 자료수집방법과 자료분석은 검사법, 차이검증법이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결과는 유아와 예비유아교사의 논리적 사고를 증진하는데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교육의 논리적 사고교육 관련 연구의 현황과 실태를 총체적 분석하였고 연구 영역을 다양화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한 점이다. In this study, 52 research papers related to logical thinkin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1988 to December 2021 were studied on a 10-year basis, general research trends (by age, research area),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results. Trends (by research type, by research subject, by data collection method, by data analysis method, by research result) were analyzed. Following the second round of data collection, preliminary research, this study, and data analysis were carried out in the order. Research Results First, research related to logical thinkin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creased rapidly in the 3rd period (2000-2009), and critical thinking was relatively the most studied in the field. Second, experimental studies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studies targeting infants were also relatively frequent, and test method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methods were used a lot for data collection and data analysis. And the research result was found to be focused on improving the logical think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preschool teach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mprehensivel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research related to logical thinking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suggested a direction to diversify the research area.

      • KCI등재

        유아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정미(Jeoung-Mi Kim),임상도(Sang-Do R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2

        본 연구는 유아건강 관련 연구동향을 1974년부터 2019년 9월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유아건강 관련 논문 124편을 5년 단위로 연도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 연구내용별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2차에 걸친 자료수집에 이어 예비연구, 본 연구, 자료 분석 순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건강 관련 전체적인 연구동향은 2005-2009년대 이후부터 연구편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조사연구를 중심으로 한 양적연구가 다수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학부모, 유아, 유아교사 순으로 편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내용은 유아건강관련 변인, 건강교육, 건강기초 순으로 편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건강 관련 연구는 유아교육 유사학문과 협력연구를 통하여 연구방법, 대상, 내용을 확대하여야 할 것과 유아건강에 대한 의학적 연구를 유아교육적 차원으로 해석하여 유아교육 현장에 도입하고 한의학, 대체의학, 민간의학, 응급처치 등에 대한 의학적 지식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후속연구로는 유아건강을 예방적 차원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유아건강철학의 연구, 질적연구 및 임상적 연구를 포괄하는 연구방법의 다양화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is the trends on infant health relat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from 1974 to September 2019 by year, method, study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A total of 124 research papers were found in five years basis. In secondar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conducted based on primary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research trends on infant health related research has been increased during the year of 2005-2009. Most of the research method were quantitative and survey. The selected subjects were parent, infant and day care teachers. Majority of the research contents were related to infant health based on health and health education. All of the studies sugges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xpanding the research methods, subjects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ooperative research.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innovative researches in the field of medicine, oriental medicine, emergency and first-aid related to infant health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recommended the diversification of preventive aspects of research methods, qualitative and clinical studies in order to improve infant health awareness in all the direction.

      • KCI등재

        유아장학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 분석

        박기홍(Kee-Hong PARK),임상도(Sang-Do R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6

        본 연구는 1988년부터 2021년 6월까지 유아장학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유 아장학의 일반적 연구동향(연대, 유아교육영역, 장학방법)과 유아장학의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의 연 구동향(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연구결과)으로 구분한 후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장학 관련 연구는 제3기(2000-2009년) 연대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 였고, 유아교육영역 중에서는 유아교사교육, 유아장학의 방법에는 자기장학(자율장학)이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장학의 연구유형은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주류를 이루는 가운 데서 유아교사를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자료수집방법과 자료분석은 질적연구, 기술 통계, 차이검증, 문헌분석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유아장학의 연구결과는 수업 및 교수법 개선에 효과적이라는 것이라는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유아장학 관련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포괄적 분석하여 향후 유아장학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 점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supervis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1988 to June 2021. Data were divided into general research trends of early childhood supervision (year class,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a, supervision method) and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results of early childhood supervision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 research result). After that, it was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As result,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upervision increased rapidly after the 3rd period (2000-2009). Am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self-directed supervision field (autonomous supervision) were the most studied metho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ppeared to be second, among the research types of early childhood supervision, quantitativ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the mainstream, and the most research subjects were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collection methods and data analysis were most frequently used in the order of qualitative research, descriptive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and literature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related to early childhood supervision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and trends of early childhood supervision-related research.

      • KCI등재

        유아평가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 분석

        박기홍(Kee-Hong PARK),임상도(Sang-Do R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4

        본 연구는 1978년부터 2020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유아평가 관련 연구논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연구시기, 연구영역, 연구유형, 연구대상, 자료수집방법, 자료분석방법, 유아평가내용, 유아평가결과활용으로 선정하고 빈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평가 관련 연구물은 제3기(2000-2009년)에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둘째, 연구영역에 있어서는 연구도구개발이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에 있어서는 양적연구의 조사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은 유아가 가장 많다. 다섯째, 자료수집방법은 양적연구의 검사법이 많았고 질적연구는 미미하였다. 여섯째, 자료분석방법은 양적연구의 관계분석이 많이 이루어졌다. 일곱째, 유아평가내용은 언어, 수의 성장에 관한 것이 많았다. 여덟째, 유아평가활용은 교육과정개선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본 연구는 유아평가 관련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총체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향후 후속연구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valuation in academic journals from 1978 to 2020.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by study period, research area, research type, research subject,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 infant evaluation content, and utilization of infant evaluation results,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related to infant evaluation were most often studied in the third period (2000-2009). Second, in the research area, there was a lot of research tool development. Third, in terms of research typ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research studies of quantitative research. Fourth, the subjects of study are the most. Fifth,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large in quantitative studies,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insignificant. The proportion of secondary data collection studies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verification between variables was high. Sixth, as for the data analysis method, the relational analysis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a lot. Seventh, there were many things about the growth of language and numbers in the evaluation contents of infants. Eight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iculum in the use of early childhood evaluation.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future follow-up research by comprehensivel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and trend of research related to infant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