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효과적인 흡연 예방 및 금연 활동 전략 개발에 관한 연구: 메타분석과 시장 세분화 기법의 적용

        강정석 ( Kang Jung-suk ),임사라 ( Lim Sa-ra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지역과 세계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흡연 폐해의 고위험 지역(A도) 청소년 대상의 흡연 예방활동과 금연 활동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3개의 하위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청소년 흡연과 관련된 총 16편의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1). 그 결과, 심리적 흡연 유발 요인인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흡연 유발 요인인 친구 흡연 여부가 청소년의 흡연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연구 2)는 무선적으로 선정한 A도의 17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총 61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흡연 유발 요인, 인구·통계적 특징, 경제적 특징, 흡연 인식 및 실태, 기존의 흡연 예방 및 금연 활동의 효과 평가 등을 측정하였다. 시장 세분화 기법을 활용해서 연구 1을 통해 선정한 자기효능감과 친구 흡연 여부를 기준으로 A도 청소년의 담배 소비 집단을 총 4개(자기효능감 중/모두가 흡연 친구 없음, 자기 효능감 저/다수가 흡연 친구 있음, 자기 효능감 고/다수가 흡연 친구 있음. 자기 효능감 중/모두가 흡연 친구 있음)로 세분화하고 각세분집단의 다양한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후 청소년 또는 흡연 관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해서 연구 2에서 파악한 총 4개 세분집단의 이질적인 특성에 적합한 청소년 대상 흡연 예방 및 금연 활동 전략을 도출하였다(연구 3). 마지막으로 앞서 기술한 총 3개의 하위 연구와 관련된 실무적 함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for adolescents in the region that is at a high risk of harmful effects of adolescent smoking (A Providence). In the first study (Study 1),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16 previous studies related to adolescent smoking. As a result, the psychological factor `self-efficacy` and social factor `friend`s smoking`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adolescent smoking. Second study (Study 2) conducted a survey with 619 students that are enrolled in total 17 middle and high schools in A Province, which were randomly selected. Students` psychosocial factors that induce smok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conomic characteristics, perception and actual state of smoking, and assessment on the effectiveness of previous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activities were measured through the survey. Using the market segmentation technique after collecting data, the adolescent cigarette consumption groups in A Province were divided into total 4 segments (Middle self-efficacy/None has smoking friends, Low self-efficacy/Majority has smoking friends, High self-efficacy/Majority has smoking friends, Middle self-efficacy/ All have smoking friends) based on self-efficacy and friend`s smoking. The differences in various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identified. In the last study (Study 3), F.G.I.`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related to adolescents (e.g., counseling teachers) or smoking (e.g., planners for anti-smoking ads) to draw smoking prevention and smoking cessation strategies for each of the 4 segments obtained from Study 2. Lastly,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3 studies described previously and research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