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중년층의 가족기능이 여가참여 활동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임란희(RanHeeLim),남서원(SeoWonNam),박장근(JangGeunPark)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4

        이 연구는 중년층의 가족기능이 여가참여 활동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40세 이상의 중년층 2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 Ver20.0을 이용하여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했으며,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응집도, 가족규율 적응도, 스포츠, 취미교양, 관람감상, 사교활동, 관광행락, 놀이오락과 생활만족 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놀이오락, 무 행동은 가족기능과는 관계가 형성되지 못했다. 가족역할 적응도는 여가참여 활동, 생활만족과 관계가 형성되지 못했으며, 생활만족은 놀이오락, 무 행동과 관계가 형성되지 못했다. 둘째, 가족기능의 하위변인 중 가족 응집도는 여가참여 활동과 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여가참여 활동도 생활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가족 기능 중 가족규율 적응도와 가족역할 적응도는 여가참여 활동과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of middle-aged family fun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255 middle-aged people over the age of 40 are statistically analyzed. The SPSS Ver. 20.0 is used to find ou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ls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are applied. The followings are conclusions. The first, The family cohesion, family, discipline, sports, hobbies, spectator viewing, social activities, tourism and recreation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Recreation and non-action unrelated to the family is not formed. Family adjustment to the role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 that there is no relationship. Life satisfaction, recreation, relationships are formed non-action is not. The second, the family cohesion function of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directly affect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ave a direc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s found. But family discipline of family functioning and family role adjustment to adapt the activities do not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leisure participation.

      • KCI등재

        발육,발달학 : 12주 하타요가 수련이 여성의 신체기능에 미지는 영향

        박장근(JangGeunPark),임란희(RanHeeLim) 한국체육학회 2004 한국체육학회지 Vol.4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12 weeks Hatha yoga program on the Women’s Physical Fitness.The research was done to 12 single women who were 24 to 34 years during 12 weeks (total 24 times). Their Physical Fitnes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sting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First, Resting pulse change was not effected by the Hatha yoga program effect.Second, Muscular strength was risen noticeably by the Hatha yoga program effect.Third, Flexibility was risen noticeably by the Hatha yoga program effect.Forth, Balance was risen noticeably by the Hatha yoga program effect.Through this study, it was determined that the Hatha yoga program can be effected to the Women’s Physical Fitness -Muscular strength , Flexibility , Balance.But the effect tend not to be continued through a short time, so it is required to develop new program which can be lasting with pleasure not to be stopped in a short time.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전공별 대학생들의 여가활동 유형 및 개인적 특성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태도 차이

        노갑택(GapTaikRo),박장근(JangGeunPark),임란희(RanHeeLim)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4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공별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의 차이와 대학생들의 개인적 특성과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2006년 10월부터 3개월간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M, H, Y, D 대학교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637명의 설문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2.0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기법은 주성분분석, 빈도, 교차, 일원변량분석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학생들의 전공별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은 일반계열, 체육계열, 엘리트 모든 전공에서 스포츠 활동이 가장 많았고, 사교활동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는 인지적 태도는 성별, 학년별에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고, 정의적 태도는 성별, 학년별, 한 달 용돈별에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으며, 행동적 태도는 통계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여가유형별에 따른 여가태도의 차이는 정의적 태도에서 통계적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r the difference of leisure activities type according to theirs own major and the difference of leisure attitude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leisure activities type.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637 students, M, H, Y, D university in Seoul and Gyeong-gi area for 3 months from Oct. 2006. The collected data based of survey a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analysis, ANOVA analysis by SPSS WIN Ver. 12.0. According to this study and analysis, the result is following: First, sports is most in leisure activities type according to theirs own major, but the relationship activity is most few among the type leisure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and it doesn't show meaningfully differences in the Department of General, Physical, Athlete major. Second, the difference of leisure attitude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characteristics shows meaningfully differences both sex, grade sector in recognitive attitude and sex, grade, pocket-money per month sector in definitive attitude bot doesn't show meaningfully differences in behavior attitude. Third, the difference of leisure attitude according to leisure activities type show meaningfully differences in definitive attitude.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고독감 및 우울감의 관계

        박장근(JangGeunPark),최덕묵(DukMookChoi),임란희(RanHeeLim) 한국체육학회 2007 한국체육학회지 Vol.46 No.1

        본 연구는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여가활동 유형의 차이와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고독감, 우울감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2006년 현재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417명의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Ver. 12.0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기법은 주성분분석, 빈도, 교차, 공변량, 상관분석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은 스포츠 활동이 가장 많았고, 관람감상 활동이 가장 적게 나타났으며, 성별을 제외한 연령, 학력, 가족관계, 과거직업, 종교, 월평균 용돈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인다. 둘째,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 중 스포츠 활동 참가 노인이 다른 여가활동 참가 노인에 비해 고독감이 낮았으며, 관광행락활동은 고독감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셋째,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 중 스포츠 활동 참가 노인이 다른 여가활동 참가 노인에 비해 우울감이 낮았으며, 취미교양 활동은 우울감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노인은 고독감이 높아질수록 우울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or the difference of leisure activities type according to theirs own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solitude, depression among elderly. The subjects in this study are 417 elderly residents, 60 years of age above in Seoul and Gyeong-gi area, 2006. The collected data based of survey a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crosstabs analysis, ANOVA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by SPSS WIN Ver. 12.0. According to this study and analysis, the result is following : First, the ratio of sports is most, but that of watching and appreciation is most few among the type leisure activities of elderly people and it showes meaningfully differences in the ages, family relations, post-occupation, religion, month-average expenses excepts sex. Second, solitude in sports leisure activity is lower than that of others leisure activities and it is high in sight-seeing, amusement. Third,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in sports leisure activity is lower than that of others, it is high in hobby and culture leisure activity. Forth, The higher becomes elderly solitude quotient, it appeared that depression quotient comes to be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