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거버넌스로서의 전자정부의 성과와 정책과제

        林東鎭,柳俊赫 한국의정연구회 2012 의정논총 Vol.7 No.2

        뉴미디어의 정치적 효과는 대의민주주의의 생명력을 복원하는 데에 큰 의미를 가진다. 다시 말해, 대의민주주의 체제의 대표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은 뉴미디어 활용을 통해 가능하다. 뉴미디어 활용의 대표적인 사례 중에 하나가 전자정부이다. 지난 10여 년 간 전자정부는 정부 현대화의 견인차로서 시민참여와 정책성과 제고에 많은 기여를 해 왔다. 그러나 기술 결정론적 시각에서 하드웨어 측면의 성과가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자정부가 실제도 대표성과 효율성을 신장시켰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문의 여지가 있다. 본 연구는 전자정부의 실행이 대의민주주의 발전을 촉진해 왔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대표성과 효율성의 복원에 어떻게 기여해 왔는지에 대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계속해서 진화를 거듭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 환경에서 전자정부가 좋은 정부로서의 지향성을 지속적으로 갖기 위해서는 향후 어떠한 정책과제들이 필요한지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new media can be discussed in the dimension of restoring the vitalit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use of the new media has a potential to improve representativeness and effectiveness of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is respect, e-government is the most realistic case. Over the past 10 years, e-government has promoted civil participation and policy outcomes. However, despite being emphasis on the performance in terms of the hardware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it is a doubt whether e-government actually enhanced representativeness and effectiveness or not. This research explores if the practice of the e-government promotes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democracy, especially contributes to restore representativeness and effectiveness. And additionally this research discusses the orientation that e-government can be developed as a good government in the environment of ICTs.

      • KCI등재

        미국 지방정부 성과평가 연구를 통한 한국 지방정부의 성과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임동진 한국지방정부학회 2004 지방정부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미국 지방정부의 성과평가 활용실태와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 지방정부의 성과평가체계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미국 지방정부의 성과평가를 활용하는 수준은 인구 5만 미만의 도시정부는 약 30%, 인구 10만에서 25만 미만의 도시정부에서는 50%, 인구 25만 이상의 도시정부는 7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측정 방법으로는 업무량(workload), 산출(output)에 대한 방법이 50~80%, 효과성이 35~65%, 서비스 질과 고객만족도가 35~55%, 효율성 측정이 20~35%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측정을 하는 이유로는 약 80% 정도가 의사결정을 위해, 약 40% 정도는 행정책임성에 대한 시민의 요구라고 하였다. ICMA와 IOG의 지방정부 성과평가의 사례연구를 통해 나타난 시사점으로는 첫째, 최고경영자의 지원이 중요하다. 둘째, 성과측정체계 개발에 많은 재원과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동질성이 있는 집단 간 비교를 위해서는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넷째, 성과측정시 좀 더 적은 지표를 활용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지속적으로 성과측정의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위와 같은 미국 지방정부의 성과평가의 경험을 토대로, 한국 지방정부의 성과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인식과 지원이 중요하다. 둘째, 성과측정시스템 개발에 상당한 재원과 노력을 투자해야 한다. 셋째, 성과결과물의 적절하게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성과평가활동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정보화근로사업의 고용효과 분석

        임동진,박기관 한국정책학회 2002 韓國政策學會報 Vol.11 No.2

        정보화근로사업은 크게 국가정보화 구축과 고학력 청년층 실업대책이라는 2가지 목적을 갖고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시행된 사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화근로사업을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사업의 고용실태 및 고용효과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사업참여자들의 주요 인적특성은 여성, 30대미만, 전문대졸이상으로 나타났고,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평균은 3.11(5점척도)로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내용별 만족도에서 노동강도, 생계보호, 임금수준은 만족한 편이나, 정보화마인드향상, 기술향상, 취업능력향상 등에서는 불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근로사업 참여 후 취업률은 일반공공근로사업의 취업률 26.5%보다 높은 38.3%로 나타났고, 사업참여 전·후로 임시직의 비율이 증가하였고, 직종별 이동에서는 관리직이 약세, 서비스판매가 강세로 나타났다. 정부의 실업대책에 대해서는 현재 청년층 실업률이 높기 때문에, 실업문제 해결을 위해 개인, 기업, 정부가 공동 노력하여야 하며, 개인은 직업훈련을 통한 취업능력 향상을, 기업은 고용안전노력을, 정부는 직업훈련프로그램 확대, 고용창출노력, 공공직업소개 및 취업정보망 확충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winter of 1997, the unemployment policy was introduced as measure solving crucial unemployment problems in Korea. Especially, IT(information Technology) New Deal was initiated to solve youth's unemployment problem through invest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The program focuses particularly on the database(DB) infrastructure which has relatively large employment effect. The program has two goals: absorbing unemployment and information of public agenc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articipant's recognition and evaluation on the IT New Dea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s a random sample of participants of four projects among the New Deal in first half of 2001. In terms of results on research, the goal of IT New Deal, that is absorbing unemployment, is accomplished to the considerable degree. But, there are many problems in contexts to solve on the youth's unemployment. Therefore, many policies to response to youth's employment can be diversely discussed and reviewed.

      • KCI등재

        Administrative Reform - Korea, Japan, the UK, and the US: A Comparative Perspective

        임동진 한국정책과학학회 2008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2 No.2

        This paper examines the administrative reform of four countries based upon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ism—Korea, Japan,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in order to figure out the major features of administrative reform and its 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Korea and Japan have been a long history of bureaucracy-dominated policy making, while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dministrative reforms has been a long tradition of anti-bureaucratic or bureaucracy-skeptic slants.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Korea, administrative reform focused on the utilization of the public or citizens’support despite sometimes the strong resistance of the bureaucracy, while, Japanese administrative reform has been a process of compromising with political demands. British administrative reform has been a process of making the power of bureaucracy weak while, US administrative reform has aimed for the government operation like a business. This paper suggests implications for Korean administrative reform from now on. First, historically the process of administrative reform was an endless conflicting process between politicians and bureaucrats. Second, citizens and civic organizations tend to increase their influence on administrative reform. Third, there is a global trend of administrative reform. Fourth, reformers should consider the side-effects of the administrative reform of Western countries. Finally, despite the global trend of administrative reform, there is no single complete model for all reform and there are no off-the-shelf solutions.

      • KCI등재

        갈등원인이 갈등수준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쟁점요인과 매개요인의 효과를 중심으로

        임동진,윤수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6 行政論叢 Vol.5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degree of conflict intensity due to causes of public conflict, and to sugges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set up research hypotheses and conducted a survey of 165 people involved in public conflicts (civil servants, experts, and NGO members). The summary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social inequity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ore factors (e.g., conflict of interest, one-sided assertion, change of goals) generating public conflicts. Second, among the core factors, conflict of interest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flict intensity, while one-sided assertion does not influence it statistically and change goals shows a negative impact on the intensity of conflict. Third, the main factors in order of importance influencing the intensity of conflict are lack of trust (Beta=0.261), insufficient procedures (Beta=0.254), conflict of interest (Beta=0.205), and change goals (Beta=-0.210). This means that the mediating factors (lack of trust, insufficient procedures) rather than the core factors in public conflicts (e.g., conflict of interest, one-sided assertion, change goals) more exacerbate the level of public conflicts. Finally,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degree to which the mediating factors influence the level of conflict show that the total effect, where conflict of interest influences conflict intensity through mediating factors, is 0.357 (mediator effect = 0.182), next that the total effect of goal changes is –0.168 (mediator effect = 0.04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갈등의 원인들이 갈등수준(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고,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공무원, 전문가, NGO 관계자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불평등은 공공갈등을 일으키는 쟁점요인(이해상충, 일방주장, 목표변화)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갈등쟁점요인 중 이해상충은 갈등수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일방주장은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변화는 갈등수준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수준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요인은 신뢰부족(Beta=0.261), 절차미흡(Beta=0.254), 이해상충(Beta=0.205), 목표변화(Beta=-0.210)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갈등핵심요인(이해관계, 일방주장, 목표변화)보다는 갈등매개요인(신뢰부족, 절차미흡)이 공공갈등의 수준(강도)을 더 악화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갈등매개요인이 갈등수준을 얼마나 증가(감소)시키는지에 대한 영향에 대한 효과분석 결과, 이해상충이 갈등매개요인을 통해 갈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총 효과가 0.387(매개효과=0.182)로 가장 크고, 그 다음이 목표변화로 총 효과는 –0.168(매개효과=0.042)로 나타났다.

      • KCI등재

        공공서비스의 주민만족도: 주민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는가?

        임동진,장순희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4 行政論叢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differences in citizen satisfaction due to citizen characteristic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public services that public agencies provide to citizens, and to suggest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paper discuss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made research hypotheses, and conducted a survey of 616 citizens who have been living at 16 cities and countie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Citizen expectations with service is a personal characteristic that affects citizen satisfaction with public services. This means that as citizens’ expectations for public services increases their satisfaction increases. Next, residential area, type of service, difficulty of service, and service area ar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fluencing citizen satisfaction . More specifically, residential urban areas have much higher citizen satisfaction than rural counties. Public services such as issuing certificates, permissions, and registrations have much higher satisfaction than public services like questions, proposals, and formal objections. Citizen satisfaction drops the more time public services require. Finally, general public administration and traffic/regional development have much higher satisfaction than public services like public enforcement, social welfare, and culture and sports.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수준이 차이가 없다는 가정을 토대로 서비스 수요자인 주민들의 특성에 따라 공공서비스의 주민만족도가 차이가 나는지를 규명하고 이에 따른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논의를 토대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고 연구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충남의 15개 시・군 616명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공서비스 주민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민특성 중 개인적인 특성(성별, 연령, 기대수준, 직업)으로 공공서비스 주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기대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서비스에 대한 주민의 기대수준이 높을수록 공공서비스의 주민만족도가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주민특성 중 환경적인 특성으로 공공서비스 주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거주지역, 서비스 종류, 서비스 난이도, 서비스 분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별로는 도시지역이 농촌지역보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종류별로는 단순증명, 인허가등록 등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데 반해, 질의/건의, 이의신청 등의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비스난이도가 높을수록 주민만족도가 반비례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분야별로는 일반행정, 교통/지역개발 분야는 만족도가 높은데 반해, 공공질서, 사회복지, 문화체육 분야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일광 육아종 2예

        임동진,최지호,성경제,문기찬,고재경 ( Dong Jin Im,Jee Ho Choi,Kyung Jeh Sung,Kee Chan Moon,Jai Kyoung Koh ) 대한피부과학회 1997 대한피부과학회지 Vol.35 No.6

        Actinic granuloma is a specific disease entity characterized by clinical lesions indistinguishable from granuloma annulare, but occuring on solar damageci skin. Ilistologically, elastic tissues are destroyed by the granulomatous process in actinic granuloma, but not, in granuloma anriulare. We report two cases of actinic granuloma with each diagnosed as a giant cell and sarcoirlal variant of the disease. Interestingly, one case developed on the non sun-exposed skin and anothr case related to the history of an insect bite. (Korean J DBrmatol 1997;35(6): 1198-1202)

      • KCI우수등재

        자활사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임동진 한국행정학회 2001 韓國行政學報 Vol.35 No.4

        2000년 10월 1일에 시행된 자활사업은 복지와 노동을 연계한 생산적 복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활사업의 의의와 성과를 파악하고 자활사업 정착화에 필요한 당면과제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자활사업의 추진실태 조사결과, 자활사업 참여율은 59.6%(2000.12월 현재)∼28.9%(2001.5월 현재)로 30%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중인 자활사업은 취업알선 66.66%, 직업훈련 20.9%, 자활인턴 5.5%, 창업지원 0.4%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높은 사업은 직업훈련, 자활인턴, 창업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까지의 자활사업의 성과를 살펴보면, 자활 15.1%. 부적격자 31.7%, 조건불이행 40.9%로 나타나 부적격자나 조건불이행의 비율이 72%수준으로 대단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활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정부의 지원과 대상자 자신의 자활의지, 자활지원서비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활사업은 사업초기의 시행착오를 어느 정도 극복하고 제도의 틀을 구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현재의 당면한 문제해결을 통해 자활사업의 확고한 정착화가 필요한데, 이러한 당면과제의 해결방안으로 ①적정한 소득공제제도의 활용, ②자활사업 추진기관간의 연계체계 구축. ③민간단체의 참여촉진 유도, ④사회적 일자리로서의 공공근로사업의 기능제고, ⑤공공직업 안정서비스의 기능강화, ⑥취업 후 지원·관리서비스 필요 등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